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동맥판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4초

대동맥판치환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Aortic Valve Replacement)

  • 김상형;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8호
    • /
    • pp.871-876
    • /
    • 1992
  • From August, 1986 to December, 1990, aortic valve replacement was performed in 33 Patients at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Of the valves implanted 25 were St. Jude, 7 Duromedics, and 2 Bjork-Shiley. The hospital mortality rate was 6.1% and the late mortality was none. Follow-up was done on 28 surviving patients; mean follow-up period was 31.21$\pm$16.96 months. Valve-related and anticoagulant-related complications were none. The actuarial survival rate was 93.4% at 5 years.

  • PDF

대동맥폐동맥창 (Aortopulmonary Window)

  • 김동진;민선경;김웅한;이정상;김용진;이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4호
    • /
    • pp.275-280
    • /
    • 2006
  • 배경: 대동맥폐동맥창은 매우 드문 질환이며 동반 심기형을 보이는 경우가 흔하다. 좌우 단락에 의한 과다한 폐 혈류량으로 조기 교정이 필수이나, 정확한 진단과 수술적 교정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20년간의 경험한 대동맥폐동맥창을 정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3월부터 2005년 1월까지 16명(남 10, 여 6)의 환자가 대동맥폐동맥창으로 진단되어 수술적 교정을 시행하였고,수술당시 평균연령은 $157.8{\pm}245.3$ ($15.0{\sim}994.0$)일이었고, 평균 체중은 $4.8{\pm}±2.5$ ($1.7{\sim}10.7$) kg이었다. 동반 심기형은 동맥관개존증(8예), 심방중격결손증(7예), 대동맥궁단절증(5예), 심실중격결손증(4예), 난원공(3예), 삼첨판막역류증(3예), 승모판역류증(2예), 대동맥판역류증(1예), 대동맥축착증(1예), 좌측상대정맥(1예), 우심증(1예)이었다. 수술 방법은 대동맥폐동맥창의 분리 절단 후 대동맥 부위를 일차 봉합 또는 첩포 봉합하고 폐동맥 부위를 일차 봉합 또는 첩포 봉합하거나(11예), 대동맥폐동맥창의 분리 절단 없이 동맥 내에서 첩포 봉합술을 하거나(3예), 대동맥궁단절 및 대동맥축착을 동반한 환자에서 하대동맥을 직접 대동맥 창에 봉합하였다. (2예). 결과: 사망한 경우가 1예 있었다. 환자는 기관지 분지부에서 상방 2.5 cm정도 심한 협착과 기관유래기관지가 우상엽과 연결되어 있었던 경우로, 기관성형술(sliding tracheoplasty)시행 후 과다 출혈로 술 후 5일째 사망하였다. 복잡 대동맥폐동맥창 환자의 입원 기간 및 중환자실 체류 기간이 더 길었으며, 재수술(5예)과 합병증의 빈도도 더 높았다. 재수술은 좌폐동맥 협착(4예), 우폐동맥 협착(2예), 주폐동맥 협착(1예) 등이 원인이었다. 평균 추적 기간은 $6.8{\pm}5.6$ (57.0일$\sim$16.7년)년이었고, 생존 환자의 추적 기간 동안 NYHA 기능분류는 모두 I이었다. 결론: 연구자 등은 대동맥폐동맥창으로 진단된 16명의 환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기 수술로 술 후 양호한 결과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동반 심기형의 적절한 수술적 교정이 만기 예후를 좌우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술 후 재협착의 빈도를 줄이기 위한 수술 전략의 재고가 요구된다.

승모판과 대동맥판 중복치환환자의 장기임상성적 (Long-Term Results of Double Mitral and Aortic Valve Replacement)

