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속도

Search Result 76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irspeed Estimation Through Integration of ADS-B, Wind, and Topology Data (ADS-B, 기상, 지형 데이터의 통합을 통한 대기속도 추정)

  • Kim, Hyo-Jung;Park, Bae-Seon;Ryoo, Chang-Kyung;Lee, Hak-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50 no.1
    • /
    • pp.67-74
    • /
    • 2022
  • To analyze the motion of aircraft through computing the dynamics equations, true airspeed is essential for obtaining aerodynamic loads. Although the airspeed is measured by on-board instruments such as pitot tubes, measurement data are difficult to obtain for commercial flights because they include sensitive data about the airline operations. One of the commonly available trajectory data,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 data, provide aircraft's speed in the form of ground speed. The ground speed is a vector sum of the local wind velocity and the true airspeed. This paper present a method to estimate true airspeed by combining the trajectory, meteorological, and topology data available to the public. To integrate each data, we first matched the coordinate system and then unified the altitude reference to the mean sea level. We calculated the wind vector for all trajectory points by interpolating from the lower resolution grid of the meteorological data. Finally, we calculate the true airspeed from the ground speed and the wind vector. These processes were applied to several sample trajectories with corresponding meteorological data and the topology data, and the estimated true airspeeds are presented.

Airspeed Estimation of Course Correction Munitions by Using Extended Kalman Filter (확장 칼만필터를 이용한 탄도수정탄의 대기속도 추정)

  • Sung, Jaemin;Kim, Byoung 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3 no.5
    • /
    • pp.405-412
    • /
    • 2015
  • This paper represents a filter design to estimate the airspeed of a spin-stabilized, trajectory-correctible artillery ammunition. Due to the limited power and space in operational point of view, the airspeed sensor is not installed, and thus the airspeed need to be estimated using limited sensor measurements. The only IMU measurements(three-axis specific forces and angular rates) are used in this application. The extended Kalman filter algorithm is applied since a linear filter can not cover the its wide operational range in airspeed and altitud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EKF, the state and measurement equations are transformed into the no-roll frame for simple form of Jacobian matrix. The simulation study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under various environment conditions of sensor noise and wind turbulence.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choice in filter design parameters, i.e. process error covariance matrices is analyzed on the performance of the estimation of airspeed and angular rates.

Estimation of dry deposition velocities using the Graphical method for heavy metals measured at Chuamho area (그래프 방식을 이용한 주암호 지역의 중금속 성분의 대기 건성 침적속도 추정)

  • 정장표;장영환;장남익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112-114
    • /
    • 2000
  • 대기중 목정성분의 농도와 침적량 자료가 실측되어진 경우 침적속도를 추정하는 방법에는 직접계산에 의한 방식(Calculation method)과 그래프 방식(Graphical method)이 있는데 전자는 측정된 침적량을 대기 농도로 나눈 값으로 침적속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며 후자는 침적량(y축)과 대기농도(x축)자료를 회귀분석 하여 얻어진 회귀직선의 기울기로 침적속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중략)

  • PDF

EOS 자료를 이용한 지구고층대기 연구

  • 최기혁;임효숙;이주희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1.03a
    • /
    • pp.91-91
    • /
    • 2001
  • 현재 진행되고 있다고 여겨지는 지구변화 (Global Change)의 연구는 환경/지구과학의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온실가스의 분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 (Global Warming)는 지구환경에 부정적인 효과가 초래될 것으로 우려되는바, 여러 지구환경 인자들의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가장 직접적인 인자는 대기온도이고 아울러 해수온도/해류, 바람속도/방향, 대기화학 조성, 식생분포, 구름량, 얼음분포 등이 간접적인 인자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EOS 위성군 중 고층대기 연구를 위한 UARS 위성의 HRDI 센서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HRDI는 대기성분 중 산소 $O_2$ 발광선의 도플러 변이를 측정하여 바람속도를 측정한다. 이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50~100 km 상공의 바람속도 변화를 지상에서의 OH 발광선 관측치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연구로서 정략적이고 보편적인 결과 도출보다는 향후 연구를 위한 기반연구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지구온난화는 대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는 대기 중 에너지의 증가를 불러와 필연적으로 고층대기의 교란 현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지구전체 대기의 풍속/풍향의 고도변화가 분석되면 지구온난화에 의한 고층대기 변화가 탐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obust Filter Based Wind Velocity Estimation Method for Unpowered Air Vehicle Without Air Speed Sensor (대기 속도 센서가 없는 무추력 항공기의 강인 필터 기반의 바람 속도 추정 기법)

