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둔근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9초

대둔근 내에 발생한 피하낭종: 증례 보고 (Intramuscular Epidermal Cyst of the Buttock: A Case Report)

  • 임영희;김나라;문승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79권6호
    • /
    • pp.354-358
    • /
    • 2018
  • 표피낭종은 피부에서 기원하는 흔한 양성 피하낭종이다. 표피낭종은 초음파 검사 상에서 보통 전형적인 초음파 소견을 보이기 때문에 초음파 진단이 용이하다. 그러나, 표피낭종이 드문 부위에서 생기는 경우 감별진단이 매우 혼동 될 수 있다. 저자들은 대둔근 내에 발생한 근육내 표피낭종을 주소로 내원한 4세 여아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자기공명영상에서 표피낭종이 드문 부위임에도 불구하고 표피낭종의 특징적인 소견을 보였으며 이러한 자기공명영상 소견이 수술 전 진단을 내리는데 유용하였다.

둔부에 발생한 골수외 형질세포종 - 증례 보고 - (Extramedullary Plasmacytoma of the Buttock - A Case Report -)

  • 이형석;김정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5-80
    • /
    • 2009
  • 골수외 형질세포종은 아주 드물게 발생하는 종양으로, 전체 형질 세포 종양의 3~5 %를 차지하며 상부 호흡기관에서 주로 발생한다. 그 외 드물게 위장관, 방광, 중추 신경계, 유방, 갑상선, 고환, 타액선, 임파선, 피부 등에서 발생한 증례보고가 있다. 저자들은 49세 남자의 대둔근에서 발생한 골수외 형질세포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고관절 신전시 요통환자와 정상인의 슬괵극, 대둔근, 요추기립근의 근 수축 개시시간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Onset Time of Hamstring, Gluteus Maximus, and Lumbar Erector Spinae Muscle Activity During Hip Extension Between Subjects With Low Back Pain and Healthy Subjects)

  • 권오윤;고은경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3-4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nset times of muscle activities and the order of muscle firing in hamstring gluteus maximus, and lumbar erector spinae muscle during active hip extension between subjects with low back pain (LBP) and healthy subjects. Thirty subjects, 15 with LBP and 15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lectromyographic activity was recorded during active hip extension in prone and standing position. Relative onset times of these muscle activities were determined. Similar muscle firing order in hamstring, gluteus maximus, and lumbar erector spinae muscle showed in both groups and positions. However, the onset time of gluteus maximus was significantly later in prone and standing active hip extension in subjects with LBP than in healthy subjects. The onset time of lumber erector spinae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layed in subjects with LBP in standing active hip extension, The delayed onset times of gluteus maximus and lumbar erector spinae muscles' activities were probably related to LBP.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whether the delayed onset times of gluteus maximus and lumbar erector spinae muscle activities are the contributing factors to LBP.

  • PDF

생체모방 소형 점핑로봇의 설계 및 시뮬레이션 (Design and Simulation of Small Bio-Inspired Jumping Robot)

  • 호탐탄;최성학;이상윤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9호
    • /
    • pp.1145-1151
    • /
    • 2010
  • 본 논문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의해 구동되는 점핑로봇에 대한 연구로서 기구의 설계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포함하고 있다. 인간과 같은 척추동물 하지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을 모방한 구조의 점핑 기구를 설계하였다. 점핑 기구의 각 다리는 대퇴부, 정강이, 발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고, 점핑에 필수적인 단일관절근육인 대둔근, 양관절근육인 대퇴직근과 비복근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각 근육을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로 대체한 컴퓨터 모델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로봇의 최대 점핑 높이가 로봇 신장의 약 4 배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조가 보다 단순화된 로봇 모델과 점핑 성능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 근골격계를 모방한 모델이 점핑 높이 면에서 3.3 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형상기억합금이 소형 점핑로봇의 작동기로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변형된 대둔근 V-Y 전진 피판을 이용한 재발성 좌골부 욕창의 재건 (Reconstruction of the Recurrent Ischial Sore with Modified Gluteus Maximus Myocutaneous V-Y Advancement flap)

  • 이승렬;김다앎;오상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6호
    • /
    • pp.714-719
    • /
    • 2009
  • Purpose: Recurrent ischial pressure sore is troublesome for adequate soft tissue coverage, because usually its pocket has a very large deep space and adjacent donor tissue have been scarred in the previous surgery. However, the conventional reconstructive methods are very difficult to overcome them. Modified gluteus maximus myocutaneous V - Y advancement flap from buttock can be successfully used in these circumstances. Methods: From February 2007 to October 2008, modified gluteus maximus myocutaneous V - Y advancement flaps were perfomed in 10 paraplegic patients with recurrent ischial pressure sore. The myocutaneous flap based on the inferior gluteal artery was designed in V - shaped pattern toward the superolateral aspect of buttock and was elevated from adjacent tissue. Furthermore, when additional muscular bulk was required to obliterate dead space, the flap dissection was extended to the inferolateral aspect which can included the adequate amount of the gluteal muscle. After the advanced flap was located in sore pocket, donor defect was repaired primarily. Results: The patients' mean age was 46.9 and the average follow - up period was 12.4 months. The immediat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But, two patients were treated through readvancement of previous flap due to wound dehiscence or recurrence after 6 months. The long - term results were satisfied in proper soft tissue bulk and low recurrence rate. Conclusions: The modified gluteus maximus myocutaneous V - Y advancement flap may be a reliable method in reconstruction of recurrent ischial pressure sore, which were surrounded by scarred tissue because of its repetitive surgeries and were required to provide sufficient volume of soft tissue to fill the large pocket.

