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두

Search Result 9,12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대두제품 기능성 성분의 조리 중 변화

  • Kim, Jeo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Conference
    • /
    • 2005.10a
    • /
    • pp.46-54
    • /
    • 2005
  • 대두에는 이소플라본(isoflavone), 콩단백질, 올리고당(oligosaccharides), 식이섬유(dietary fiber), pretense inhibitor, 사포닌(saponin), 피틴산(phytic acid), 피니톨(pinitol)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함유되어있다. 대두 이소플라본의 경우, boiling, steaming, roasting의 가열 방법 중 roasting이 손실을 최소화하는 가열방법이며, 대두제품 중에는 대두, natto, 두부, 두유, 된장, 고추장 순으로 함량이 감소한다. 대두나 단순대두 가공품의 경우는 glucoside의 비율이 높은 것에 비하여, natto를 제외한 발효 대두에 있어서 aglycone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난다. 대두 올리고당 함량(%)은 생대두분말(2.87)>대두(2.75)>두유(2.59)>두부(0.56)>natto(0.34) 순으로 높다. 생대두의 경우 상당량의 BBPI(Bowman-Birk pretense inhibitor)가 함유되어 있으나 다양한 가공, 조리 공정을 거친 대두 가공제품의 경우 대부분의 BBPI가 소실 또는 불활성화 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대두 phytate는 열과 수침에 비교적 안정하나, 발표기간이 길어지면 함량이 감소한다. 대두 피니톨은 수용성이며 열 및 산, 알칼리 조건에서 매우 안정하다. 대두는 생으로 섭취하지 않고 익혀서 먹거나, 다양한 대두제품의 형태로 섭취하므로, 생리활성을 기대하며 대두제품을 섭취할 때, 대두의 조리 및 가공 과정이 기능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7)대두의 생물 활성 물질 연구 개발 및 응용

  • Lee, Bu-Yong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4 no.3
    • /
    • pp.94-102
    • /
    • 2001
  • 대두, 소위 황두는 중국, 아시아는 물론 세계에서 예로부터 광범위하게 식용으로 재배한 두류이다. 대두에는 식물성 유지와 단백질이 풍부하다. 역사 이래 인류는 콩으로부터 착유하거나 두부를 만들거나 동시에 가공하지 않고 직접 식용으로 이용하여 왔다. 근래에 두류에는 식물성 유지와 단백질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다는 것 이외에 새롭게 알려진 특수한 생물학적 작용을 하는 생리 활성 물질이 있다고 밝혀졌다. 그 예로는 대두 oligosaccharide, 대두 사포닌, 대두 이소플라본, 대두 인지질, 비타민 E 등이 있다.

  • PDF

Stability of Lipids by Adding Soybean and Soybean Products (대두(大豆) 및 대두가공품(大豆加工品) 첨가(添加)에 따른 유지안정성(油脂安定性))

  • Lee, Chun-Son;Kim, Ze-Uook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0 no.4
    • /
    • pp.328-334
    • /
    • 1987
  • The stability of lipids(Soybean oil & Ramyon lipid) by adding soybean products' extracts and Soybean, Soybean products was investigated, respectively. 1. Ethanolic extracts of defatted Soybean was very antioxidative in soybean oil. Soybean hot water extracts, defatted soybean water extracts and Soyprotein isolate water extracts possess antioxidative activities. But, Fresh Soybean cold extracts don't possess antioxidative activity. 2. The Oxidation of Ramyon Lipids (beef tallow) during storage at $45^{\circ}C$ incubator was effectively surpressed by addition of defatted Soybean hydrolyzate, tempeh (Defatted), Soy protein isolate hydrolyzate. The power of antioxidative activity is this order: Soy protein isolate hydrolyfate> Defatted Soybean hydrolyzate> BHA (200ppm)> Tempeh> Tempeh extracts> Defatted soybean.

  • PDF

Influence of Soybean Storage Condition on Soybean Curd Quality (대두(大豆) 저장조건(貯藏條件)이 두부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 Chang, Hak-Gil;Yoo, Yang-Ja;Han, Myung-Kyo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19 no.4
    • /
    • pp.382-386
    • /
    • 1987
  • Changes of proteins of whole soybean and soy flour stor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humidity (RH 65% and 85%) and packing material (HDPE and OPP/Al/PE film) for 90 days and their influence on formation of soybean curd were investigated. The water holding capacity, total nitrogen, soluble nitrogen, pH and Amylograph viscosity of whole soybean and soy flour were rapidly decreased during storage at high relative humidity. Furthermore, such quality changes were accompanied by considerable differences in final quality of soybean curds; lower volumes of soybean curds. Under the conditions of HDPE and OPP/Al/PE film packing, smaller changes were observed in protein qualify than those without packing.

