• Title/Summary/Keyword: 대만 한국어 학습자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197 seconds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Enrolled in University-attached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in Hong Kong (홍콩의 한국어 학습자 특성 연구 - 홍콩의 대학 부설 평생교육기관 학습자를 대상으로)

  • Lee, Hyun Ju;Lee, You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
    • /
    • pp.368-379
    • /
    • 2022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propose appropriate teaching plans for them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Korean language instructors who had experience in teaching Korean at university-attached institutions in Hong Kong.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interviewed ten instructors who taught Korean for at least five years. Korean language learners in Hong Kong who were in their twenties, but there were diverse age groups, including those in their fifties or older. Their motivations for learning Korean included the Korean Wave and the influence of support from the Continuing Education Fund by the Hong Kong government. Korean language learners in Hong Kong were characterized by active learning desire and effort, continuous learning intention, passive performance in speaking, and sensitivity to the disclosure of private inform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to devi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various age groups in a class and teaching methods for speaking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Hong Kong to teach Korean more effectively. The study is significant as a field study that examines the learning motivations, learning attitudes, and difficulties with Korean stud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based on an unprecedented survey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mon local Korean learners in Hong Kong.

The Experimental Study on Korean Monophthong of Taiwanese Learners of Korean-Focusing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대만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한국어를 전공하는 대학생을 중심으로-)

  • Jung, Sunghoon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v.29 no.2
    • /
    • pp.155-18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oustically analyze eight Korean monophthongs produced by 29 Taiwanese learners of Korean and 20 native speakers of Korean, and to compare their pronunciations in experimental phonetics. Using the first formants(F1) and the second formants(F2) of Korean monophthongs, we can estimate the tongue positions of vowels produced by participants. In order to compare them directly, we had to normalize participants' F1 and F2. The result shows that almost all vowels of the Taiwanese learn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n native speakers in their F1 and F2 values without the /ㅏ/ vowel. In particular, when pronouncing Korean monophthongs, the Korean learners of Taiwan had a narrow area of the place of articulation compared to the Korean native speakers except for back vowels. Finally, it shows that the Korean learners in Taiwan had a narrower range of articulation and articulated the vowels towards the back a little comparing to the Korean native speakers.

Perceptual training on Korean obstruents for Vietnamese learners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자음 지각 훈련 연구)

  • Hyosung Hwang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5 no.4
    • /
    • pp.17-26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reveal how Vietnamese adult learners at three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perceive Korean word-initial obstruents and whether errors can be corrected through perceptual training. To this end, 105 Vietnamese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were given perceptual training on Korean word-initial. The training materials were created by actively utilizing Korean minimal pairs as natural stimuli recorded by native speakers.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five 20-40 minute self-directed perceptual training sessions over a period of approximately two weeks, while learners in the control group only participated in the pretest and posttest.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erception of sounds that were difficult to distinguish before training, and both beginners and advanced learners benefited from the training. This study confirmed that large-scale perceptual training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Vietnamese learners learn the appropriate acoustic cues to distinguish different sounds in Korean.

Teaching Grammar for Spoken Korean to English-speaking Learners: Reported Speech Marker '-dae'.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구어 문법 교육 - 보고 표지 '-대'를 중심으로 -)

  • Kim, Young A;Cho, In Jung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v.23 no.1
    • /
    • pp.1-23
    • /
    • 2012
  • The development of corpus in recent years has attracted increased research on spoken Korean. Nevertheless, these research outcomes are yet to be meaningfully and adequately reflec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reported speech marker '-dae' is one of these areas that need more attention.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or not in textbooks '-dae' is clearly explained to English-speaking learners to prevent confusion and misuse. Based on a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and English, this study argues three points: Firstly, '-dae' should be introduced to Korean learners as an independent sentence ender rather than a contracted form of '-dago ha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teach English-speaking learners that '-dae' is not equivalent to the English report speech form. It functions more or less as a third person marker in Korean. Learners should be informed that '-dae' is used for statements in English, if those statements were hearsay but the source of information does not need to be specified. This is a very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and should be emphasized in class when 'dae' is taught. Thirdly, '-dae' should be introduced before indirect speech constructions, because it is mainly used in simple statements and the frequency of '-dae' is very high in spoken Korean.

