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 질소 침적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Measurements of Nitrogen and Sulfur Deposition to Lake Paldang (팔당호로의 질소와 황성분 침적 측정)

  • 김영성;진현철;김진영;임은정;이시혜;김용표;심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31-132
    • /
    • 2002
  • 우리나라는 식수의 90% 이상을 지표수로부터 얻고 있다. 그만큼 식수를 위한 취수가 외부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원칙적으로 어떠한 대기오염물질의 침적도 수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황과 질소분은 대표적인 산성물질로 수질을 산성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주요 하천과 호소는 적지 않은 양의 산성물질 침적에도 불구하고 pH는 상수원수 등급기준인 6.5-8.5사이로 양호하다 (환경부, 2001). 하천, 호소의 완충 능력이 침적에 비하여 충분함을 의미하나 구체적 메커니즘은 분명치 않다. (중략)

  • PDF

Estimation of Dry Deposition of Nitrogen and Sulfur Compounds over the Greater Seoul Area (서울.수도권 지역의 질소화합물 및 황화합물에 대한 건식 침적량 추정)

  • 김진영;김영성;김용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89-90
    • /
    • 2000
  • 건식 침적은 강수가 없는 경우에 대기중의 오염물질이 식생, 토양, 수면 등의 지표면으로 직접 이동되는 과정을 일컫는 것으로서, 다음 식 (1)과 같이 대기중 오염물질의 농도와 건식 침적속도의 곱으로서 건식 침적속을 구할 수 있다. F=$V_d$.C 이때, F는 건식 침적속 (g/$\textrm{m}^2$/sec), $V_d$는 건식 침적속도 (m/sec), C는 대기중의 오염물질 농도 (g/$\textrm{m}^3$)이다. (중략)

  • PDF

Property changes of aerosol due to sea-salts (에어로솔의 해염성분에 의한 물성변화)

  • 김용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355-356
    • /
    • 1999
  • 대기오염물질의 침적에 의해 호소나 연안해수의 조성이 변화하여 수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러 논의가 있었다. 특히 질소화합물의 대기로부터의 유입에 의한 부영양화는 적조 등의 현상을 일으켜, 연안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연안에서 침적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양을 추산하기 위해 에어로솔상의 이온성분을 측정하는 것은 침적 현상이해에 매우 중요하다.(중략)

  • PDF

Estimation of Gaseous Air Pollutants Deposition Fluxes at Yong-dam Reservoir (용담호 주변지역 가스상 대기오염물질 침적량 추정)

  • 김학민;정구회;김재분;정재호;이범진;김선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64-365
    • /
    • 2003
  • 최근 대기기인 오염물질이 환경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호소수질에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호소에 유입되는 영양염류 중 질소화합물에 대한 기여수준을 평가한 최근자료에 의하면 대규모 호소 중 89%에 상당하는 호소수내의 질소성분이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양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초과된 질소성분 중 최고 38%가 대기오염물질과 관련된 질소성분인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중략)

  • PDF

Dry deposition Characteristics of Chuamho (주암호 지역의 대기건성침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장영환;정장표;이승묵;전의찬;신상철;장남익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28-130
    • /
    • 1999
  • 대기오염물질의 침적현상은 대기 중에 부유하는 독성물질의 거동에 영향을 미치고 대기오염물질이 대기로부터 수면 또는 지표로 이동하는 주요 경로이며 이로 인하여 식물성장에 대한 피해 및 토양오염, 수질오염을 야기시키는 등 환경에 주는 영향으로 인하여 그 중요성과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대기침적현상에 의한 수체(water body)의 영향정도에 관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미국의 5대호에 있어서 납 총량의 95% 이상이 대기로부터 기여되고 있으며, 미국동부의 체사피크만(Chesapeake Bay)의 경우 적조현상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질소에 대한 대기 기여도가 25∼40%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U.S.EPA., Report 1991)(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dry deposition for soluble ions measured at Chuamho area (주암호 지역의 수용성 이온성분 대기건성침적 특성)