  • PDF

Effects of soy defatting on texturization of texturized vegetable proteins (대두 탈지 처리가 식물조직단백 조직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 Chan Soon Park;Mi Sook Seo;Sun Young Jung;Boram Park;Shin Young Park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30 no.5
    • /
    • pp.875-884
    • /
    • 2023
  •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xturized vegetable proteins (TVP) produced from defatted soy flour (DSF) were analytically compared with those of texturized vegetable proteins produced with isolated soy protein (ISP) and non-defatted soy flour (SF). The base raw material formulation consisted of 50% soy proteins, 30% gluten, and 20% corn starch. A cooling die-equipped extruder was used with a barrel temperature set at 190℃ and screw rotation speed of 250 rpm. With respect to the hardness of isolate soy proteins, that of soy flour and defatted soy flour was 22.4% and 68.8%, respectively, and gumminess was 17.6% and 44.3%, respectively. Defatting increased chewiness, shear strength, and springiness. Moisture content was higher in soy flour than in defatted soy flour,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water absorption and turbidity. The pH was higher with soy flour than with defatted soy flour. Concerning color, the L and b values were higher with soy flour, while the a value was higher with defatted soy flour.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fatting soybeans can improve the quality of plant-based protein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ddress the quality differences from those of isolated soy proteins.

(4)중국과 해외의 대두가공 이용 연구 현황

  • Lee, Bu-Yong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4 no.3
    • /
    • pp.61-70
    • /
    • 2001
  • 대두는 우수한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인류가 섭취하는 중요한 식품 원료이다. 이의 가공활용 및 개발에 대하여 아시아에 점차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논문은 국내.외에서 대두 가공 이용 연구 현황을 기술한 것으로 중국과 해외의 대두 가공 분야의 차이점을 제시하여 중국의 대두 가공 산업 발전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PDF

해선어 양식업이 첨단산업으로 가는 길

  • 조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5-16
    • /
    • 2003
  • 이제 바다로부터 식량을 얻는 방법이 어선을 통해 포획하는데서 점점 연근해에서 양식을 통해 생산하는 쪽으로 선회를 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가 되어가고 있다. 이와 같은 양식업의 점진적 발전은 해수 환경을 보전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먹이(사료)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물고기의 먹이로 적합한 어분 및 잡어의 생산과 공급은 해마다 어족 자원의 고갈로 감소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양식어종의 사료로 어분이나 잡어를 대체할 수 있는 단백질 공급원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대두는 약 5000년 전 중국에서 재배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본격적으로 19세기 초부터 대두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대두가 사람에게 중요한 단백질과 기름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1950년대 초반에 이르러 대두박이 값싸지만 단백질이 풍부한 사료원료로서의 가치가 입증되면서, 축산업이 오늘의 전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그렇지만 바다에서 식량을 생산하는데 있어서도 육지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두류작물인 대두와 대두제품을 활용하기 시작한 것은 먼 오래전의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담수어종인 잉어, 뱀장어 및 틸라피아등에서 대두박의 영양학적 우수성이나 경제성이 이미 입증된 바 있다. 앞으로 해산어 양식기술의 발달은 해산어용 전문 배합사료의 개발과 보급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미국, 일본, 노르웨이등 해산어 양식 선진국들일수록 이 부문에 대한 연구 개발 노력이 특히 활발하다. 식생활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친환경적 산업 제품에 이르기까지 대두와 대두제품이 우리의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은 결코 콩이 지닌 물리적 성상, 영양학적 및 경제적 가치의 우수성 때문만은 아니다. 미국은 자국의 대두 생산자들이 생산해 낸 대두를 판매하면서 조성한 자조금을 모아 대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개발과 국내외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마케팅 활동에 쓰고 있다. 이런 자조 노력은 비단 미국의 대두 농민들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가깝게는 일본의 수산업과 해산어 양식산업의 발전은 중앙 및 지방 정부, 수협과 같은 어민 조합 및 연근해 수산업 종사자들이 출연한 기금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난 8월 북해도의 양식산업을 시찰했을 때 확인할 수 있었던 사실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국민소득 1만불 시대를 넘어 2만불 시대를 열기 위한 청사진을 그릴 만큼 모든 경제의 규모가 확대되었을 뿐 아니라 질적으로 고도화되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성숙된 산업사회에 걸맞는 각 산업 주체들의 의식이다. 한국의 양식산업도 자조 정신을 갖추어 생산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양식기술의 개발, 환경 보전을 고려한 양식장 관리 및 소비를 확대하기 위한 유통시스템의 선진화에 스스로 투자를 해야 할 시기에 와 있다.

