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Search Result 29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stimation of the Emission form Passenger Car Considering Cold Start and Evaporative VOC Emission in the Capital Area (수도권지역 승용차에 의한 Cold Start와 Evaporative VOC를 고려한 배출량 추정)

  • 장영기;최상진;홍영실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57-158
    • /
    • 2003
  • 급증하는 자동차 수요로 인해 발생되는 배출량 증가는 자동차 운행의 특성상 대도시 대기오염의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동차 배출오염물질의 배출량 추정 및 관리에 있어 연간 배출량 뿐만 아니라 월별 기온변화에 따른 배출량의 시간분포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Hot emission에 부가되는 Cold start emission과 Evaporative VOC emission의 산정에 있어서 차종/차령에 대해서 월별 배출량을 추정하여 보았다. (중략)

  • PDF

An Experiment for Visualizing the Potential Health Risk by Air Pollutant Emissions in City Areas (도시 지역 대기오염물질 배출의 잠재적 건강 위해도 시각화 실험)

  • Kim, yong-kye;Kim, hyeon-kook;Kim, huoung-seok;Lee, ju-yong;Jo, han-gi;Choi, ki-chul;Lee, ky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93-94
    • /
    • 2011
  • 도시지역 대기오염에 의한 건강 위해도 정보는 시민들 삶의 질을 점검하는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대도시 지역의 여러 오염원들로 부터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양과 그로 인한 인체 위해도를 시민들이 스마트 폰과 같은 일상적인 통신수단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우리나라 대도시 지역에 적용하는 실험을 하였다. 설계된 시스템에서는 도시 대기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일별 배출량 값들을 산출하고 건강 위해도 인자들을 적용하여 잠재적(potential) 수명 단축 일 수로 정량화한 뒤, 사용자 모델을 통한 적응형 데이터로의 경화량 과정을 거친 후 모바일 기기로 전달되게 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ion Ratio of Sulfur and Nitrogen at Background Areas in Korea (우리 나라 청정지역에서의 황과 질소 농도 비의 특성)

  • 이종훈;김용표;문길주;김희강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39-140
    • /
    • 1999
  • 우리 나라,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등을 포함하는 동북아시아지역은 전세계 인구의 1/3 이상이 살고있으며, 급속한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른 주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생산활동의 증가에 따라 오염물질의 배출량도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어, 이 지역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동북아시아지역의 대기오염과 관련하여 주목할 것은 이 지역에서 $SO_2$$NO_x$ 같은 인위적인 산성오염 물질의 배출량이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중략)

  • PDF

AIS와 선박 제원 DB를 이용한 부산북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에 대한 연구

  • Lee, Bo-Gyeong;Lee, Sa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203-205
    • /
    • 2019
  • 최근 국제 운송에 큰 부분을 차지하는 해상운송에서의 오염물질 배출이 큰 논란이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고속·대형의 컨테이너선, 크루즈, 여객선, 기타선 등이 기항하는 부산북항을 대상으로 선박의 배출물질을 계산하였다. 선박 대기오염물질 산정을 위해서는 선박의 활동 정보와 배출물질 계산에 활용할 선박 마력 정보가 필요하다. 먼저 AIS를 이용하여 선박 활동정보를 수집하고, 선박 마력은 선박 특성이 뚜렷한 컨테이너선과 탱커선의 제원을 DB화하여 추정하였다. 선박의 배출물질을 산정할 수 있는 추정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입자상물질,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물질을 계산한 결과 각각 48.3%, 42.5%, 5.4%, 3.8%의 비율로 산출되었다.

  • PDF

Energy Usage and Emissions of Air Pollutants in North Korea (북한 에너지 사용과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 Kim, In-Sun;Lee, Ji-Yi;Kim, Yong-Py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27 no.3
    • /
    • pp.303-312
    • /
    • 2011
  • Data on the energy usage including biomass, emissions of air pollutants ($SO_x$, $NO_x$, CO), and the air quality in North Korea are analyzed. The energy usage in North Korea has decreased in the 1990s and thus, the emission amount of air pollutants. Coal and biomass constitute a major fraction of energy sources since the 1990s. It is identified that the emission amount of air pollutants per unit energy consumption in North Korea is much higher than South Korea for the period data are available (since 1990) implying that the air pollutant emission management system in North Korea is inadequate. In particular, the amount of biomass burning for household cooking and heating is significant with the huge emissions of air pollutants such as CO and organic species both in the gas and aerosol phase. Furthermore, it is found that the existing energy usage and air pollutant emission data are not consistent in biomass burning related data.

Evaluation of Mercury Sampling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from Stationary Combustion Sources (고정연소설비로부터 배출되는 수은화합물의 시료 채취 방법과 배출특성평가에 관한 연구)

  • 이성준;서용칠;정종수;이태규;홍지형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237-238
    • /
    • 2003
  • 대기오염물질 중 수은화합물질은 생태계와 인간에게 치명적인 독성과 생물농축의 특성 때문에 유해한 물질로 관리되어왔으며, 1990년 미국의 Clean Air Act Amendment(CAAA)의 188개의 대기오염물질대기오염물질(HAPs) 중의 하나이고, 국내에서도 25종의 특정대기유해물질 중의 하나로 관리되고 있는 물질이다. 미국 EPA의 보고서에 따르면, 수은화합물의 주요 배출원은 석탄 화력발전소를 비롯한 도시폐기물소각로, 유해폐기물소각로, 병원폐기물소각로 등의 연소설비가 미국 전체 연간 수은배출량의 약 8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요 배출시설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US EPA 1997,1998). (중략)

  • PDF

The Simulation of Atmospheric Flow Field by Various Gridded Dataset in Complex Topographical Environment (복잡 지형에서의 입력 자료에 따른 대기유동장 수치모의)

  • 이화운;이종범;최현정;정우식;임헌호;원혜영;이강열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03-304
    • /
    • 2003
  • 도시의 대기오염 문제는 다양한 배출원으로부터 다량 및 다종의 오염물질 배출과 그 지역의 도시화에 따른 기후 특성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대기오염의 분포양상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과 난류 확산 및 수송, 화학 반응, 침적 현상 등에 의해 결정되므로 이들을 지배하는 기상인자들에 대한 이해는 대기오염 현상을 파악하는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다(Lalas et al., 1982 ; Mckendry, 1993 ; Liu et al., 1987). 도시규모의 기후 특징은 도시 내 형성된 고유의 기상장이 대기오염물질을 정체시킨다는 것이다(Noto, 1996).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