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구권 지역

Search Result 121, Processing Time 0.02 seconds

Comparative Study of the Business Organization of Retailing in the Seoul and Taegu Metropolitan Areas (소매업 경영에서 본 수도권 지역과 대구권 지역의 비교)

  • 한주성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 no.2
    • /
    • pp.21-42
    • /
    • 1998
  •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regional comparison of the business organization of retailing in the Seoul and Taegu metropolitan areas, as an attempt to understand regional structure of retailing within metropolitan areas which represents the suburbanization. On the national level, retail sales have concentrated on larger metropolitan area, the Seoul metroplitan area, the first largest metropolitan area, having higher sales for population scale. While the Taegu metropolitan area, the third largest metropolitan area, appears to lower retail sales for population scale. In order to confirm such phenomenon,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to compare the industrial composition of retailing by industry in 1991 of Seoul with that of Taegu. And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gional comparison of business organization of retailing: the percents of establishments under four employees, of juridical establishments, of employees of ordinary times, the annual sales per establishment of retail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organization of retailing by industry are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the explanation of the types with component in each district(city, county, ward) is analyzed by cluster analysis(Ward method). The data of 1991 were obtained from the statistics in the Report on Establishment Census(Vol.3 Wholesale and Retail Trade) published by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omposition of retailing by industry in Seoul metropolitan area by annual sales in 1991 is characterized as appeared very higher composition rates of retailing of textiles, clothing, footwear and apparel accessaries', ‘retailing of furniture, home furnishings and equipment’, retailing of jewellery and watches’, ‘retailing of printed matter and stationery’, ‘retailing of personal transport equipment and gasoline service stations’, and ‘general merchandise stores’. But in Taegu metropolitan area, ‘retailing of food, beverages and tobacco’, ‘retailing of drugs, cosmetics and other chemical goods’, 'retailing household fuel’, and ‘genernal retail trade, n.e.c.’appears very high. Therefor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larger business scale and retailing of shopping goods has developed than Taegu metropolitan area.

  • PDF

도시권하천의 수자원 최적관리방안

  • 심순보;이세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86.07a
    • /
    • pp.179-180
    • /
    • 1986
  • 우리나라 도시권 하천의 특성은 크게 두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대하천의 분류를 끼고 그 중·하류에 위치하여 상류에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 조절 역활을 하는 다목적 댐을 가진 경우와, 큰 하천의 지류이거나 자체 유역내에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 조절 능력을 가진 시설을 갖지 못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수도권 지역의 한강 분류와 부산권의 낙동강 하류, 대청댐 하류-금강 하구언 지역 등은 모두 다 상류에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조절 능력을 가진 다목적 댐을 가진 도시권을 가지고 있다. 한편 대구권은 낙동강 제1 지류 금호강 하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청주권은 금강의 지류인 무심천 하류에 대전권은 대전천 하류 및 갑천 유역에 위치하고 있으나 상류에 수자원 조절용 댐이나 도시하천의 수질관리를 위한 적정 시설물이 없는 형편이다. 이러한 도시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인 문제점은 해당 도시로부터 많은 각종 용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반면,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의 한계성이 크다는 것이다. 직상류에 팔당댐이 운용되고 있는 한강의 경우, 팔당댐은 한전에 의하여 발전전용댐으로 건설되어 저수 및 갈수기엔 하류의 각종 요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하천 유지 용수의 공급을 현재로서는 제도상 보장받지 못하고 있으며, 금강 하류의 인접지역(전주, 이리, 군산 등)에 광역 금강 상수도 망으로서 용수 공급을 하고 있으나 대청댐으로서는 하류지역의 요구에 맞추어 댐 운영을 할 수 있는 여건에 있지 못한 실정이다. 대구권이 있는 금호강은 상류에 영천댐이 운영되고 있으나 이는 유역 변경하여 포항 지역에 용수 공급을 하고 있으나 막상 금호강 자체유역에는 안정된 하천 유지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청주권의 무심천도 계획상은 대청댐의 물을 공급 받을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현실상으로 상수도 원수로서의 공급마저도 매년 심한 원수 수질 문제(5-6월, 10월경의 취수장 부근의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한 악취와 물 맛의 문제)를 1984년부터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권 하천의 수자원은 자연적, 인위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여러 제한 요소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로 심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적 물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이 시작하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기존 시설물의 관리 운영은 과감히 그 운영 관리 기준을 보완 재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자원 종합 개발 계획이 홍수방이나 용수 공급 및 수력 개발 등에 주력하여 왔으나 이제는 보다 더 수자원의 환경 보전적 차원과 도시의 안정적 발달을 위한 지역 및 권역 계획과 연계지워져서 양적인 안정 공급과 더불어 질적인 향상과 연계지워서 경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시권의 수자원을 최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각 도시 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특성 및 제한 요소를 충분히 감안하여 수요-공급 개념에 의하여 과감히 기존 시설(예: 팔당댐의 운영, 대청댐의 운영 등)의 관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나가야 할 것이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Subway Construction on Apartment Price in the Station Areas: Focusing on the Daegu Subway Line 3 (도시철도 건설과 역세권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구도시철도 3호선 역세권 거리와 아파트 면적 구분을 중심으로 -)