  • 장영환;정장표;이승묵;전의찬;신상철;장남익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97-99
    • /
    • 2000
  • 대기오염물질의 침적현상은 대기 중에 부유하는 독성물질의 거동에 영향을 미치고 대기오염물질이 대기로부터 수면 또는 지표로 이동하는 주요 경로이며 이로 인하여 식물성장에 대한 피해 및 토양오염, 수질오염을 야기 시키는 둥 환경에 주는 영향으로 인하여 그 중요성과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대기침적현상에 관한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미국의 5대호에 있어서 납 총량의 95% 이상이 대기로부터 기여되고 있으며 미국 동부의 체사피크만 (Chesapeake bay)의 경우 적조현상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질소에 대한 대가로부터 기여도가 25 ~ 40%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Wet and Dry Deposition at Chunchon, 2000~2001 (2000~2001년 춘천의 습성.건성강하물의 특성)

  • 홍영민;이보경;정지영;윤민경;김만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43-44
    • /
    • 2001
  • 산업의 발달과 함께 화석연료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산성강하물(Acid precipitation)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왔다. 산성강하물은 주로 화석연료의 연소를 통해 대기로 배출된 질소와 황 산화물들로, 산화ㆍ환원, 산ㆍ염기 중화반응 등 다양한 변환과정을 거쳐 비나 눈과 같은 습성과정이나 가스나 입자상 물질과 같은 건성과정을 통해 다시 토양과 호수 등에 침적되어 이들을 산성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산성강하물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강수의 화학조성과 아울러 가스와 입자상으로 존재하는 질소와 황화합물에 대한 관측이 필수적이다. (중략)

  • PDF

Effects of Traffic Volume and Air Quality on the Characteristic of Urban Park Soil (교통량과 대기질이 도시 공원 토양 특성에 미치는 영향)

  • Joo, Sunyoung;Lee, Hyunjin;Jeon, Juhui;Seo, Inhye;Yoo, Gayou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9 no.1
    • /
    • pp.77-82
    • /
    • 2022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mobile and stationary air pollution sources affect the air quality and soil properties in urban parks. We selected three sites of urban parks in Seoul as follows: Ha-neul Park in Mapo-gu (Site_M), Ill-won Eco-Park in Gangnam-gu (Site_G), and Yangjae Citizen's Forest in Seocho-gu (Site_Y), and compared the results of each site's traffic volume, air quality concentration, and soil analysis. Traffic volume was high in Site_M, followed by Site_G and Y; Site_M and G were closer to the resource recovery facility than Site_Y. Hence, we hypothesized that PM and NO2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were higher in Site_M than Site_G and Y, causing different soil nitrogen content among sites due to different atmospheric deposition. Consistent with our hypothesis, the concentrations of PM2.5 and NO2 were higher in Site_M and G than Site_Y, while Site_Y had higher PM10 than other sites. The soil NO3- cont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sites, whereas the soil NH4+ content was extremely high in Site_Y. This high content of soil NH4+ is thought to be due to acidification from excessive fertilization. Lower soil pH of Site_Y further supported the evidence of heavy fertilization in this site. Overall nitrogen dynamics implies that soil nitrogen status is more influenced by park management such as fertilization rather than atmospheric deposition. Despite of lower soil NH4+ content of Site_M and G than Y, vegetation vitality looked similar among three sites. This indirectly indicates that excessive fertilizer input in urban park management needs to be reconsidered. This study showed that even if the air quality was different due to mobile and stationary sources, it did not directly affect the soil nitrogen nutrient status of the adjacent urban park.

Atmospheric Dry Deposition Characteristics of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into Juam Reservoir (주암호에 대한 질소화합물의 대기건식침적 특성)

  • Cheong Jang-Pyo;Jang Young-Ho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21 no.6
    • /
    • pp.657-666
    • /
    • 200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tmospheric dry deposition of inorganic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to waterbody. Target waterbody is Juam reservoir functioning as one of the major water supply sources in Chollanamdo. Nitrate and ammonium dry deposition fluxes were directly measured using dry deposition plate (DDP) covered with greased strips and a water surface sampler (WSS). The daytime average $NO_{3}^{-}\;and\;NH_{4}^{+}$ fluxes measured with DDP and WSS were $1.7\∼2.6$ times higher than those at nighttime. The seasonal average flux of $NH_{4}^{+}$ showed the highest value in summer. The daytime and nighttime average dry deposition fluxes of particulate phase Nitogen-containing Compounds ($1.13,\;0.80\;mg/m^{2}$ day)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gas phase compounds ($0.50,\;0.24\;mg/m^{2}$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