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나무류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산 꼬리가루깍지벌레속의 재정리 (노린재목: 가루깍지벌레과) (Notes on Antonina Mealybug of Korea (Hemiptera: Pseudococcidae))

  • 이용현;서수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71-73
    • /
    • 2011
  • 한국의 대나무류에 다리가 퇴화한 꼬리가루깍지벌레속의 Antonina nakaharai Williams and Miller 대나무꼬리가루깍지벌레(신칭)가 발생함을 확인하고, 한반도에 분포하는 꼬리가루깍지벌레속 3종 동정에 필요한 검색표를 함께 정리하였다.

자작나무류, 대나무류 및 다래나무 수액의 성분조성 (The Components of the Sap from Birches, Bamboos and Darae)

  • 성낙주;정미자;이수정;신정혜;조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27-733
    • /
    • 1995
  • 수액은 약리작용이 있다하여 민간요법으로 오랜기간 이용되어 왔으나 이에 관한 과학적인 연구는 의외로 적다. 더우기 요즈음은 환경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자연 무공해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수액의 효율적인 이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자작나무류, 대나무류 및 다래나무 수액을 이용하여 천연 건강음료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져 무기물, 유리당, 아미노산, 핵산관련 물질 등을 분석하였다. 수액 중 무기물은 총 5종이 검출되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칼슘, 칼륨이 월등히 많았고 다음으로 마그네슘, 나트륨, 철분의 순이었다. 특히 대나무류 수액에서 무기물이 풍부하여 칼슘이 242.0~422.1mg/L, 칼륨이 793.8~2504.1mg/L 및 마그네슘이 72.6~165.9mg/L로 높게 정량되었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가 검출되었고, malr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자작나무 수액(#2)에서 glucose(42.1g/L), fructose(36.9g/L)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핵산관련 물질은 CMP, UMP가 정량되었고 GMP, IMP, AMP, hypoxanthine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아미노산은 18종 검출되었는데 총 아미노산은 2.4~30.4mg% 범위였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자작나무 수액(#1, #2)에서 taurine, glycine, lysine, alanine과 threonine이었으며, 거제수나무 수액(#3)과 물박달나무 수액(#4)에서는 glutamic acid와 lysine, 대나무 수액(#5, #6, #7)은 lysine, valine, alanine, serine, tyrosine과 glutamic acid였고, 다래나무 수액(#8)은 leucine과 alanin이었다.

  • PDF

삼천포 수역 죽방렴 어장의 구조와 유향유속

  • 강경미;전용호;신현옥;류청로;황보규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9-60
    • /
    • 2001
  • 함정그물은 어살류와 낙망류로 나뉜다. 그 중 죽방렴은 고정목을 설치하여 어획하는 어구로서 어살류에 속한다. 죽방렴은 유속이 매우 빠른 남해안 협수로에서 이루어지는 어업으로, 날개와 발통 두 부분으로 구성된 어구이다. 어구의 구조는 해저에 돌을 쌓아올려 그 위에 고정목을 박아 V자형 날개를 설치하고, V자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곳에 발통을 설치한다. 과거에는 발통 부분을 대나무로 엮어서 만들었기 때문에 죽방렴이라 했으나, 현재는 대나무 대신 망목 크기가 작은 그물을 발통 내부에 둘러싼다. (중략)

  • PDF

핫이슈-우뭇가사리로 종이만든다

  • 조갑준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53호
    • /
    • pp.102-105
    • /
    • 2006
  • 홍조류의 일종인 우뭇가사리에서 채쥐한 섬유소로 제작된 종이(펄프)가 최근 서영범 충남대학교 임산공학과 교수에 의해 공개됐다. 지금까지 목재 펄프가 아닌 비목재 펄프에 대한 도전은 많았다. 볏짚, 사탕수수, 갈대, 대나무 등 주로 지상에서 채취되는 원료를 사용했는데, 해조류를 활용한 것은 지극히 예외적인 경우로 더욱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 PDF

한국산(韓國産) 왕대나무림생(林生) 진균류(眞菌類)(lI) (Soil-borne Fungi of Phyllostachys reticulata Forests in Korea(II))

  • 김관수;이지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5-51
    • /
    • 1980
  • 본(本) 연구(硏究)는 1977년(年) 5월(月)부터 1979년 7월(年) 말일(末日)까지 충남(忠南) 예산지역(禮山地域)(A)과 전남(全南) 광산지성(光山地城)(B)의 양(兩) 왕대나무Phyllistachys Reticulata 숲에서 분리(分離)하고 순수배양(純粹培養)하여 동정(同定)한 진균류(眞菌類)의 기재(記載)이다. 이 결과(結果)로 55종(種)의 균류(菌類)(Table I )가 알려졌다.