파킨슨 환자들의 방향전환 보행 향상을 위한 하지의 운동학 및 근육 활동 규명 (Lower Extremity Kinematics and Muscle Activity of Cutting Movement in Older Parkinson's Diseases)

  • 김미영;김종덕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57-26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파킨슨 환자들에게 일상생활 속에서 빈번히 수행되는 방향전환 동작 중에 작용하는 하지의 운동학 및 근육의 활동을 규명하는데 있다. 호엔야르 $1.5{\sim}4$척도의 60대 파킨슨 환자 7명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실 바닥에 직선($0^{\circ}$) 및 방향전환($60^{\circ}$, $90^{\circ}$, $120^{\circ}$) 보행로를 만들었다. 보행로에 5cm 넓이의 검은색 접착테이프를 붙여 놓아, 그 경로를 따라 무작위 순서로 지나가도록 하였다. 하지의 운동학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해당부실에 21개의 마커를 부착하였으며, 근전도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우측 하지의 장내전근, 중둔근, 대둔근, 대퇴이두근, 대퇴직근, 비복근, 전경골근에 전극을 부착하였다. 방향전환 각도별(4수준: $0^{\circ}$, $60^{\circ}$, $90^{\circ}$, $120^{\circ}$)로 얻은 하지의 운동학 및 근전도 변인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반복이 있는 일원 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파킨슨 환자들은 방향전환시 활보장과 보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지에 작용하는 근육활동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근추나 치료 후 호전된 발음성 고관절 환자 치험례 (A Case Report on Snapping Hip Patient Treated by Chuna Manual Therapy for Meridian Sinew System)

  • 김우영;이재영;한상엽;공덕현;박재영;이현종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3-48
    • /
    • 2010
  • 단순 방사선검사와 이학적 검사에서 특이 소견을 발견할 수 없는 발음성 고관절 환자에서 대전자의 움직임을 통해 고관절의 움직임 이상을 발견하고 경근추나를 시행하였다. 1. 환자분이 복와위에서 능동적 신전운동, 앙와위에서 능동적 굴곡운동을 하는 동안 환자의 대전자를 통해 고관절이 전내측 방향으로 움직임을 관찰하였다. 2. 고관절의 전내측 방향으로 움직임의 과도를 유발할 수 있는 대퇴근막장근과 슬괵근의 단축을 평가하고 경근이완기법을 적용하였다. 3. 슬곽근에 대항작용을 하고 고관절이 관골구내에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대둔근, 대퇴근막장근에 대항작용을 할 수 있는 후중둔근과 장요근의 약화를 관찰하고 경근강화기법을 시행하였다. 4. 13회의 치료 후 발음성고관절의 주증상인 통증과 탄발음이 거의 소실되는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5. 고관절의 움직임 이상이 발견된 발음성 고관절 환자에서 해당 경근의 단축과 약화가 발견될 경우 경근추나수기법을 이용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다양한 불안정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체간 및 하지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Muscle Activation in Trunk and Low-limbs during Squat Exercise on Various Instability Surface)

  • 최남영;장희승;신윤아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1호
    • /
    • pp.505-514
    • /
    • 2015
  • 이 연구는 다양한 불안정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체간과 하지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10명의 피험자가 안정면, 불안정면인 스타빌리티 블루와 블랙, 보수에서 75% 1RM의 강도에서 스쿼트 동작을 실시하였다. 체간근육으로는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및 다열근에 근전도를 부착하였고, 하지근육으로는 대둔근, 중둔근, 대퇴이두근, 대퇴직 근, 외측광근, 내측광근, 내측비복근, 외측비복근, 가지미근, 전경근에 근전도를 부착하여 스쿼트 동작의 상승과 하간구상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안정면과 불안정면에서의 근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heffe를 이용하였다. 하강구간에서 근활성도는 보수에서의 스쿼트 동작 시 내측광근, 다열근, 대둔근과 중둔근의 활성도가 안정면과 다른 불안정면에서의 스쿼트 동작 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승구간에서 근활성도는 보수에서의 스쿼트 동작 시 대둔근의 활성도가 안정면과 다른 불안정면에서의 스쿼트 동작 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수에서의 스쿼트 동작이 체간근육과 둔근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하지근육의 활성도는 불안정성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