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Search Result 296,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Mesurement of Ozone Precursor VOCs in Use of On-Line System (On-Line System에 의한 VOCs 측정에 관한 연구)

  • 윤중섭;어수미;김민영;신재영;김신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123-124
    • /
    • 2000
  • 대기 환경중 아황산가스, 먼지와 같은 1차오염물질은 배출량의 감소에 따라 대기중의 농도도 감소하는 반면 오존과 같은 2차오염물질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대도시 지역의 지표면 오존농도가 환경기준을 초과하는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백성옥, 2000) 특히 서울시의 경우는 오존주의보를 발령하는 고농도 오존농도 0.12ppm을 초과한 횟수는 오존주의보를 시행한 이래로 96년 11회, 97년 19회, 98년도 18회, 99년도16회 2000년도엔 22회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the Estimation of Emission Factor for Air Pollutants in the Iron and Steel Industry (철강산업분야에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과 배출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 방선애;홍지형;허정숙;석광설;김대곤;이대균;엄윤성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67-169
    • /
    • 2002
  • 국제사회는 환경을 범지구적 문제로 규정하고,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환경협약을 체결하고 환경보호를 위한 무역규제조건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상황은 국가 간 정보의 교류·협력을 강조하며, 대기배출량 등 환경정보의 상호 교류를 요구하고 있다. 각 국의 국가 대기배출량은 자료의 신뢰성과 각 국 자료의 비교·평가를 위해서 산정방법과 자료 제출형태 등이 일관된 형태를 이루어야 한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the Estimation of Emission for VOCs from Landfills (매립지에서의 VOCs 배출특성과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 임지영;최용흠;신원근;김기현;홍지형;선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297-298
    • /
    • 2003
  • 대기 광화학반응에서 오존 및 기타 광산화물을 생성하는 VOCs의 경우, 그 물질 자체가 갖는 독성도 물질에 따라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이에 대한 규제방안 역시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으나, 이러한 연구 및 정책의 기본 자료인 VOCs의 배출량에 관련된 자료 및 연구가 매우 부실한 실정이다. 또한 이들 연구는 대부분 VOCs의 주요 배출원이라 할 수 있는 도장산업이나 자동차에 집중됨으로써 대기오염이 심각한 도시지역에 소규모로 넓게 분포하고 있는 VOCs의 배출원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고, 이에 따라 전체 VOCs의 배출량에 많은 오차를 나타낼 수 있는 조건을 만들고 있다. (중략)

  • PDF

National Management Measures for Reducing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Vessels Focusing on KCG Services (선박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및 저감을 위한 국가 관리 대책 연구: 해양경찰 업무를 중심으로)

  • Lee, Seung-Hwan;Kang, Byoung-Yong;Jeong, Bong-Hun;Gu, Ja-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6 no.2
    • /
    • pp.163-174
    • /
    • 2020
  • Particulate matter levels are rapidly increasing daily, and this can affect human health. Therefore,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sea vessels require management. This study evaluates the status of air pollutants, focusing on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the vessels of the Korea Coast Guard (KCG), and proposes national management measures to reduce emissions. According to a report recently released (2018)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emissions from vessels constituted 6.4 % of the total domestic emissions, including 13.1 % NOx, 10.9 % SOx, and 9.6 % particulate matter (PM10/PM2.5). Among the rates of pollutant emission from vessels, the emission rates of domestic and overseas cargo vessels were the highest (50.6 %); the ratio of fishing boats was 42.6 %. With respect to jurisdictional sea area, 44.1 % of the emissions are from the south sea, including the Busan and Ulsan ports, and 24.8 % of the emissions are from the west sea, including the Gwangyang and Yeosu ports. The KCG inspects boarding lines to manage emission conditions and regulate air pollutant emissions, but it takes time and effort to operate various discharge devices and measure fuel oil standards. In addition, owing to busy ship schedules, inspection documents are limited in terms of management. Therefore, to reduce the air pollutant emissions of such vessels, regulations will be strengthened to check for air pollutants, and a monitoring system based on actual field data using KCG patrol ships will be established, for each sea area, to manage the emissions of such vessel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vessels.