FubaoLM : Automatic Evaluation based on Chain-of-Thought Distillation with Ensemble Learning (FubaoLM : 연쇄적 사고 증류와 앙상블 학습에 의한 대규모 언어 모델 자동 평가)

  • Huiju Kim;Donghyeon Jeon;Ohjoon Kwon;Soonhwan Kwon;Hansu Kim;Inkwon Lee;Dohyeon Kim;Inho K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448-453
    • /
    • 2023
  • 대규모 언어 모델 (Large Language Model, LLM)을 인간의 선호도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은 기존의 벤치마크 평가와는 다른 도전적인 과제이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들은 강력한 LLM을 평가자로 사용하여 접근하였지만, 높은 비용 문제가 부각되었다. 또한, 평가자로서 LLM이 사용하는 주관적인 점수 기준은 모호하여 평가 결과의 신뢰성을 저해하며, 단일 모델에 의한 평가 결과는 편향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엄격한 기준을 활용하여 편향되지 않은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평가 프레임워크 및 평가자 모델 'FubaoLM'을 제안한다. 우리의 평가 프레임워크는 심층적인 평가 기준을 통해 다수의 강력한 한국어 LLM을 활용하여 연쇄적 사고(Chain-of-Thought) 기반 평가를 수행한다. 이러한 평가 결과를 다수결로 통합하여 편향되지 않은 평가 결과를 도출하며, 지시 조정 (instruction tuning)을 통해 FubaoLM은 다수의 LLM으로 부터 평가 지식을 증류받는다. 더 나아가 본 논문에서는 전문가 기반 평가 데이터셋을 구축하여 FubaoLM 효과성을 입증한다. 우리의 실험에서 앙상블된 FubaoLM은 GPT-3.5 대비 16% 에서 23% 향상된 절대 평가 성능을 가지며, 이항 평가에서 인간과 유사한 선호도 평가 결과를 도출한다. 이를 통해 FubaoLM은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도 높은 신뢰성을 유지하며, 편향되지 않은 평가를 수행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Building Sentiment-Annotated Datasets for Training a FbSA model based on the SSP methodology (반자동 언어데이터 증강 방식에 기반한 FbSA 모델 학습을 위한 감성주석 데이터셋 FeSAD 구축)

  • Yoon, Jeong-Woo;Hwang, Chang-Hoe;Choi, Su-Won;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66-71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어 자질 기반 감성분석(Feature-based Sentiment Analysis: FbSA)을 위한 대규모의 학습데이터 구축에 있어 반자동 언어데이터 증강 기법(SSP: Semi-automatic Symbolic Propagation)에 입각한 자질-감성 주석 데이터셋 FeSAD(Feature-Sentiment-Annotated Dataset)의 개발 과정과 성능 평가를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FeSAD는 언어자원을 활용한 SSP 1단계 주석 이후, 작업자의 주석이 2단계에서 이루어지는 2-STEP 주석 과정을 통해 구축된다. SSP 주석을 위한 언어자원에는 부분 문법 그래프(Local Grammar Graph: LGG) 스키마와 한국어 기계가독형 전자사전 DECO(Dictionnaire Electronique du COréen)가 활용되며, 본 연구에서는 7개의 도메인(코스메틱, IT제품, 패션/의류, 푸드/배달음식, 가구/인테리어, 핀테크앱, KPOP)에 대해, 오피니언 트리플이 주석된 FeSAD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프로세싱을 소개하였다. 코스메틱(COS)과 푸드/배달음식(FOO) 두 도메인에 대해, 언어자원을 활용한 1단계 SSP 주석 성능을 평가한 결과, 각각 F1-score 0.93과 0.90의 성능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FbSA용 학습데이터 주석을 위한 작업자의 작업이 기존 작업의 10% 이하의 비중으로 감소함으로써, 학습데이터 구축을 위한 프로세싱의 소요시간과 품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Sprachtypologische Fehleranalyse - Im Vergleich der deutschen und koreanischen Sprache - (독일어와 한국어를 비교한 언어 유형적 분석)