  • 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6호
    • /
    • pp.541-546
    • /
    • 1991
  • The Ionescu-Shiley bovine pericardial xenograft valve was the most common cardiac substitute valv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ince the follow-up extended for longer than 10 years, a total of and consecutive 107 patients with double mitral and aortic valve replacement using this valve from May 1979 to June 1984 were studied for the long-term clinical results. Their ages were 34.0$\pm$11.9 years at surgery, and eight patients died within 30 days of surgery with operative mortality rate of 7.5%. Ninety-nine early survivors were followed up for a total of 488.1 patient-years[Mean$\pm$SD, 4.9$\pm$2.7 years], and nine died with the linearlized late mortality rate of 1.84% /patient-year[pt-yr]. They experienced major complications: thromboembolism, 0.615% /pt-yr bleeding, 0.205% /pt-yr; endocarditis, l. 639%/pt-yr; overall valve failure, 6.146% /pt-yr; and primary tissue failure, 1.639%/ pt-yr. The actuarial survival rates were 91.4$\pm$2.9% and 89.6$\pm$3.4% at postoperative 5 and 10 years, and the probability of freedom from thromboembolism was 95.8$\pm$2.5% at 10 years. The primary tissue failure began to occur from postoperative 6 years and the probabilities of freedom from structural valve failure were 80.2$\pm$7.9% and 62.3$\pm$12.7% at 8 and 10 years after surgery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increasing number of patients with valve tissue failure after 6 years, the evidence of expected premature and accelerated valve degeneration among young population was not clear on the age-related analysis. And, no definite cumulative patient groups beyond the various age limits could be suggested for or against the use of this valve.

  • PDF

승모판과 대동맥판의 중복치환수술의 임상적 평가 (Clinical Results of Double Mitral and Aortic Valve Replacement)

  • 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1호
    • /
    • pp.54-61
    • /
    • 1985
  • One-hundred-and-seven patients were the consecutive cases of double replacement of the mitral and the aortic valves at the same time using the lonescu-Shiley bovine pericardial xenograft valve during the period between May, 1979 and June, 1984. They were 64 males and 43 females, and their ages ranged from 13 to 62 years [mean age, 34.011.9 years]. Eight patients died within 30 days after surgery [operative mortality rate, 7.5%], and 7 others thereafter [late mortality rate, 6.5%; or 4.21%/patient-year]. Ninety-nine early survivors were followed up for a total duration of 166.1 patient-years [mean duration, 20.116.1 months]. Two patients experienced thromboembolic complication with no death [1.20%/patient-year]; five developed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3.01%/patient-year] with one death; and three had a new development of aortic regurgitant murmur and they were, along with a mortality from endocarditis, classified into the cases of tissue valve failure [2.41%/patient-year]. The actuarial survival rate including the operative mortality was 82.24.7% at 6 years after surgery. The probabilities of freedom from thromboembolism and from valve failure were 97.61.7% and 88.67.6% at 6 years respectively. Symptomatic improvement was excellent in most of the cases at the follow-up end, showing the mean of the postoperative NYHA Classes of 1.120.33 from the preoperative one of 2.860.54. These results compares favorably with the ones reported from the major institutions. Clinical results of isolated replacement of the mitral valve and of the aortic valve were previously reported. The clinical results of a total and consecutive patients with replacement of single mitral and single aortic and double mitral and aortic valves on the mortality rate, survival rate, complication frequency, and symptomatic improvement all fully stands for the good therapeutic modalities of the valvular heart diseases with severely damaged lesions.

  • PDF

대동맥판 치환수술의 임상성적 (Isolated Aortic Valve Replacement with the Ionescu-Shiley Xenograft Valve)

  • 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1호
    • /
    • pp.46-53
    • /
    • 1985
  • A single aortic valve replacement using the lonescu-Shiley bovine pericardial xenograft valve was performed in 66 consecutive patients during the period from February, 1979 to June, 1984. They were 49 males and 17 females with ages ranging from 9 to 61 [mean, 31.113.1] years, and 9 of them were children younger than 15 years of age. Twenty-seven patients [40.9%] required the combined operative procedures to either other valvular lesions or congenital defects. There were 9 early deaths within 30 days of surgery [operative mortality rate, 13.6%] and 2 late deaths thereafter [late mortality rate, 3.0%; or 1.75%/patient-year]. The 57 early survivors were followed for a total duration of 114.2 patient-years [mean, 24.016.0 months]. Four patients experienced thromboembolic complication with no death [3.50%/patient-year]; one died from intracranial bleeding related to anticoagulation [0.88%/patient-year]; one recovered from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0.88%/patient-year]; and four developed aortic regurgitant murmur with none or minimal cardiac symptoms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cases of tissue valve failure [3.50%/patient-year]. The actuarial survival rate was 82.34.7% at 6 years, and the actuarial probabilities of freedom from thromboembolism and valve failure were 93.33.9% and 89.15.8% at postoperative 6 years respectively Symptomatic improvement was excellent in most late survivors at the follow-up end with the mean of NYHA Classes of 1.040.19 while the one was 2.290.67 at the time of operation. Excluding the higher operative mortality rates, these clinical results are fully comparable with the ones of reports from the major institutions using the porcine aortic or the bovine pericardial tissue valves and warrants the continued use of the xenograft valve in the aortic position. The importance of more detailed preoperative evaluation of the myocardial function and the need of improved myocardial preservation during surgery for the improved early clinical results were discussed.

