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도시 지역

검색결과 764건 처리시간 0.053초

도시 및 농촌 여고생의 영양지식과 식습관이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on Nutrient Intake in High School Girl Students)

  • 박은숙;이유숙;주은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7-176
    • /
    • 1996
  • 대도시 지역으로 서울과 부산에 사는 여고생 164명중 소도시 지역으로 전주시와 익산시 여고생 289명, 농촌지역으로 전북 삼례읍과 김제군 여고생 252명을 대상으로 영양지식, 식습관, 영양소 섭취 상태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고생들의 영양지식에 대한 인지도는 대도시 80.1%, 중소도시 83.9%, 농촌 76.0%이며, 정확도는 대도시 62.0%, 중소도시 64.2%, 농촌 56.3%로 영양지식의 정확도와 인지도가 p=0.001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영양지식 점수의 분포는 총 30점 만점 중 16-20점 사이가 대도시 53.1%, 중소도시 51.9%, 농촌 57.1%로 가장 많았다. 영양지식 점수는 30점 만점중 대도시 여고생 14.90점, 중소도시 16.16점, 농촌 12.84점, 식습관 점수는 26점 만점 중 대도시 12.5점, 중소도시 11.8, 농촌 10.3점으로 p=0.01수준에서 지역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영양지식과 식습관의 상관관계는 중소도시 여고생의 경우 p=0.01수준에서 유의적이며, 대도시 여고생의 경우는 p=0.05수준에서 유의적 이었고, 상관계수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각각 0.063, 0.168, 0.012로 낮게 나타났다. 식 습관 점수가 good군에 속하는 대 상자는 도시지역 여고생의 수가 더 많았으며, 영양지식 점수는 도시 여고생에 비하여 농촌 여고생의 영양지 식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식습관 점수가 fair군에 속하는 대상자의 영양지식 점수는 도시거주 대상자의 영양지식 점수가 농촌 대상자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농촌거주 대상자의 식습관이 도시 거주 대상자의 식습관에 비하여 양호하지 못하며, 영양지식 점수 역시 대도시 중소도시에 비하여 농촌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1일 영양소 섭취량은 에너지 섭취량은 대도시 1813.4 kcal, 중 소도시 1787.6kcal, 농촌 1832.6 kcal로 권장량의 86.4%, 85.1%, 87.3%를 섭취하였으며, 단백질 섭취량은 대도시 75.4g, 중소도시 71.2g, 농촌 65.5g, 지방의 섭취량은 대도시 46.7g, 중소도시 43.3g, 농촌39.1g이었고, 탄수화물의 섭취량은 대도시 278.6g, 중소도시 283.9g, 농촌309.8g이었다. 단백질, 인, 비타민 A 비타민 C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 모두 권장량보다 많이 섭취하고 있으며, 나이아신은 대도시 지역 여고생만 권장량보다 더 섭취하였고, 에너지, 비타민 B$_1$, 비타민 B$_2$는 연구대상자 모두 권장량보다 미달되게 섭취하였으며, 특히 칼슘과 철분의 섭취량은 권장량보다 많이 미달되었다. 단백질, 지방은 대도시 여고생이 농촌 여고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였으며, 나이아신은 대도시 여고생이 중소도시 및 농촌 지역 여고생보다 많이 섭취하였고, 탄수화물은 농촌지역 여고생이 대도시 지역 여고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였다. 지역별 여고생의 에너지섭취 비율은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의 섭취 비율이 대도시 60.75% : 16.4% 22.9%이며, 중소도시가 62.7% : 15.7% : 21.5%,농촌이66.8% : 14. l% : 19.1%이었다. 영양지식의 정확도나 인지도는 영양소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대도시 여고생의 식습관은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C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중소도시 여고생의 식습관은 영양소 섭취와의 상관관계가 유의적이지 않았다. 농촌지역 여고생의 식습관은 단백질, 인 철,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나이아신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대도시 지역 여고생의 영양지식은 식습관과 관계가 있고, 식습관은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C의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그러나 중소도시 지역 여고생의 영양지식은 식습관과의 상관관계가 높으나, 식습관이 영양소 섭취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농촌지역 여고생의 영양지식은 식습관과의 상관관계가 낮으나, 식습관은 단백질, 인, 철분,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나이아신의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영양교육은 지역적인 특수성과 대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 PDF

연안복잡지역에서 해풍발생시간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for Onset time of Sea breeze over a Complex Coastal Area)

  • 이화운;김유근;정우식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6-187
    • /
    • 1999
  •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대도시가 연안지역에 위치해 있고 이들 대도시는 대규모 공단지역을 포함하고 있어 오염물질의 거대한 배출원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지형적인 특성을 보면, 내륙과 마찬가지로 연안부근 대도시의 경우도 산악성 지형의 형태를 띄고 있으며 연안의 굴곡도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대도시 지역에서 고농도의 대기오염이 나타나는 경우는 종관기상장의 영향이 적어서 국지순환계의 영향이 크게 부각되는 기간이다.(중략)