  • Park Jin-Gil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7
    • /
    • pp.1-24
    • /
    • 2003
  • 우리는 지금까지 독일어와 한국어 두 언어간의 오류분석을 논의해 왔다. 특히 언어유형학적인 측면에서 몇 가지 오류유형과 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독일어와 한국어가 서로 근본적으로 상반되는 언어현상과 더불어 약간의 공통성을 나타내며 일정한 유형을 나타낸다. 이는 두로 인간의 언어습득장치에 기인된 언어습득의 결정주의(Determinismus)에서 비롯될 것이다. 언어특성/문제의 체계성/규칙성 또는 일관성은 이를 반영한다. 거대한 언어자료 중에 극히 미미한 일부, 즉 언어최소량를 정복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를 연구 이용하는 경우에는 엄청난 효과와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1) 독일어와 한국어의 학습 및 오류분석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언어유형학적으로 드러난 언어특성, 즉 전치성(독일어/영어)과 후치성(한국어)이다. 이를 토대로 형성된 대립적인 면과 공통적인 문제를 체계화하는 것이 역시 오류분석 문제의 관건이다. 또한 독일어가 아직 후치성 언어(한국어(TXV))에서 출발해서 전치성 언어(영어(SVX))로 발전/변화해 가는 과정, 즉 중간단계인 TVX에 머물고 있다는 사실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그들의 대극성과 유사성을 연결하는 실마리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2) 일치(Kongruenz)/상관(Korrelation) 및 반복(Wiederholung) 현상, 그리고 격변화와 인칭변화 현상은 어순문제와 더불어 형태론적 문제를 통해 문법적인 확인수단으로 작용한다. 이들은 대부분 체계적/구조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학습자는 흔히 같은 유형에서 반복적으로 오류를 범하기 마련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언어 유형학적 오류분석을 이해하고 또한 이를 통해 오류를 줄이거나 예방하는 학습이 필요하다. (3) 명사가 한정사구 안에서 성/수/격에 따라 변화하는 것과 동사가 동사구에서 주어의 인칭/수에 따라 인칭변화 하는 것은 우리 한국인에게는 아주 이색적인 현상이다. 이는 양면적인 수식구조에 대한 확인수단 및 원자가에 의한 강력한 형식위주 언어인 독일어와 전위적인 단일 수식구조와 부정형 동사를 특성으로 형성된 핵/최소문 언어간의 필연적인 적응관계 및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 두 가지 유형 역시 언어특성에 따라 도식화/공식화 할 수 있다. (4) 괄호현상, 즉 으뜸머리(Hauptkopf)가 버금머리(Nebenkopf)와 분리하는 것은 우리 한국인에게는 아주 이색적인 언어현상이다. 한국어에는 머리의 이동이 없기 때문이다. 긴 구문에서 버금머리를 잊어버리거나 실수하는 것은 모든 괄호구문에서 예견되는 결과이다. 그러나 이는 정치성과 후치성 언어간의 전이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으뜸머리가 원래의 자리를 박차고 소속 구/문의 앞자리로 도약한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5) 전치 및 후치 수식이 유동적으로 작용하는 독일어는 전치 수식만으로 고정된 한국어보다 복잡하지만 균형적인 언어구조이다. 이러한 수식구조에서 한국인은 흔히 형태 및 어순에서, 그리고 번역에서 오류를 범하고 만다. (6)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아는 것을 제대로 이용하는 문제이다. 모국어/L2를 자유로이 말하고 쓸 때까지, 즉 언어습득에는 일체이 문법이나 도표/도식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이다. 이는 17세기 서구의 이성주의 철학자들의 한결같은 경고이다. 오늘날 초고속 과학문명에서 더욱 빛을 발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한 언어 속에 들어있는 문법체계를 익혀 가는 것이 곧 언어습득 과정이지만, 이를 달성하는 가능성 내지 첩경은 실제적인 언어자료와 체험이지 결코 문법이나 추상적인 개념적 접근이 아님을 웅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핵심적인 문제는 모국어교육에서도 최대 장점인 대화를 통한 언어연습/대화 기회를 최대한 보장하는 데 있다. 또한 언어간섭 현상을 조장하는 분위기를 막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교수법 개발이 외국어/L2 성공의 관건일 것이다. (7) 언어학습에서 오류를 극복하는 데는 일차적인 실제 상황에 부합하는 대화적인 연습, 그리고 효과적인 언어자료 접촉, 즉 독서와 모방이 중요하다. 이차적이고 직접적인 것은 통사(Syntax) 및 형태론(Morphologie)를 익힐 수 있는 말/문을 끊임없이 익히는 일이다. 이것이 또한 언어최소량을 충족시켜 언어습득에 이르는 첩경이다. 자연 생태적인 모국어 학습 또는 조정 및 제도적인 언어학습에서도 실제상황에 어긋나는 문법적인 체계에 얽매이는 도식 및 도표 위주의 텟스트는 일시적인 기대일 뿐이다. 인간의 언어습득장치를 이해하지 못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문법적인 개념위주 접근은 상당한 설명이 필요해서 절박한 자료와 체험까지 앗아가기 마련이다. 더구나 이를 위해 수준을 무시하고 모국어로 일관하여 벙어리와 문맹을 자초하는 것은 참으로 어리석은 일이다. 지식 정보화 시대 및 세계화 시대에는 무엇보다도 교육 및 언어정책이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다. 특히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 학습능력과 학습방법은 매우 중요하다. 학습자에게 말하고 쓰는 기본 능력을 보장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를 위한 작업의 하나가 바로 언어간의 오류분석일 것이다. 언어의 습득과 활용이 체계적이듯이 오류분석 역시 상당히 체계적이다. 그래서 인간의 언어습득과 언어습득장치를 두고 결정론(Determinismus)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언어습득의 3대 요소, 즉 언어습득장치를 구비한 인간으로 태어나고, 해당 언어를 통한 일관된 언어체험/학습으로 언어최소량을 충족해야 한 언어를 정복할 수 있다는 것은 결정적인 사실이다. 학생고객에게 다가서는 책임교육으로 교육개방에 대비하는 일 역시 시대적인 상황이요 또한 결정적인 단계임엔 틀림이 없을 것이다.