  • PDF

Ross 수술시 사용한 Shelhigh 폐동맥판 도관의 조기 실패 -2예 보고- (Early Failure of the Shelhigh Pulmonary Valve Conduit in Ross Operation - Two case reports-)

  • 장우성;김동중;김진현;한국남;최창휴;김웅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382-384
    • /
    • 2005
  • 소아의 우심실-폐동맥 연결에 이용되는 판막 도관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현재까지 동종이식편(homograft) 판막도관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유아에서는 크기 및 공급에 제한점이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크기의 이종이식편(xenograft) 판막도관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여 하나의 대안으로 여겨지지만 이 역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선천성 대동맥판 협착증으로 Ross 수술을 시행한 2예에서 우심실 유출로 도관으로 이용한 $Shelhigh^{(R)}$ porcine-valved conduit (SPVC)에 심한 가성내막껍질형성(Pseudointimal peel formation)으로 조기에 도관 교환이 필요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대동맥판(大動脈瓣) 폐쇄불전증(閉鎖不全症)으로 흉통(胸痛)을 호소하는 태음인(太陰人)환자의 가미조리폐원탕(加味調理肺元湯) 치험례 (A Case of Chest Pain in Taeumin Caused by Aortic Regurgitation Treated with Gamijoripewontang)

  • 김동우;김수용;한창호;이성환;이동민;하상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64-472
    • /
    • 2004
  • Aortic regurgitation occurs when there is a leakage of the valve backward into the left ventricle during diastole. Chronic aortic regurgitation may be present for decades before any symptoms occur. The left ventricle is able to compensate for the large volume of blood that flows backward by enlarging the cavity and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muscle. This mechanism allows the heart to pump out both the amount of blood required by the body and the blood that has gone backward into the left ventricle. One patient who had chest pain from exercise was treated. He was diagnosed with aortic regurgitation LVH by echocardiography. Signs showed him to be of Taeumin-type with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He was prescribed Gamijoripewontang for 75 days, and improvement of clinical symptoms were observed. Results support prescription of Gamijoripewontang as an effective treatment for Taeumin-type patients suffering chest pain caused by aortic regurgitation.

  • PDF

급성대동맥해리에 대한 혈압강하요법으로서의 Nicardipine.HCI 주사액(Perdipine$^{circledR}$)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한 다기관 공동, 공개 제4상 임상시험 (Nicardipine Hydrochloride Injectable Phase IV Clinical Trial-Study on the antihypertensive effect and safely of nicardipine for acute aortic dissection)

  • 김경환;문인성;박장상;고용복;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4호
    • /
    • pp.267-273
    • /
    • 2002
  • 배경: 저자들은 한국인에 있어서의 급성대동맥박리에 대한 nicardipine의 혈압강하요법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국내 제4상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31명의 대동맥 질환 환자에서 시험약의 투여 전후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심박수 등을 시간변화에 따라 비교 관찰하였다. 시험약식 투여기간은 원칙적으로 3일 이상 14일 이하로 하였으며, 투여 3일째의 평균혈압강하도를 평가하였다. 시험약 사용전 다른 강압제를 사용하고 있었던 경우는 기존 사용약제의 용량을 줄이면서 시험약으로 대체하여 결국 기존 사용약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결과: 연구의 대상이 된 환자는 급성 대동맥 박리가 28명, 대동맥궁류 파열이 2명, 외상성 대동맥 파열이 1명이었다. 연령은 53.9$\pm$14.9(29~89)세였고, 남자가 21명 (67.7%)이었다. 대동맥질환에 기인한 합병증은 대동맥판 폐쇄부전이 7례, 혈성심낭 6례, 급성 신부전 1례, 하지마비 1례, 하지허혈 1례 등이었다. 목표혈압 도달은 15분이내가 16례로 가장 많았고, 15분이상 30분이내가 10명, 30분이상 45분이내가 3명, 45분이상 60분 이내에 도달한 경우가 2명이었다. 관찰기 혈압은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안, 평균혈압이 각각 147$\pm$23mmHg, 82.3$\pm$18.6mmHg, 104$\pm$18mmHg이었고, 3일째 측정하였을 때 119$\pm$12mrnHg, 69$\pm$grnmHg, 86$\pm$BmmHg로 의미있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Nicardipine 투여 종료 시에측정한 수축기 혈압, 이완기혈압, 평균혈압은 각각 119$\pm$ 15mmHg, 70$\pm$ 14mmHg, 86$\pm$ 13mmHg로 3일째 측정한 혈압과 비교하였을 때 의미있는 상승 혹은 하강현상은 관찰되지 않았고 비교적 혈압 하강 상태가 잘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속적 정맥 투여 중 부작용은 뚜렷하게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대동맥 박리에 동반된 고혈압에서 nicardipine을 사용하여 만족할만한 혈압하강 효과를 얻었으며, 뚜렷한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대동맥박리증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the Aortic Dissection)