  • PDF

제주지역 대기질 변동특성 : $O_3$과 NO$_2$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Air Quailty over Jeju Island : Variations of $O_3$ and NO$_2$)

  • 오태권;박용이;허철구;이기호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9-420
    • /
    • 2003
  • 대기질의 특성 및 변동에 관련된 많은 연구는 대부분이 대도시 또는 대도시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연구로부터 대도시에서의 대기질, 특히 오존의 변동 특성 및 기타 오염물질과의 관계 등에 대한 많은 자료가 축적되어왔다. 그렇지만 대도시의 오존농도가 대도시내에서의 생성 및 소멸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대기운동과 관련된 수송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밝혀짐에 따라 청정한 대기상태에서 배경농도 특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중략)

  • PDF

지역간과 대도시 화물자동차 통행발생 특성 비교 (The Comparison Between Regional and Urban Truck Movement Characteristics)

  • 한진석;박민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1559-1569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적 범위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 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지역간 및 대도시 화물수요모형 추정의 차이점을 도출하고 지역적 범위에 적합한 화물수요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역간 및 대도시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화물자동차 속성, 출발지 특성, 도착지 특성, 적재품목을 고려한 서열로짓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다양한 특성이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간 화물자동차와 대도시 화물자동차의 통행발생 특성은 화물자동차 속성, 출발지 특성, 도착지 특성, 적재품목에서 모두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간 화물자동차는 대도시와 달리 출발지 및 도착지 유형이 제조업이고, 출발지 및 도착지의 산업단지 생산액이 클수록 통행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대도시 지하수 수질의 공간적 변화 특성

  • 유순영;윤성택;소칠섭;채기탁;이평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39-142
    • /
    • 2001
  • 서울시 대도시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및 오염 특성을 토지 이용 특성(청정지역, 주거지역, 농업지역, 교통혼잡지역, 공단지역)과 관련하여 고찰함으로써 대도시 지하수 수질의 효율적 관리에 활용하기 위한 3개년 모니터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소개한다. 총용존고체 함량(TDS)은 지하수 수질 특성 파악에 손쉽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파라미터임이 확인되며, 청정지역, 주거지역, 농업지역, 교통혼잡지역, 공단지역의 순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따라서, 서울 도시 지하수 수질은 일차적으로 부근의 도시화 특성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한편, 청정지역의 수질 특성 자료를 제시하여 지하수 오염도 평가의 기준(배경 수질) 자료로 활용토록 하였다. 서울 동부 지역 암반 지하수의 수질 특성을 보면, 강북, 노원, 도봉 등 중랑천 상류 지역의 지하수가 동대문, 성동, 송파구 등 하류쪽의 지하수에 비해 낮은 TDS 함량을 갖는 경향이 있다. 서부 지역 지하수는 동부 지역에 비해 높은 TDS 값을 보이며, 공단부지 면적이 큰 영등포, 금천, 구로구 일대 및 종로, 중구 등 교통혼잡지역 등에서 매우 높은 TDS 함량을 나타내었다. 결국, 서울시 지하수의 TDS 함량은 수-암 반응보다는 인위적인 오염원에 의해 크게 지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인구 및 통근자 자료 분석을 통한 도시확산현상 및 지역 간 상호작용 검증 - 서울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 (Investigation of Urban Sprawl and Interregional Interaction by Demographic and Commuting Data -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

  • 박제인;최낙훈;장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7-88
    • /
    • 2006
  • 서울시와 인천광역시, 그리고 경기도가 포함된 서울 대도시권에서는 1990년 이후 인구집중현상이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서울시의 인구억제정책에 따라 인천광역시 및 경기지역으로의 인구집중이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의 대도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도심공동현상의 확인을 위하여 서울 대도시권의 역사적인 인구자료를 분석하였고, 서울 대도시권의 확산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구자료로부터 산출한 순위변화지수(RMI: Rank Mobility Index)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 간 상호작용 분석에 유용한 자료로서 최근 미국에서도 대도시를 정의하는 유일한 기준으로 사용될 만큼 그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통근자 자료를 본 연구에서도 분석하였다. 인구 자료의 분석 결과, 서울시의 인구는 1990년 이래 정체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내부적으로는 외곽에 위치한 구 및 동으로의 편중현상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또한 순위변화지수의 분석으로 대규모 개발과 인프라 건설이 집중된 서울 이남지역을 위주로 서울 대도시권이 불균형적 확산을 지속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통근자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서울 주변지역의 자족성이 높아질수록 서울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서울대도시권의 효율적인 계획 및 관리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한반도 NDVI에 따른 식생비율의 변화

