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환경

Search Result 10,139, Processing Time 0.076 seconds

Development of a Real-time Air-quality Forecasting System (실시간 대기질 예측시스템 개발)

  • 구윤서;문윤섭;윤희영;김성태;최상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35-136
    • /
    • 2003
  • 효과적인 대기오염 관리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각종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종류와 배출량을 이해하여야 하며 또한 이로부터 야기되는 대기오염도 및 위해성을 과학적인 근거에 의해서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굴뚝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감시하기 위해 구축중인 굴뚝 TMS망을 실용적인 대기환경 관리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TMS 측정되고 있는 오염물질이 주변 대기환경에 미치는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예측하여 수용체 중심으로 사업장 및 도시ㆍ산단지역의 대기환경을 투명하게 관리하는 선진화된 차세대 대기환경관리 기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중략)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GIS-based Air Quality Information System for Ubiquitous Public Access (Ubiquitous Public Access 구현을 위한 GIS 기반 대기환경 정보시스템 설계 및 개발)

  • Hong, Sungchu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1
    • /
    • pp.195-201
    • /
    • 2017
  •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ve led to a severe deterioration in urban air qualities. As an air pollu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human health, citizen has a growing concern about the air quality policy to improve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Due to the recently advance in web- and mobile computing technologies, citizens can easily access various air quality information and public authorities utilize the social media service to communicate citizens with air quality issues. Also citizens' participation and role has been increased to improve urban air qualities. Thus, to meet the technical and societal changes, a GIS-based air quality information system is developed based upon the Ubiquitous Public Access (UPA) model in ISO19154. The proposed system employs the context information model to provide air quality information depending on citizens' health conditions and locations. Also, citizens can present their perceptions of an air quality at their current location Public authorities can thus utilize the citizens' perceptions when establishing new air quality policies.

대기환경의 문제와 대책(1) - 대기환경의 제문제

  • 주정관이
    • Air Cleaning Technology
    • /
    • v.8 no.1 s.28
    • /
    • pp.64-74
    • /
    • 1995
  • 이번호 부터 '대기환경의 문제와 대책'이란 제목으로 연속강좌를 하기로 한다. 이 연속강좌 내용은 일본 공기조화$\cdot$냉동공학회지에 1994년 6월호부터 10월호까지 5회에 걸쳐 연속강좌된 것을 번역한 것으로 원래 각종 환경문제의 전모와 대기환경의 제문제에 대해 그 원인 및 영향을 살펴본 후, 현재 대기환경에 관한 주요한 문제들로 인식되고 있는 특정 프레온대책, 대기오염대책, $CO_2$ 삭감대책 및 에너지 절약에 대해 각각 규제나 대응책의 현상을 해설하고, 앞으로 우리들이 실무에서 배려해야만 하는 사항을 설명하고 있는데 전체적인 내용들이 공기청정연구조합 회원들에게도 상당히 유익하리라 생각되어 소개한다. 다만, 에너지 절약대책 부분은 본 잡지의 편집방향과 다소 거리가 있기 때문에 생략하고, 나머지 부분을 4회에 걸쳐 소개한다. 이번호는 그 첫회로 일본 (주)대림조지구환경부[ (株)大林組地球環境部]에 근무하는 주정 관이씨가 쓴 '대기환경의 제문제 '란 부제로 각종 환경 문제의 전모와 대기환경의 제문제에 대해서 그 원인 및 영향을 개설한 것을 소개한다. 단, 번역에 있어서 우리에게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생략하고 또한 이해를 돕기위해 의역을 한 곳도 있음을 부언해 둔다.

  • PDF

Deposition of Acid Precipitation in the Western Part of Kyongsangnam-do (서부경남 지역의 대기산성강하물 동태파악)

  • 박정호;서정민;최금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364-365
    • /
    • 1999
  • 최근 서부경남에서는 대형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 등에서 배출되어진 대기오염물질로 인한 대기질 악화 및 대기환경의 산성화가 문제가 중요한 지역 대기환경오염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그 피해사항도 언론매체를 통해 자주 보도되고 있다. 이러한 대기환경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정부에서는 각종 대기보전정책을 제시하고 있으나,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대기질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실제 정확한 대기오염의 현황 파악을 통한 적극적인 대책방안이 요구된다.(중략)

  • PDF

Remote Sensing of Atmospheric Environment Using Satellites (인공위성을 이용한 원격 대기환경 모니터링 기술 현황)

  • 김영준;이권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7-38
    • /
    • 2002
  • 인류의 산업활동으로 인한 지표 및 대기환경 변화로 인하여 이에 대한 모니터링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한반도 지역은 중국으로부터의 장거리이동 오염물질과 황사에 의한 영향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의 감시가 매우 절실하다. 위성자료를 이용한 대기환경모니터링 기술은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켜줄 수 있어 대기환경의 시·공간적 변수를 연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 미국의 NOAA는 인공위성(NOAA/AVHRR)을 이용하여 전지구적 규모로 에어로졸의 분포를 지속적으로 관측하고 있으며, 대기 중 에어로졸 입자가 기후변화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상당 수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략)

  • PDF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

  • Korea LPGas Industry Association
    • LP가스
    • /
    • s.98
    • /
    • pp.58-60
    • /
    • 2005
  • 환경부는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안)'을 마련하고 관계부처 및 전문가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관련 내용을 게재한다.

  • PDF

POLICY & ISSUES 기획특집_3 - 대기환경 관리와 환경영향평가

  • Lee, Yeong-Su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06
    • /
    • pp.18-21
    • /
    • 2013
  • '대기환경 관리와 환경영향평가는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라며 이 제목에 대하여 궁금하게 생각하실 분이 많을 것 같습니다. 환경영향평가를 모르시는 분들에게는 전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환경영향평가는 우리나라 환경 보호를 위한 매우 중요하고도 강력한 사전예방수단 중의 하나이며 대기환경 관리와 이주 밀집한 관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저의 글에서 이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보다 효율적인 대기질 관리를 위하여 향후에 필요한 사항 등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 PDF

Air quality preservation Act. (대기환경보전법)

  • Korea Packaging Association INC.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83
    • /
    • pp.82-107
    • /
    • 2000
  • 지난 99년 4월 제정된 대기환경보전법이 우리 포장업계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구의 환경문제가 급속도로 심각해짐에 따라 대기환경에 대한 법제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법 제정 초반 대기환경보전법은 자동차산업을 비롯한 일부 산업계에 파장을 일으켰었다. 그러나 취기문제와 작업장 내 환경문제가 거론되면서 잉크업체들을 비롯한 포장업계 각 분야에서도 대기환경보전법에 대한 크고 작은 대비책들이 거론되고 있다. 본 지에서는 대기환경보전법 전문을 통해 포장산업 각 분야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a Passive sampler for ambient Ozone by Chamber test (Chamber test를 통한 대기환경 중 오존 측정을 위한 Passive sampler의 성능 평가)

  • 박민수;우진춘;김선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243-244
    • /
    • 2001
  • 오존(O$_3$)은 성층권에서 태양광의 직접 지구 입사를 감소시키는 반면, 일반 대기 환경에서는 강력한 산화성과 더불어 최근 NOx, VOCs와의 연계성이 점차 밝혀지면서 최근 대기질 환경에 주요관심사가 되고 있다. 또한 지난 2000년 12개 도시에 52회의 0.3ppm이상의 고농도 오존 경보 발령으로 관리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으나, 대기환경 중에서 자외선 등에 의한 2차 생성물질인 오존은 강력한 산화성으로 인해 표준물질이 없어 정확한 측정 및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