A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by Analyzing the Emission and Concentration of Urban Atmospheric Pollutants (대기오염을 고려한 도시의 환경적 수용력 산정 연구)

  • Lee, Kwang-Ho;Jeong, Yeun-Woo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2 no.4
    • /
    • pp.517-528
    • /
    • 2011
  • Indiscreet developments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in major cities of Seoul Metropolitan Area. Among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e air pollution leads the citizens' physical and economic damages. Therefore, it needs to predict how much air pollutant which is emitted from human activities can be carried by urban environment, then to examine the reasonable level of urban development This study assumed that the air pollution is represented differently by the amount of emission. With the assumption, the acceptable air pollutant emission which keeps the air quality under the environmental standard is estimated, then the proper population is calculated in the case of Gwacheon, Gyeonggi. The result is as follow: First,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of CO, $NO_2$, $SO_2$ which are estimated by using IDW interpolation of GIS don't excess the air environmental standard. Secon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ir pollutant emission and air pollution concentration shows that CO and $NO_2$ has high correlationship with total source of pollution and linear source of pollution, and $SO_2$ with linear source of pollution. Thir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acceptable population is bigger that the real population in the case of CO, and with the estimation of $NO_2$ and $SO_2$, the current population in the urban center and boundaries where the residential and commerce land uses are concentrated is bigger than the acceptable population.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can suggest the acceptable human activities which keep the air quality under the environmental standard. This can leads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by control the human activities under the carrying capacity of urban environment.

Deposition of Acid Precipitation in the Western Part of Kyongsangnam-do (서부경남 지역의 대기산성강하물질의 침착량 평가)

  • 박정호;조인철;최금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87-88
    • /
    • 2000
  • 서부경남 남해연안 지역에 위치한 대형 석탄 화력발전소는 그 동안 국가산업발전과 국민생활향상에 기여해온 반면, 다량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로 지역주민들의 건강, 재산 피해 및 각종 환경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그 피해사항도 언론매체를 통해 자주 보도되고 있다. 이러한 대기환경 오염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지역 대기질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실제 정확한 지역의 대기오염 현황 파악을 통한 적극적인 대책방안이 요구된다. (중략)

  • PDF

우리나라 배출규제해역(ECA) 도입 방안 연구

  • Kim, Bo-Gyeong;Lee, Gi-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67-169
    • /
    • 2018
  • 2020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IMO 선박연료유 규정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지역은 배출규제해역(Emission Control Area; ECA)를 지정하여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통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항만도시의 대기오염 정도가 높으며 대기오염물질의 주요 배출원은 선박으로 밝혀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으로써 ECA 지정을 위한 검토가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항만을 대상으로 ECA 지정 필요성을 검토하고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ECA 지정방식과 절차 등 종합적인 도입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우리나라 항만도시의 대기환경 현황을 분석하고, 해외 ECA 지정 사례 분석을 통해 그 지정현황, 규제 수준 및 효과를 파악하였다. 또한 ECA 도입 타당성을 제시하기 위해 항만도시 거주민과 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ECA 도입은 필요하며 향후 5년을 목표로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적으로 자발적으로 영해 내 ECA 도입을 추진하되, 선박 통항량이 많은 주요항만구역을 대상으로 한다. 제도의 초기 장착을 위한 인센티브 제도 마련, 관리인력 확보 및 법 제도 구축을 통해 실효성을 확보하도록 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IMO 승인을 통해 ECA가 이행될 수 있도록 타당성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Mobile Source Emission by Kriging Interpolation in the GSIS Environment (GSIS환경에서 Kriging보간법을 이용한 이동오염원 배출량산정에 관한 연구)

  • 성동권;김태승;정일록;김태근;조기성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7 no.3
    • /
    • pp.273-282
    • /
    • 1999
  • For appling the GSIS on a air environment division, first of all, spatial-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factor which has distinction of continuous surface such as air-pollutant and a factor of weather must be able to be drawn. So we should estimate a distribution of whole area with point observation value which is observed on several restricted point. On this study, we investigate and study the application of GSIS technique which can be visible emission characteristic by regions, items, and time using data such as traffic quantity data, digital map for GIS-T and emission factor of each pollutant of vehicles about whole area of Seoul surveyed by traffic sensus of Seoul to air environment divi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