  • Park, Yong-gonjong;Park, Chan G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7 no.2
    • /
    • pp.107-113
    • /
    • 2019
  • In this paper, a robust filter based wind velocity estimation algorithm without an air velocity sensor in an air vehicle is presented. The wind velocity is useful information for the air vehicle to perform precise guidance and control. In general, the wind velocity can be obtained by subtracting an air velocity which is obtained by an air velocity sensor such as a pitot-tube, and a ground velocity which is obtained by a navigation equipment. However, in order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vehicle, the wind estimation algorithm is necessary because the wind velocity can not be directly obtained if the air velocity measurement sensor is not used. At this time, the aerodynamic coefficient of the air vehicle changes due to the turbulence, which causes the uncertainty of the system model of the filter, and the wind estimation performance deteriorat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 wind estimation method using $H{\infty}$ filter to ensure robustness against aerodynamic coefficient uncertainty, and we confirmed through simulation that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performance in the uncertainty of aerodynamic coefficient.

Estimation of Dry Deposition of Nitrogen and Sulfur Compounds over the Greater Seoul Area (서울.수도권 지역의 질소화합물 및 황화합물에 대한 건식 침적량 추정)

  • 김진영;김영성;김용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89-90
    • /
    • 2000
  • 건식 침적은 강수가 없는 경우에 대기중의 오염물질이 식생, 토양, 수면 등의 지표면으로 직접 이동되는 과정을 일컫는 것으로서, 다음 식 (1)과 같이 대기중 오염물질의 농도와 건식 침적속도의 곱으로서 건식 침적속을 구할 수 있다. F=$V_d$.C 이때, F는 건식 침적속 (g/$\textrm{m}^2$/sec), $V_d$는 건식 침적속도 (m/sec), C는 대기중의 오염물질 농도 (g/$\textrm{m}^3$)이다. (중략)

  • PDF

Grid Computing Application to a three dimensional comprehensive air pollution model (3차원 대기오염 모형에 그리드 컴퓨팅 기술 적응)

  • 조석연;조금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01-102
    • /
    • 2002
  • 과거 50여년간 전산기는 성능과 효율면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더욱이 최근 20여년간 microcomputer와 PC 분야의 발전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전산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1개의 CPU로 도달할 수 있는 속도의 한계에 근접함에 따라서, CPU 성능의 향상 속도가 느려지고 있다. 현재 초고성능 전산기로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과학 및 공학 분야에 아직 많이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전산속도 발전의 둔화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중략)

  • PDF

전구 대기화학수송모형에서 입자상 물질의 입자 크기별 건식 침적 속도 모수화 연구

  • 김은연;오성남;방소영;이명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508-509
    • /
    • 2003
  • 대기 중 입자상 물질의 건식 침적 속도는 그 과정의 복잡성으로 인해 모형을 이용한 연구 시 종종 일정한 값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입자상 물질의 전체 침적 속(flux)에서 건식 침적 속(flux)이 차지하는 부분은 무시할 수 없는 양이며, 따라서 입자상 물질의 기후 및 환경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 과정의 정량적인 추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프랑스 기상청(Meteo-France)의 대기화학수송모형(CTM)인 MOCAGE에 에어로졸 모듈을 개발하는 일환으로 지표 특성 및 지표 가까이의 미기상학적 조건 등을 고려하여 입자 크기 별 입자상 물질의 건식 침적 속도를 모수화 하였다.(중략)

  • PDF

Limit and new parameter introduction in optical particle counting system in atmospheric aerosol measurement (대기부유 입자의 광학적 측정의 한계와 새로운 파라메타 도출)

  • 김덕현;차형기;송규석;양기호;민기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68-69
    • /
    • 2002
  • 대기 중에 존재하는 에어로졸 입자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입자의 크기뿐만 아니라 질량 밀도에 대한 정보를 아는 것이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광산란과 동시에 입자의 동력학적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밀도에 대한 정보도 동시에 알 수 있는 측정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크기가 0.5$\mu\textrm{m}$-3.15$\mu\textrm{m}$이고 굴절률이 1.59이며, 질량 밀도가 1.05g/mL인 구형의 PSL(polystyrene Latex) 표준입자를 사용하여 광산란 및 동력학적 속도를 측정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