  • Lee, Kyutai;Kim, Eunjee;Doh, Soogwa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2 no.1
    • /
    • pp.3-26
    • /
    • 2016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Daegu Subway Line 3 construction on apartment price fluctuation and to find the factors causing the apartment price fluctuation in the station area of the Daegu Subway Line 3.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partment price is more fluctuated or increased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subway construction than at the time of breaking ground; second, the opening of the Daegu Subway Line 3 has positive impact on apartment price nearby the station area of the Daegu Subway Line 3, especially apartment prices in the second station area (200-600m)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opening of the Daegu Subway Line 3; third, medium-large size ($85-135m^2$) and large size (excess of $135m^2$) apartment are sensitively related to the apartment price fluctuation by the Daegu Subway Line 3 construction; and fourth, Buk-gu and Suseong-gu areas are the main beneficia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for tax and redistribution policies in the station areas.

Daegu Bank's Successful Management of Crisis Through Region-Oriented Marketing Activities (대구은행의 지역밀착형 마케팅을 통한 위기극복 성공사례)

  • 유창조;조봉진;박종무
    • Asia Marketing Journal
    • /
    • v.5 no.4
    • /
    • pp.153-166
    • /
    • 2003
  • 1967년 지역사회 발전과 지역간 경제력격차의 해소를 위해 설립된 대구은행은 설립 후 30년간 내실경영 및 경영혁신을 기반으로 1997년 총수신고 10조의 고지를 달성하였고 지방은행 선두자리를 확고히 한 바 있으며 일반은행권을 포함하여도 8위권을 유지하면서 지방금융기관으로서 자립기반을 구축한 바 있다. 그러나 1997 년 말 밀어닥친 IMF 외환위기의 충격으로 대구은행은 생존자체가 불투명해졌으나 지역사회의 뜨거운 성원과 은행 임직원의 지역밀착형 마케팅 활동을 통하여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여 부실여신의 조기감축을 통한 클린뱅크의 구현과 세계기준(Global Standard)에 부합하는 선진경영의 틀을 갖추어 나감으로써 독자생존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 본 사례는 대구은행의 IMF 사태 시 위기상황을 소개하고, 위기상황에서의 생존을 건 구조조정 프로그램과 위기관리 과정을 소개한 후, 초일류 지역은행으로의 재탄생을 위한 기반이 되었던 지역밀착경영 (K-프로젝트) 및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과 그에 따른 성과를 소개한다.

  • PDF

계란 유통 양계농협에 맡겨 주세요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7 no.5 s.427
    • /
    • pp.112-115
    • /
    • 2005
  • 영남지역의 양계축협 집하장은 대구유통센터, 영주유통센터, 김천집하장 3곳이 운영되었다. 2003년 11월 한국양계농협 출범으로 수익성 증대와 집하장 운영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하여 현재는 대구유통센터, 영주유통센터가 남아 물류 전초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호와 다음호까지 영남권의 양계농협 계란유통센터의 유통현황을 점검하고자 한다. 이번 호는 대구유통센터를 탐방하였다.