  • PDF

정공청 장군 유품(중요민속자료 38호)의 분석과 보존처리 (Identification and conservation of Kongchong Jung's relics)

  • 정영동;강애경
    • 보존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5-53
    • /
    • 1998
  • 조선시대의 정공청 장군의 유품 중 무기류의 주요한 재료인 목재의 보존을 위한 사전조사로써 재질조사와 수종식별 및 보존처리를 하였다. 재질의 구조적인 조사는 육안 및 X-ray로 실시하였으며 유물의 상태는 일부 미세한 할렬이 나타났지만 대체로 양호하였다. 광학현미경을 통한 수종조사 결과, 각 유품의 해당수종은 화살대가 대나무류, 깃봉이 육박나무, 깃대가 물푸레나무류, 족자대가 소나무이었다. 보존처리를 위한 치수 안정화 약재로써 세틸 알코올로 처리하였으며, 처리 후 접합고정에는 초산 비닐계와 에폭시계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 PDF

GIS를 이용한 대나무류 분포 유형 구분 및 확산 특성 평가 (Assessment of Expansion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Distribution Types for Bamboo Forests Using GIS)

  • 유병오;박준형;박용배;정수영;이광수;김춘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5-6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방치되어 있는 대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GIS를 이용하여 분포 유형구분 및 확산 특성을 평가하였다. 대나무 분포 유형은 확산형, 관리형, 혼합형, 쇠퇴형, 분리형 순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대표적인 확산 특성을 보이고 있는 대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1980년~2010년 30년간 공간 시뮬레이션 한 결과, 사천지역의 죽종혼효 임분은 확산면적 2.5ha, 확산속도 0.08ha/yr, 확산거리 1.1m/yr로 나타났다. 거제지역의 죽순대 임분은 확산면적 1.9ha, 확산속도 0.06ha/yr, 확산거리 0.9m/yr로 나타났으며, 계곡, 능선을 따라 확산 이동하는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결과는 대나무 확산 방지 기술 개발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대나무 자원의 관리 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부산 배산성지 1호 집수지 출토 대나무 발 수습 및 보존처리 (Conservation Treatment on the Bamboo Sunblind from the No. 1 Catchment Site in Baesanseongji, Busan)

  • 박지현;박정혜;이광희;서연주;박정욱;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36-544
    • /
    • 2021
  • 배산성지 1호 집수지 내 출토 대나무 발의 안정적인 보존처리 수행으로 향후 안전한 관리와 가치 향상을 꾀하였다. 다양한 분석결과 발의 제작에 사용된 주재료는 대나무였으며, 초본류를 사용하여 대나무를 엮고 두 재료 간의 접착을 위해서 옻칠을 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블록 형태로 수습한 대나무 발은 세척 동안 흐트러지지 않도록 임시 석고틀을 제작, 결구하여 고착된 오염물과 흙을 모두 제거하고 개별로 분리하여 세척하였다. 이후 강화처리를 위해 PEG 함침법을 적용하였다. 예비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건조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유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고정틀로 형태를 고정한 후 진공동결건조를 실시하였다. 유물의 표면안정화를 위한 표면처리제는 PEG 20%(In Ethyl Alcohol)를 적용하였다. 표면처리 후 대나무발은 최대 길이에 맞춰 편을 접합하고 교란층과 같은 미상부재를 최대한 활용하여 결실부를 채워 배접방식으로 발의 형태를 최대한 복원하였다. 배접된 대나무발은 제작한 틀에 고정하여 보존처리를 완료하였다.

대나무류 3종 소다-안트라퀴논 펄프 내 존재하는 hexeneuronic acid가 카파 값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hexeneuronic acid on kappa number determination in 3 different bamboo soda-anthraquinone(AQ) pulps)

  • 송우용;이규성;이숙경;신수정
    • 펄프종이기술
    • /
    • 제48권3호
    • /
    • pp.73-79
    • /
    • 2016
  • Hexeneuronic acid in soda-anthraquinone(AQ) pulps from Moso bamboo(Phyllostachys pubescebs), Timber bamboo(Phyllostachys bambusoides) and Henon bamboo(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was investigated with mercuric chloride hydrolysis and UV spectroscopic quantification. Concentration of hexeneuronic acid in bamboo pulps was $36.6-45.4{\mu}mol/g$, which contributed to 3.1-3.9 value increase of kappa number. Lower concentration of 4-O-methylglucuronic acid in bamboo xylan contributed to lower hexeneruonic acid content in bamboo pulps than those of hardwood(yellow poplar or eucalyptus) but higher than softwood(red pine).

대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코팅쌀 제조 및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of Rice Coated with Bamboo Extract)

  • 정기태;주인옥;류 정;최정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25-330
    • /
    • 2004
  • 대나무 추출액을 쌀에 코팅하는 조건, 코팅쌀의 취반 특성, 기능성 및 포장방법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나무 추출액 별 코팅 취반미의 관능은 알코을 추출액 코팅쌀이 향과 맛은 가장 양호하였으나 질감은 차이가 없었다. 대나무 알코을 추출액의 코팅량 별 쌀의 색도는 L, a, b값 모두 코팅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되었으나 밥은 L값만 감소되었으며 밥의 관능은 10$\%$ 코팅 처리에서 향과 맛이 양호하였다. 코팅쌀의 취반 후 물성은 경도, 검성, 씹힘성은 청결미 보다 높았고 응집성, 탄력성, 부착성은 낮은 경향이었다. 대나무 추출액 코팅쌀의 무기성분은 청결미보다 모든 성분 함량이 높았는데 특히 K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코팅쌀의 취반특성은 청결미 보다 흡수율과 팽창율은 낮았으나 토요식미지수는 높았다. 코팅쌀의 포장방법 별 식미는 청결미보다 약간 우수하였으며 종이포장에서 토요식미지수와 알카리붕괴도가 가장 높았다. 코팅쌀 취반미의 24시간 저장후 총 균수는 청결미 보다 감소되었으며 물성 중 경도, 부착성, 검성, 씹힘성은 청결미 보다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