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행렬 제어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velopment of Exit-Ramp Control Strategy Avoiding Mainline Spillover for Urban Freeway (과포화 신호제어 기법을 응용한 도시고속도로 진출램프 제어전략의 개발)

  • 김영찬;이철기;허혜정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3
    • /
    • pp.89-100
    • /
    • 2001
  • 내부순환로의 진출램프 중 성산, 홍은, 홍제, 길음, 마장 진출램프에서는 램프의 지체가 심각하여, 진출차량의 대기행렬이 내부순환로 본선에까지 이르는 대기행렬 역류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본선으로의 대기행렬 역류는 본선의 혼잡을 가중시키고 교통사고의 위험도 증가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도시고속도로의 진출램프 혼잡을 개선하기 위해 진출램프 제어전략을 개발하였다. 진출램프 제어전략의 목표는 진출램프의 대기차량이 본선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대기행렬의 역류를 막기 위해서는 진출램프의 차량이 인접한 간선도로로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해야 하며, 간선도로와 진출램프의 대기행렬을 제어정책에 따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진출램프 진출부에 신호를 설치하여 간선도로차량의 흐름을 제어하고, 진출부 하류부 교차로와 연동제어를 하여 진출공간을 확보하였다. 또한, 대기행렬의 관리를 위해서는 대기행렬 관리계수를 정의하고 이 값에 따라 현시를 결정할 수 있는 제어식을 유도하였다. 진출램프 제어전략은 과포화 신호제어 기법을 응용하여 개발하였으며, 그 중 Equity offset과 내부미터링 기법을 연동제어에 응용하였고, Imbalanced split 기법은 대기행렬 관리계수에 따라 현시가 결정되는 제어식의 개발에 응용하였다. 진출램프 제어전략을 평가하기 위하여 진출램프의 혼잡으로 인해 본선으로 대기행렬 역류가 발생하는 내부순환로의 홍은, 홍제 진출램프를 선정하였으며, NETSIM을 통해 진출램프 제어전략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진출램프의 혼잡이 크게 개선되며, 운영자의 관리목적에 따라 대기행렬의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진출램프 제어전략은 내부순환 도시고속도로뿐만 아니라 진출램프 제어가 필요한 타도시고속도로에서도 적용을 하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Development of The Signal Control Algorithm Using Travel Time Informations of Sectional Detection Systems (구간검지체계의 통행시간정보를 이용한 신호제어 알고리즘 개발)

  • Jung, Young-Je;Kim, Young-Chan;Baek, Hyon-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8 s.86
    • /
    • pp.181-191
    • /
    • 2005
  • This study developed an algorithm for real-time signal control based on the detection system that can collect sectional travel time. The signal control variable is maximum queue length per cycle and this variable has a sectional meaning. When a individual vehicle pass through the detector, we can gather the vehicle ID and the detected time. Therefor we can compute the travel time of an individual vehicle between consecutive detectors. This travel time informations were bisected including the delay and not. We can compute queue withdrawing time using this bisection and the max queue length is computed using the deterministic delay model. The objective function of the real-time signal control aims equalization of queue length for all direction. The distribution of the cycle is made by queue length ratios.

A Study of Relative Feeder-Cable Length and Vehicle Detection Length of Loop Detector (루프검지기의 휘더선길이와 차량검지길이의 관계 연구)

  • Oh, Young-Tae;Kim, Nam-Sun;Kim, Soo-Hee;Song, Ki-Hy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3 s.74
    • /
    • pp.85-94
    • /
    • 2004
  • Loop detection systems have been used in real-time signal control system to collect traffic information for estimating queue lengths. The queue length algorithm uses speed as a key variable estimated from occupancy time and average vehicle length. The measurement of average vehicle length is affected from the lengths of feeder cable, but their effects have not yet been evaluated. In this study, the variability of average vehicle length due to the lengths of feeder cable is assessed through a field study, and a practical guidelines is proposed. By applying this result,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real-time signal control system could be improved.