  • PDF

Comparison of Views on Korean and English Writing: Focusing on Bicultural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한국어 작문과 영어 작문에 대한 개념 비교 -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을 중심으로 -)

  • Cho, Sookyung
    •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 /
    • v.28 no.2
    • /
    • pp.97-121
    • /
    • 2018
  • The numbers of Korean immigrants and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are steadily increasing, but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of their second language literacy development (Cole, Maddox, Lim, & Notari-Syverson, 2002; Scarcellar & Chin, 1993; Shin, 1994; Skilton-Sylvester, 2001; Yu, 1994). Nor do the very few studies explore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iteracy and English literacy within a cultural context.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ir views on Korean writing with those on English writing to see trace the multiliteracy development of Korean learners of English in the United States. I conducted in-depth oral interviews with Korean immigrants and students of various ages. They were asked to state everything they could remember about what they have learned to write and read in their native language and in their second language across their lifetimes, focusing particularly on the institutions they attended, materials they used, people involved in their learning, and their motivations for writing. The results reveal that the participants developed a view of writing specific to the Korean context and after they moved to the United States, they struggled to readjust the values and meanings they had had for Korean literacy to the second language con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future multiliteracy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multiliteracy development in terms of the meanings and values language learners associate with their multiliteracy and help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ommunities to approach second language learners' multiliteracy development as a life-long experience.

Morphological disambiguation using Local Context (국소 문맥을 이용한 형태적 중의성 해소)

  • Lee, Chung-Hee;Yoon, Jun-Tae;Song, Man-Su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0.10d
    • /
    • pp.48-55
    • /
    • 2000
  • 본 논문은 국소문맥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Decision List를 통해 단어의 형태적 중의성을 제거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최초 종자 연어(Seed Collocation)로 1차 Decision List를 만들어 실험 말뭉치에 적용하고 태깅된 결과를 자가 학습하는 반복과정에 의해 Decision List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킨다. 이 방법은 단어의 형태적 중의성 제거에 일정 거리의 연어가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는 직관에 바탕을 두며 사람의 추가적인 교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교사 방식(대량의 원시 말뭉치에 기반한)에 의해 수행한다. 학습을 통해 얻어진 Decision List는 연세대 형태소 분석기인 MORANY의 형태소 분석 결과에 적용되어 태깅시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험 말뭉치에 있는 중의성을 가진 12개의 단어들에 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긍정적인 결과(90.61%)를 얻었다. 은닉 마르코프 모델의 바이그램(bigram) 모델과 비교하기 위하여 '들었다' 동사만을 가지고 실험하였는데 바이그램 모델의 태깅결과(72.61%)보다 뛰어난 결과 (94.25%)를 얻어서 본 모델이 형태적 중의성 해소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