  • PDF

우리나라 '대두박(大豆粕)'의 생산 및 수입 흐름

  • 이형석
    • Feed Journal
    • /
    • v.3 no.9 s.25
    • /
    • pp.103-109
    • /
    • 2005
  • 수많은 도전과 시련 속에도 우리나라의 대두가공산업과 사료산업은 지속적인 발전을 계속해 왔다. 1980년에 비해 대두의 가공량은 3.2배, 대두박의 사용량은 6.1배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성장의 배경에는 대두가공업계, 사료업계 및 축산농가들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이 있었음이 틀림없을 것이다. 즉, 가축 이용성이 우수한 탈피대두박의 생산 및 이용을 증대하여 대두가공업계와 사료업계 그리고 축산농가의 이익확대에 보다 힘을 써야할 것이다. 더 나아가 관련 산업과의

  • PDF

Isoflavone, β-Gluca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efatted Soybean Powder by Bioconversion with Lentinula edodes (표고 균사에 의한 탈지 대두박 생물전환 발효물의 이소플라본, 베타글루칸 함량 및 항산화활성)

  • Jung, Tae-Dong;Shin, Gi-Hae;Kim, Jae-Min;Choi, Sun-Il;Lee, Jin-Ha;Lee, Sang Jong;Heo, In Young;Park, Seon Ju;Oh, Sea-Kwan;Woo, Koan-Sik;Lim, Jae Kag;Lee, Ok-Hwa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1 no.5
    • /
    • pp.386-392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soflavone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tioxidant activities (DPPH radical scavenging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nd ${\beta}$-glucan content of defatted soybean extracts by bioconversion. Soybean was fermented with Lentinula edodes using submerged liquid fermentation system. Defatted soybean powder prepared by hexane (HDS; hexane defatted soybean) and ethanol (EDS; ethanol defatted soybean). The major components of non-fermented HDS (NFHDS) and EDS (NFEDS) were glucoside, such as daidzin, glycitin and genistin. During the bioconversion processing, isoflavone glucoside converted into aglycone such as daidzein, glycitein and genistein. The highest total isoflavone contents of fermented HDS (FHDS) were $2577.96{\mu}g/mL$, and the lowest total isoflavone contents of NFEDS were $428.27{\mu}g/mL$.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s of fermented EDS (FEDS) was 42.34 mg GAE/g. DPPH radical scavenging and ORAC value were 31.30 to 59.92% and 247.48 to $786.36{\mu}M\;TE/g$ in non-fermented defatted soybean and fermented soybean, respectively. ${\beta}$-Glucan contents were 0.09 to 0.11% in non-fermented defatted soybean and fermented soybean,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ermented soybean could be used as natural antioxidant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tioxidant and Anticarcinogenic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oybean Products Fermented by Some Mycelia of Mushroom and $\textit{Bacillus megaterium}$ SMY-212 (버섯균사체 및 청국균 발효대두의 항산화능과 암세포 증식억제능)

  • Choi Jehun;Yang Hee-Sun;Shon Mi-Yae;Kim Jin-Soon;Park Seok-Kyu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9 no.3
    • /
    • pp.34-39
    • /
    • 2004
  • 콩의 배당체 isoflavone류를 생리 활성형 aglycone으로 전환율을 증진시켜 콩 발효식품의 기능성을 증진시키고자, 식용버섯 균사체와 청국장 발효균 B. megateriw SMY-212를 이용하여 단독과 2단계 배양한 발효대두의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능과 인체 전립선암과 자궁암 세포주의 성장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2단 발효대두 추출물의 수소공여능 효과는 1,000 $\mu$g/mL 농도에서 17.8∼26.9%로서 단독 발효대두보다 30∼40% 높았으며, 그 중에 동충하초와 SMY-212를 배양한 것이 가장 높았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단독 발효대두는 동충하초가 가장 높았으며, 2단계 배양한 발효대두는 팽이균사체와 SMY-212가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인체 전립선암 세포주(DU145)와 자궁암 세포주(Hela)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는 단독배양에 서 모두 팽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대두가 가장 높았으며, 2단계 배양에서 DU145에서는 팽이버섯과 아가리쿠스 균사체 배양물에 SMY-212를 이용한 발효대두가 높았고, HeLa에서는 팽이버섯, 동충하초, 새 송이버섯 균사체의 추출물 순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삶은 콩에 버섯 균사체의 단독배양보다는 버섯균사체와 SMY-212를 2단 배양한 발효대두 추출물이 암세포주 성장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