  • 정종필;송현;조유원;김창희;이재원;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2호
    • /
    • pp.1360-1365
    • /
    • 1996
  • 1992년 9월부터 1996년 5월까지 수술을 시행한 대동맥박리증 환자 38례를 대상으로 수술의 조기성적을 검토하였다. 수술시 연령은 23세에서 78세사이로 평균 52.1 $\pm$2.2세였고, 남자가 21명 여자가 17명이 었다. 병리학적 진단을 보면 급성 대동맥박리증이 23례, 만성 대동맥박리증이 15례였다. 급성 대동맥박리증에서 DeBakey type I이 17례, type II가 5례, type III가 1례 였으며, 만성 대동맥 박리증에서 DeBakey type I이 6례, type II가 6례, type III가 3례였으며, 고혈압이 동반된 경우가 23례였으며, 8례의 환자에서 Marfan증후군이 동반되어 있었다 수술은 34례의 DeBakey type I, II의 환자군에서는 정중흉골절개와 서혜부절개하에서 대퇴동맥과 대퇴정맥이나 우심방이 개로 상관하여 초저체온법(식도온도 12$^{\circ}C$)및 완 전순환정 지(평균 25$\pm$1.7분)하에 대동맥대 치술을 시행하였다. 4례의 DeBakey type III의 환자군에서는 좌측 홍복부절개하에서 정상체온을 유지하면서 심폐기를 사용하지 않고 근위부대동맥을 단순직접차단 하여 병변부위를 제거하고 근위부 및 원위부 문합을 시행하였다. 평균 대동맥 차단시간은 30$\pm$1.5분이었다. 수술사망이 1례(2.6 )에서 발생하였는데 위궤양출혈과 관련된 질식으로 사망하였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1례의 심근경색의 소견과 일시적인 비골신경마비가, 1례에서 일시적인 하지근력약화가, 2주간 의 인공호흡기의 사용이 1례에서 있었다. 수술후 평균 추적기간은 25개월이었는데 만기사망은 없었고, 2명의 환자에서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1례는 Marfan증후군이 동반된 DeBakey type III로 수술후 7개월 후에 역 행성으로 확장된 박리로 Bentall술식을, 1례의 DeBakey type I의 환자에서 상행대동맥대치수술 후에 1달 뒤에 나타난 대동맥판폐쇄부전의 소견으로 재수술을 Bentall술식으로 시행하였다.

  • PDF

좌관상동맥동과 비관상동맥동이 좌심실로 파열된 발살바동 동맥류 (Ruptured Sinus of a Valsalva Aneurysm into the Left Ventricle with the Rupture Site Communicating with the Left Coronary Sinus and the Left Noncoronary Sinus)

  • 이홍규;김근직;이종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1호
    • /
    • pp.96-99
    • /
    • 2009
  • 좌관상동맥동과 비관상동맥동에서 발생하여 좌심실로 파열된 발살바동 동맥류에 기인한 울혈성 심부전을 주소로 내원한 37세 남자 환자의 수술적 체험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술전 심초음파에서 발살바동 주위의 낭성 구조물이 관찰되었고 좌심실 비대와 심한 대동맥판폐쇄부전이 관찰되었고 발살바동맥류와 대동맥-좌심실터널을 감별진단의 범주에 두었다. 수술 소견에서 좌관상동맥동과 비관상동맥동 모두 좌심실로 통하는 누공을 가지고 있었다. 좌심실로 파열된 누공은 bovine pericardium으로 봉합하였으며 대동맥근부는 21 mm St. Jude Epic Supra tissue valve와 24 mm Hemashild의 복합도관을 사용하여 교정된 Bentall 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15일째 퇴원하였으며, 2개월간 정기적으로 외래추적 관찰중이다. 이에 저자들은 본 질환의 희귀성과 함께 수술적 방법을 알리고자 증례보고 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