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류 특성

Search Result 52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한반도 중규모 대류복합체의 발달특성에 관한 연구

  • Lee, Sun-Hwan;Won, Hyo-Seong;Ryu, Chan-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2a
    • /
    • pp.176-181
    • /
    • 2005
  • 한반도에 집중호우를 유발시키는 중규모 대류복합체는 매우 복잡한 특성을 띠고 있다. 2004년 7월14일 발생한 중규모 대류복합체의 발달 메커니즘을 분석한 결과, 대류복합체 생성 전에 500 hPa 고도에서 강한 역전층이 나타났으며, 이 역전층은 상승과 하층간의 상당온위의 분리를 유발하여 대기불안정이 더욱 강화시켰다. 그리고 일반적인 중규모 대류복합체 특징인 풍향의 쉬어 보다는 풍속의 쉬어에 의해 대류계의 열역학 불안정이 강화 되었다.

  • PDF

레이더를 이용한 남서해안의 호우 사례 특성 분석

  • Park, Gyun-Myeong;Park, Geun-Yeong;Ryu, Cha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99-101
    • /
    • 2007
  • 비종관 관측자료인 기상위성 및 레이더 분석자료에서 위성영상에서 볼 수 있는 서해남부 해상의 스콜라인 형태의 강한 대류운을 무안-진도 레이더 반사도에 의한 수평 및 연직 구조로 살펴보았는데 특히 발달한 대류운 영역이 보다 상세한 반사도 차이로 나타나고, 40 dBZ 이상 강한 반사도 셀이 고도 6km, 20km 정도의 수평규모를 갖는 여러 대류운시스템이 합쳐진 다중세포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용 X-대역 무안 레이더 반사도 분포를 보면 사이트 주면에 강한 dBZ의 대류운이 자리하고 있어 발달한 강수입자에 의한 감쇄효과 때문에 북서방향과 남서방향의 강한 대류운들이 약하게 잘못 관측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지만 S-대역 진도 레이더는 발달한 강수 입자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고유의 강한 반사도를 제대로 관측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태풍에 의한 직${\cdot}$간접적인 호우, 장마전선의 활성화에 따른 집중호우를 동반하는 중규모대류운시스템에 대해 정확히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는 없지만, 관측자료 분석을 통해 중규모대류운시스템을 발달${\cdot}$유지시킬 수 있는 기구의 존재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레이더 반사도와 3차원 바람장 그리고 마이크로강우레이더와 광학강우강계에 의한 연직 구름계와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강수특성 등 섬세하고 다양한 비종관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집중호우를 유발하는 중규모대류운시스템의 강수 구조와 특성 분석 및 예측에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Surface Radiation-Natural Convection Interactions in an Enclosure for Various Adiabatic Wall Thicknesses (단열벽체두께가 변화되는 밀폐공간에서 복사-자연대류열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 Kwon, Y.I.;Yoo, J.O.;Kwon, S.S.
    • Solar Energy
    • /
    • v.15 no.3
    • /
    • pp.39-52
    • /
    • 1995
  • This study is investigated numerically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surface radiation-natural convection interactions in a two dimensional enclosure assumed Ondol cavity. Mean Nusselt number of the bottom surface with surface radiation is increased by increasing wall emissivity and by decreasing dimensionless thickness of adiabatic wall. and is greater than that without radiation. Mean Nusselt number of the bottom surface for convection only with surface radiation is slightly smaller than that without surface radiation with decrease dimensionless thickness of adiabatic wall.

  • PDF

A Study on the Heat Sink with internal structure using Peltier Module In the Natural and Forced Convection (자연대류와 강제대류에서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내부터널 구조를 가지는 히트싱크에 관한 연구)