Development of Traffic Signal Control Strategy by Balancing Queue Lengths for Oversaturated Traffic Condition (과포화 시 대기행렬길이 균형화를 통한 교통신호제어 전략수립)

  • Kim Hong Jin;Kim Youngchan;Kim Jeong 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 no.2 s.3
    • /
    • pp.13-22
    • /
    • 2003
  • It is recognized that one of the problems for the current 'Traffic Adaptive Control System in Seoul' is the performance at the oversaturated condition. Instead of 'Degree of Saturation' adopted in the current system, the methodology of balancing the queue length was developed and evaluated in this study. This method keeps the balance of queue lengths on the intersections and reduces the overall queue lengths. In addition a traffic signal control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method. This model can reduce not only the queue lengths but also the average delay of vehicles according to th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evaluations.

  • PDF

Development of a Queue Length Based Optical Length Set Methodology Using Image Detectors (영상기반의 대기행렬길이를 이용한 최적주기 결정모형 개발)

  • 이철기;오영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4
    • /
    • pp.109-121
    • /
    • 2001
  • 본 연구는 공간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영상검지기를 이용하여 주어진 대기행렬길이를 기반으로 하는 최적주기 알고리즘을 개발함으로써 교통신호 제어에 대한 새로운 신호계획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요의 공간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방안으로서 영상검지기 기반의 대기행렬길이를 사용한다. 전략적 측면에서 다양한 교통상태를 적용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영상검지기 기반의 대기행렬길이 계산방안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한 링크의 상류부와 하류부에 2대의 영상검지기를 설치하여 대기행렬길이를 산출하는 방안이다. 2. 신호제어 변수인 주기 계산모형이 개발된다. 이 방법 역시 영상검지기를 기반으로 하는 대기행렬길이를 사용한다.

  • PDF

Queue Length Based Real-Time Traffic Signal Control Methodology Using sectional Travel Time Information (구간통행시간 정보 기반의 대기행렬길이를 이용한 실시간 신호제어 모형 개발)

  • Lee, Minhyoung;Kim, Youngchan;Jeong, Youngj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3 no.1
    • /
    • pp.1-14
    • /
    • 2014
  • The expansion of the physical road in response to changes in social conditions and policy of the country has reached the limit. In order to alleviate congestion on the existing road to reconsider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should be asking. Currently, how to collect traffic information for management of the intersection is limited to point detection system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 was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of point detection method such as through video and loop detector in the past. Howeve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of the next generation(C-ITS) has evolved rapidly in real time interval detection system of collecting various systems between the pedestrian, road, and car. Therefore, this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queue length based real-time traffic signal control methodology. Four coordinates estimate on time-space diagram using the travel time each individual vehicle collected via the interval detector. Using the coordinate value estimated during the cycle for estimating the velocity of the shock wave the queue is created. Using the queue length is estimated, and determine the signal timing the total queue length is minimized at interse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alculation of the signal timing of the intersection queue is minimized.

Busy Period Analysis of an M/G/1/K Queue with the Queue-Length-Dependent Overload Control Policy (고객수 기반의 오버로드 제어 정책이 있는 M/G/1/K 대기행렬의 바쁜기간 분석)

  • Lim, Heonsang;Lim, Dae-E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7 no.3
    • /
    • pp.45-52
    • /
    • 2018
  • We consider the busy period of an M/G/1/K queueing system with queue-length-dependent overload control policy. A variant of an oscillating control strategy that was recently analyzed by Choi and Kim (2016) is considered: two threshold values, $L_1({\leq_-}L_2)$ and $L_2({\leq_-}K)$, are assumed, and service rate and arrival rate are adjusted depending on the queue length to alleviate congestion. We investigate the busy period of an M/G/1/K queue with two overload control policies, and present the formulae to obtain the expected length of a busy period for each control policy. Based on the numerical examples, we conclude that the variability and expected value of the service time distribution have the most influence on the length of a busy period.

