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확산

Search Result 686,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The development of a meteorological data conversion program for air dispersion modeling (대기확산모델 운영을 위한 국내기상자료 변환프로그램개발)

  • 임문혁;정의석;홍현수;김진완;김선규;김선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49-350
    • /
    • 2003
  • ISCST 등의 대기확산모델은 모두 EPA에서 개발된 것으로 모델 운영에 사용되는 모든 데이터가 미국의 실정에 맞게 프로그램 되어 있다. 특히 ISC모델을 운영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기상자료를 생성하는 MIXHTS와 PCRAMMET등은 미국 기상청이나 기타 기상관련 기관에서 발표하는 자료를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ISC를 운영하는데 있어 국내 기상자료를 해당하는 형태로 전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우리나라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기상자료의 형태와 MIXHTS PCRAMMET에서 요구하는 기상자료형태를 모두 알고 있어야만 ISC를 운영하기 위한 올바른 기상자료를 만들 수 있었다. (중략)

  • PDF

A Characteristics of CALPUFF and Its Application in Korea (CALPUFF 모델의 특징 및 국내 적용성 검토)

  • 이임학;구윤서;전의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89-90
    • /
    • 2001
  • 최근의 대기확산 모델링 분야는 모델링 수행에 큰 장애요인이었던 계산속도에 의한 제한요소가 Computer H/W 성능의 향상으로 상당히 제거되면서, 학계의 연구를 통해서 보다 진보된 확산이론을 사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모델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이 중, 일부 모델들은 2000년도부터 미국 EPA(환경보호청)으로부터 새롭게 추천받고 있는데, 근래 미국 EPA에서 새로이 추천하고 있는 모델로서 ISC3-PRIME, AERMOD, 및 CALPUFF이 있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Yellow Sand Aerosol in Seoul (일부 서울지역 황사 에어로졸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윤신;정경훈;권성안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77-78
    • /
    • 2002
  • 동북아 지역은 급속한 산업 및 경제활동 증가로 세계의 주요 오염 지역으로 대두되고 있다. 대기오염 물질의 Global 이동확산은 어느 특정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광범위하게 이동 확산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오염과 피해 사이에 시간과 공간적인 차이가 존재하고 있으며, 그 인과관계도 불명확한 상황이다. 한편, 사막에서 발생한 모래먼지는 시정을 악화시키며 이들 중 미세한 입자(0.1-10$\mu\textrm{m}$)는 산란과 흡수를 통하여 대기의 복사평형과 기후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Carlson, 1980; Duce, 1980). (중략)

  • PDF

An introduction of CAL3QHCR, a road vehicle dispersion model (자동차 선오염원 확산모델 CAL3QHCR의 소개)

  • 정필수;김아름;구윤서;이임학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399-400
    • /
    • 2001
  • 최근 대도시의 대기 오염은 자동차에 의한 선오염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 오염원 중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고, 선오염원에 의한 영향도 분석에는 대기확산모델을 주로 이용한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선오염원 모델에는 HIWAY2, PAL, CALINE3, CAL3QHC, CAL3QHCR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모델은 주로 환경영향평가에 이용되고 있는데, 현재 국내 환경영향평가에서 주로 사용되고있는 선오염원 예측 모델은 CALINE3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