  • Lee, Min;Kim, Tae-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7
    • /
    • pp.4072-4080
    • /
    • 2014
  • The Peltier Module has been used to dissipate the heat from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components. In this module, a heat sink is used to release the operating heat into the air outside. This study addressed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for a heat sink with an inner tunnel. Under forced and natural convection conditions,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Therefore,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s were studied for the heat sink, which has an inner tunnel. The heat transfer conditions were also evaluated by performing an experimental test, which investigated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variance in time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Experiments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heat sink were conducted based on the forced and natural convection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changes. In the cooling experiment, the A- and B-shaped cooling pin heat sinks decreased the temperature of the forced convection than the temperature of natural convection. In the forced and natural convection, the A- and B-shaped decreased to a minimum of $-15^{\circ}C$. Under the forced and natural convection conditions, A- and B-shaped cooling pin heat sinks decreased the temperature when the voltage was increased. In the heating experiment, the A- and B-shaped cooling pin heat sinks increased the temperature of the forced convection than the temperature of natural convection. In forced convection, when the voltage was $15^{\circ}C$, the temperature of the A-shaped cooling pin heat sink increased to $150^{\circ}C$, and the temperature of the B-shaped cooling pin heat sink increased to $145^{\circ}C$. Under forced and natural convection conditions, the A- and B-shaped cooling pin heat sinks showed an increase in temperature with increasing voltage.

고화 피막층 형성이 있는 노심용융물의 자연대류 열전달

  • 박래준;김상백;김희동;최상민;조재선;정창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683-688
    • /
    • 1997
  • 원전의 중대사고 발생시 형성될수 있는 노심용융물의 고화피막층을 동반하는 용융물의 자연대류 열절달 특성에 대한 실험결과를 정밀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대상 실험은 종횡비가 작은 경우와 큰 경우에 대하여 용융물을 자연대류와 강제대류로서 냉각하는 조건에서 경계조건에 따른 용융물의 피막층 두께를 측정하였고, 피막층 주변의 열전달량을 측정ㆍ분석한 것이다. 실험결과를 정밀 분석한 결과, 용융물의 고화 피막층 형성이 용융물의 자연대류 열전달양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종횡비가 큰 경우는 냉각 조건도 자연대류 열전달 양에 다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화층 두께 증가에 따른 종횡비 감소는 자연대류 열전달양 감소율을 작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막층 형성이 있는 용융물의 자연대류 열전달 해석 결과, 실험에서의 열손실 때문에 용융물의 고화 피막층 두께가 실험결과보다 다소 작게 나타났으며, 자연대류 열전달 흐름이 피막층 형성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Forced and Mixed Convection around the Circular Cylinder for Compressible Flow (압축성 유동장에서의 원형 실린더 주위의 강제 및 혼합대류에 대한 수치 해석)

  • 최윤호;이현찬;유재석;김기현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4 no.1
    • /
    • pp.126-139
    • /
    • 1995
  • 저속의 압축성 유동장에서의 원형 실린더 주위의 유동 및 열전달특성을 해석하였다. 비압축성 유동장에서의 실린더 주위의 유동 및 열전달현상에 대하여는 실험과 수치해석을 포함한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매우 잘 알려져 있다. 실린더 벽면과 주위 유동장의 온도차가 큰 경우, 밀도의 변화가 커지므로 유동장은 압축성 유체가 되나 지배 방정식의 복잡함과 적절한 수치해석 방법의 부족으로 실린더 주위의 유동장을 압축성유체로 해석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현재 압축성유동 해석에 널리 사용되는 time marching algorithm은 저속의 유동장 해석시 지배방정식에 나타나는 eigenvalue들의 괴리에 의하여 수렴속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난점을 극복할 수 있는 time-derivative preconditioning 방법을 사용하여 온도차가 큰 유동장에서의 강제 및 혼합대류에 대한 계산을 수행하였고 이들의 열전달특성을 비교하였다. 강제대류의 경우 실린더 벽면 온도의 증가에 따른 밀도 감소의 영향은 유동장의 Re수를 감소시켜 확산의 영향을 증가시키면서, 혼합대류의 경우 부력의 영향은 가열되는 유동장의 범위와 재순환 영역을 강제대류에 비해 현저히 감소시킨다.