  • PDF

A forecasting and analysis on the changing process in the spatial structures of southeast region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of Seoul-Pusan High Speed Railway -A effects on Ulsan spatiality by Kyongju station of HSR- (경부고속철도 건설에 따른 국토동남권 공간구조 변화과정의 분석과 전망 -경부고속전철 경주역이 울산시 공간에 미치는 영향-)

  • 김성득;최양원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33-5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국토동남권의 인구와 고용에 따른 공간구조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향후 경부고속철도 건설에 따른 변화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범위는 양산시, 울산시, 경주시, 포항시를 대상지역으로 한 총 52개 지역공간을 기초분석 단위로 하였다. 국토동남권내 인구와 고용의 공간구조를 분석 전망하기 위하여 공간구조 측정방법인 로렌쯔곡선측정식, 중심성측정식, 접근도측정식등의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공간적 집중과 분산의 정도를 전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70년부터 1994년까지 인구와 고용구조를 조사하여 공간구조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재까지 계획된 건설 공정을 바탕으로 개통 예정시점인 2006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토동남권 공간구조를 전망하기 위하여 3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인구와 고용의 공간구조 변화를 예측하였다. 시나리오(1)은 경부고속철도의 서울-대구 구간을 우선적으로 건설하여 운행하고 대구-부산 구간은 경부철도의 기존선을 전철화하여 활용하는 방안이다. 시나리오(2)는 경부고속철도를 기본계획과 같이 2006년 완공하고 국토동남권내 1개 정차역인 경주시 건천역을 개통하였을 경우이다. 시나리오(3)은 시나리오(2)와 같은 조건하에서 국토동남권내 2개 정차역인 건천역과 울산역을 개통하였을 경우이다. 시나리오 (2)와 (3)의 경우는 일본 시즈오카현 노선을 경유하는 신간선 주변의 지역공간 특성이 우리나라 국토동남권과 유사함을 근거로 신간선개통전과 개통후의 지역공간 변화를 분석하여 본 연구와 비교하였다.

  • PDF

Provenance Analysis of Horse-shaped Bronze Buckles Excavated from Site of Songjeol-dong, Cheongju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활용한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의 원료산지 고찰)

  • Bae, Go Woon;Lee, Sang Ok;Chung, Kwang Yong;Shin, Seoung Chul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5 no.3
    • /
    • pp.209-216
    • /
    • 2019
  • Lead isotope ratios in horse-shaped bronze buckles excavated from the Songjeol-dong site in Cheongju and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determined by thermal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The lead isotope ratios of the samples with data provenance were plotted in zone 3 of the South Korean galena map.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orse-shaped bronze buckles could be made using galena located in the same area as the archaeological site.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mparison purposes in future studies o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provenance of bronze artifacts.

An Analysis of the Multiplier Effects of Gyeongsangbuk-Do Provincial Government Relocation on Daegyeong Economic Region (경북도청 이전이 대구경북광역경제권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 Chun, Kyung Ku;Kim, Eun Kyung;Cho, Deok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9 no.2
    • /
    • pp.246-258
    • /
    • 2013
  • The relocation of the public institutions such as the provincial government attracts much attentions since it results in substantial regional economic impact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relocation of Gyeongsangbuk-Do provincial government from Daegu city to Gyeongsangbuk-Do, which is scheduled for 2014, on Daegyeong economic region. Based on the interregional input-output model and I-O data which were provided by the Bank of Korea, this paper examines the multiplier effects of the relocation in terms of production, value added, and employment on Daegyeong economic region and other regions, except for the construction effects of the provincial capit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location is expected to reduce the production by 290million won, value added by 709million won, and employment by 571 persons in Daegyeong economic region. Also, the relocation turns out to decrease the production by 1,179million won and value added by 123million won of other regions. This paper discusses some policy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