A Study of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for Estimating Queue-Length in Highway (고속도로 대기행렬 길이 산정모형 개발을 위한 연속류 특성 분석)

  • 노재현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297-297
    • /
    • 1998
  • 고속도로의 교통혼잡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혼잡지점 상류부의 진입교통량을 제어해야 한다. 이를 위한 효과적인 램프미터링 운영전략이나 고속도로 교통정보제공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혼잡영향권(대기행렬길이)에 관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가 반드시 필요하다. 고속도로의 대기행렬길이를 산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충격파이론과 Queueing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충격파 이론을 포물선형의 교통량-밀도관계식을 근거로 하고 있어 충격파간에 발생하는 부수적인 충격파를 해석하는 과정이 수학적으로 불가능하여 실질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음은 이미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최근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교통량 밀도간의 관계식을 삼각형으로 가정하고 교통량 대신에 누적교통량을 사용하는 Simplified Theory of Kinematic Waves In Highway Traffic이 개발(Newell, 1993)되었지만,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대상 고속도로 구간의 교통량-밀도관계식을 규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사실 실시간으로 밀도데이터를 수집하기란 불가능하다.) Queueing이론에서 제시하는 대기행렬은 모두 대기차량이 병목지점에 수직으로 정렬하여 도로를 점유하지 않는 Point Queue(혹은 Vertical stack Queue)로서 실제로 도로상에 정렬된 대기행렬(Real Physical Queue)과는 전혀 다르다. 이미 입증된 바 있어, Queueing이론을 이용함은 타당성이 없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고속도로 대기행렬길이를 산정할 수 있는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혼잡상태의 연속류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도시고속도로에서 수집한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입램프지점의 혼잡상태에서 대기행렬의 증가 또는 감소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혼잡초기의 대기행렬은 다른 혼잡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속한 속도로 증가함. 2. 혼잡초기의 대기행렬의 밀도는 다른 혼잡시기에 비해 비교적 낮음. 3. 위의 두 결과는 서로 관계가 있으며, 혼잡시 운전자의 행태(차두간격)과 혼잡기간중에도 변화함을 의미함. 4. 교통변수 중에서 대기행렬길이를 산정하는데 적합한 교통변수를 교통량과 밀도로 판단됨. 5. Queueing이론에서 제시하는 대리행렬길이 산정방법인 대기차량대수$\times$평균차두간격은 대기행렬내 밀도가 일정하지 않아 부적합함을 재확인함. 6. 혼잡초기를 제외한 혼잡기간 중 대기행렬길이는 밀도데이터 없이도 혼잡 상류부의 도착교통량과 병목지점 본선통과교통량만을 이용하여 추정이 가능함. 7. 이상에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고속도로 대기행렬길이를 산정할 수 있는 기초적인 도형을 제시함.

  • PDF

Study on Queue Length Estimation using GPS Trajectory Data (GPS 데이터를 이용한 대기행렬길이 산출에 관한 연구)

  • Lee, Yong-Ju;Hwang, Jae-Seong;Lee, Choul-K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5 no.3
    • /
    • pp.45-51
    • /
    • 2016
  • Existing real-time signal control system was brought up typical problems which are supersaturated condition, point detection system and loop detection system. For that reason, the next generation signal control system of advanced form is required. Following thesis aimed at calculating queue length for the next generation signal control system to utilize basic parameter of signal control in crossing queue instead of the volume of real-time through traffic. Overflow saturated condition which was appeared as limit of existing system was focused to set-up rang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individual vehicle which is collected by GPS data. It converted into the coordinate to apply shock wave model with an linear equation that is extracted by regression model applied by a least square. Through the calculated queue length and link length by contrast, If queue length exceed the link, queue of downstream intersection is included as queue length that upstream queue vehicle is judeged as affecting downstream intersection. In result of operating correlation analysis among link travel time to judge confidence of extracted queue length, Both of links were shown over 0.9 values. It is appeared that both of links are highly correlated. Following research is significant using real-time data to calculate queue length and contributing to signal contro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