  • PDF

Characters of Mesoscale Convective Complex Development in Korean Peninsula (한반도 중규모 대류복합체의 발달특성에 관한 연구)

  • Lee Soon-Hwan;Won Hyo-S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6 no.7
    • /
    • pp.698-705
    • /
    • 2005
  • Heavy rain fall in the Korean Peninsula often occurs in the summer season due to MCC (Mesoscale Convective Complex) with complex mechanism. We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eveloping mechanism of MCC occurred at 14 July 2004.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There is strong wind inflow from the South-west china sea with heavy moisture and this moisture flux acts as the source of heavy rain, b) Because of the separation of upper and lower atmosphere due to an inversion layer at 600hPa, atmosphere over the Korea Peninsula is suddenly unstable. c) This MCC shows strong shear not with wind direction, but with the wind speed, and this wind shear continues the thermodynamic unstability of the convective system. d) MCC was suddenly developed over Heuksando at 1400LST 14 July 2004. Thus we can say that the topography also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MCC and it is also necessary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opography and MCC development. in future research.

Characterization of Convective Weather Systems in the Middle Himalaya during 1999 and 2000 Summer Monsoons (1999년과 2000년 여름몬순기간 동안 히말라야 지역에 발생한 대류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Gwang-Seob;Noh, Joon-W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3 s.134
    • /
    • pp.495-505
    • /
    • 2003
  • Convective weather systems such as organized mesoscale convective systems (Mesoscale Convective Complex, MCC and Convective Cloud Clusters, CCC) and much weaker Disorganized Short-lived Convection (DSC) in the region of India and Nepal were analyzed using the Meteosat-5 IR imagery. The diurnal march and propagation of patterns of convective activity in the Himalayas and Northern Indian subcontinent were examined. Results indicate that infrared satellite images of Northern India and along the southern flank of the Himalayas reveal a strong presence of convective weather systems during the 1999 and 2000 monsoons, especially in the afternoon and during the night. The typical MCCs have life-times of about 11 hours, and areal extent about $300,000km^2$. Although the core of MCC activity remains generally away from the Middle Himalayan range, the occurrence of heavy precipitation events in this region can be directly linked to MCCs that venture into the Lesser Himalayan region and remain within the region bounded by $25^{\circ}-30^{\circ}N$. One principal feature in the spatial organization of convection is the dichotomy between the Tibetan Plateau and the Northern Indian Plains: CCCs and DSCs begin in the Tibetan Plateau in the mid-afternoon into the evening; while they are most active in the mid-night and early morning in the Gangetic Plains and along the southern facing flanks of the Himalayas. Furthermore, these data are consistent with the daily cycle of rainfall documented for a network of 20 hydrometeorological stations in Central Nepal, which show strong nocturnal peaks of intense rainfall consistent with the close presence of Convective Weather Systems (CWSs) in the Gangetic Plains (Barros et al. 2000).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s of Tropospheric Ozone Enhancement in Springtime (봄철 대류권오존의 고농도특성과 발생원인에 관한 연구)

  • 김유근;송상근;오인보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75-76
    • /
    • 2001
  • 대류권오존의 기원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오존의 전구물질인 CO, NOx, 그리고 non-methan hydrocarbon이 빛과 작용하여 형성되어지는데, 이러한 조건에 부합되는 시기는 태양의 일사량이 풍부하고 온도가 높은 5∼9월경이다. 두 번째는, 제트기류가 위치하는 곳에서 대기의 섭동에 의해 대류권계면 접힘 (tropopause folding) 현상 발생시 오존 전량의 90%가 존재하는 성층권에서 다량의 오존이 대류권으로 유입되기도 한다 (Fishman et al., 1979; Uccellini et al., 1985). (중략)

  • PDF

일체형원자로 모듈형 증기발생기 자연대류 현상 파악 연구

  • 이상민;김재학;이상원;박군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633-638
    • /
    • 1997
  • 중소형 일체형 원자로의 자연대류 실험 및 해석을 통해 일체형 원자로의 자연대류에 의한 잔열제거 기능의 특성 및 피동 안전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일체형 원자로 축소 실험장치를 이용한 자연대류 실증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RETRAN-03와 COMMIX-1B 코드 해석 결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일부 증기발생기의 열제거 기능 상실이 발생한 경우에도 노심으로 유입되는 냉각재의 온도가 균일하게 분포하여 피동 잔열 제거가 원만히 일어남을 알 수 있었고 해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