  • 안지숙;임진욱;김해동;한경수;염종민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60-46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NASA에서 제공하는 자료 중 월 별 식생지수 자료(vegetation indices monthly global 1km)를 수집 분석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른 식생비율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8월에는 전체의 식생지수가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산악지역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 대도시 지역에서는 식생지수가 적게 나타나고 있다. 대도시 지역에서는 계절에 따라 식생비율의 차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반면, 산악지역이나 농지지역에서는 식생비율의 차가 크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 PDF

창의적 인물에 대한 지역 및 세대별 인식차이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about Different Perceptions on Creative Individuals in South Korea)

  • 김성환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192-201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의 대도시와 농촌 그리고 신세대와 기성세대 사이의 창의적 인물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국내 대도시와 농촌지역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각자가 생각하는 창의적 인물 및 특성에 대해 조사했다. 이러한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창의적 인물의 창의적 특성 리스트를 제작하여 대도시 및 농촌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추가 설문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첫째, 대도시 지역 및 신세대 응답자들은 주로 기업인을 창의적 인물로 언급했으며 해당 인물이 창의적인 이유를 창의적 사고, 성향 및 산물 요인으로 설명했다. 하지만 농촌 지역 및 기성세대 응답자들은 정치인을 창의적 인물 또는 직업군으로 언급했고 그들이 창의적인 이유를 사회적 명예 및 도덕성 요인으로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대도시와 농촌지역 중학생들 사이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였다.

대도시 아파트단지내의 열섬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Heat Island Effect in Great Apartment Area)

  • 장은숙;엄태인;문승현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6-287
    • /
    • 2002
  • 정부와 민간이 대단위 택지 개발사업을 추진하면서 그 지역의 기후조건 및 자연환경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획일적이고 평면적인 단지를 조성함으로써 대도시의 대단위 아파트 지역에서 여름철, 강한 일사량과 약한 풍속으로 인한 일시적인 역전현상 및 열섬효과로 인하여 주변지역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들의 확산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대단위 아파트 단지조성 시에 도로와 아파트 대형건물의 배치 등 기류이동을 고려하지 않고 건설하므로 주위의 오염물질이 풍향 및 풍속에 따라 단지 내에 정체하여 건물의 실내로 들어가 또 다른 실내오염을 야기 시키게 된다. (중략)

  • PDF

미국 대도시 교외지역의 분할된 자치정부와 공공서비스 : 세인 트 루이스를 사례로 (Suburban government fragmentation and public service provision : A case of St.Louis County suburbs)

  • ;권상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89-410
    • /
    • 1995
  • 미국 대도시의 교외지역은 재정적으로 독립된 자 치시와 특별구의 등장으로 공간적으로 분할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들 독립된 자치구역들 은 지리적으로 한정된 서비스 영역을 가지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비용을 지방세로 충당한 다는 점에서 교외지역 주민의 복지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미국 대도시 교 외지역에 나타나는 분할된 행정구역의 공간조직을 이해하기 위하여 첫째 대도시 주변에서 자치시와 특별구를 형성하는 목적을 개괄하고, 둘째 세인트 루이스를 사례로 분할된 자치구 역과 세기반의 지리적 분포 그리고 이의 차이가 공공서비스의 수준으로 연계되어 나타남을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교외지역의 자치시와 특별구들은 독립적인 과세와 서비스 제공 의 권한을 가지며 지리적으로 특정장소를 점하고 있는 부동산을 주요 세원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자치구역의 형성은 세금부담을 낮추고 공급받는 서비스 수준을 높이려는 자치구역내 주민들의 단체행동의 산물로서 지역마다 담세율과 공공서비스 수준의 차이를 보이는 분할된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사례로 살펴본 세인트 루이스시 교외지역은 자치시와 특별구가 혼재 하여 1986년 당시 90개의 자치시, 25개의 공립학군, 64개의 소방구역, 36개의 하수처리구역 등을 포함하고 있다. 자치시와 공립학군간의 재산세 과세기반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며 이 들 과세기반의 차이를 기준으로 세가지의 분석을 시행하였다. 첫째, 지출규모로 본 경찰 그 리고 공질학교의 서비스 수준과 연계시켜 분석한 결과는 주민-학생 일인당 지출은 자치정 부의 과세기반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자치정부간의 재정능 력의 차를 줄이기 위하여 판매세, 주 그리고 연방정부의 보조가 있으나 이들을 재산세에 더 하여 분석한 결과는 재산세-서비스 지출의 연계가 그다지 약화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 다. 셋째, 자치행정구역은 실제로 다양한 과세율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개인별 소득수준에 비춘 과세부담은 서비스 수준과 역관계로 나타나 낮은 수준의 서비스를 공급받는 자치구역 이 높은 과세부담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미국 대도시 교외지역의 행 정구역 분할은 지리적 입지의 특성을 갖는 재산세에 기반하여 낮은 과세부담으로 높은 수준 의 서비스를 제공받으려고 교외지역 주민들이 추구한 집합소비의 결과라 하겠다. 이는 지역 간의 과세기반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공공서비스 수준의 차이를 고착화시키며 행정구역의 공 간조직에 기본적인 분할의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