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당사자자치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1초

지적데이터의 유통 질서를 위한 저작권 보호 방안 (Protection Method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The Cadastral Data)

  • 채경석;엄정섭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5-101
    • /
    • 2007
  • 지적데이터가 기초지방자치단체에 구축되고 많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 하여 유지 관리 되고 있으며, 이를 기본도로 이용한 GIS의 구축이 활성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적데이터의 유통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으나, 이를 관장하는 지적법에 관련된 규정의 보완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되고 있지 않다. 지적데이터 특성상 공공재로서 인식과 비교적 간단하게 복제되어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식 인증 되지 않은 지적데이터의 불법 유통으로 많은 문제점이 발생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적데이터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여 유통 질서를 바로 잡음으로서 지적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유통을 증진 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지적재산권과 관련된 국제적 동향 및 지적재산권 관련 법률 검토와 이와 관련된 판결을 분석하여 지적데이터의 지적재산권 보호의 법률적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해당사자들의 인식 조사를 통하여 지적데이터의 지적재산권 보호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지적재산권 보호 방안을 제시 하고 지적데이터의 유통 질서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이슈 & 이슈 - 시설공사 물품구매 발주 관행 개선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69호
    • /
    • pp.58-63
    • /
    • 2012
  •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 11월 1일 공공기관이 물품구매와 관련한 계약을 할 때 생길 수 있는 불합리한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물품구매 계약의 합리성 제고 방안'을 마련하여 관계 부처인 기획재정부 및 행정안전부에 제도개선을 권고했다. 권익위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시설공사와 물품구매 등에 대한 정의 규정을 신설하는 등의 발주방식 판단기준을 마련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시설공사를 물품제조나 구매로 발주하지 못하도록 입찰공고 시에 발주방식 준수의무를 '정부 입찰계약 집행기준'과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 기준'에 포함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아울러 공사나 물품, 용역 등 계약 목적이 겹치거나 혼합될 경우에는 주된 목적으로 발주방식을 결정하도록 하는 내용을 계약법에 신설하는 방안도 권고안에 포함했다. 국민권익위 관계자는 "이번 개선안이 수용되면 물품구매계약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합리한 관행 및 제도가 개선되어 물품구매 계약의 합리성이 제고될 것"이라고 밝혔다.

  • PDF

독점규제법 관련분쟁의 중재의 대상적격 (The Arbitrability of the Subject-matter of a Dispute on the Antitrust Law)

  • 강수미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0권1호
    • /
    • pp.41-65
    • /
    • 2010
  • It is a matter for debate that which types of dispute may be resolved by arbitration. This problem is concerning the arbitrability of the subject-matter of a dispute. National laws establish the domain of arbitration. Each state decides which matters may or may not be resolved by arbitration in accordance with its own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policy. In response to complexity and diversity of a social phenomenon, the dispute also is various, therefore can not be settled efficiently by means of court adjudication to which applies a law strictly. To overcome such problems we are going to seek to make use of arbitration. According to Korean Arbitration Act Art. 3 (1), any dispute in private laws would be the object of arbitral proceedings. For the promotion of fair and free competition, it is increasingly wide-ranging antitrust legislation across the world. It is matter for debate what can an arbitral tribunal do when confronted with an allegation that the contract under which the arbitration is brought is itself an illegal restraint of trade or in some other way a breach of antitrust law. The underlying question is how to accommodate the conflicting congressional policies favoring resolution of private controversies by arbitration and encouraging private suits to protect the public interests served by the antitrust laws. It is necessary to inquire into the arbitrability of antitrust issues on case-by-case basis, because the types of them are quite diverse. If antitrust issues are the dispute in private laws and the contracting parties agreed to submit to arbitration disputes which have arisen or which may arise between them in the antitrust issues, the antitrust disputes are arbitrable. Not only international antitrust disputes but also domestic antitrust disputes are capable of being resolved by arbitration. When the public interests in the enforcement of antitrust legislation are asserted, it is possible to justify the annulment or the refusal of the recognition or the enforcement of an arbitral award that ignores public policy as a matter of it.

  • PDF

중재합의(仲裁合意)의 성립(成立) 내지 효력(效力)에 관한 준거법(準據法) (The Applicable Law to the Existence and Effect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 강수미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16권2호
    • /
    • pp.89-120
    • /
    • 2006
  • If the existence and effect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becomes an issue in international business transactions, it is the key point how we shall determine the applicable law by national rules for the conflict of laws, or by other methods. The argument in determination of the applicable law to the existence and effect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is related to regal nature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As there are foreign factors in international arbitration, therefore we must consider such an aspect. Besides, we have to examine whether the general theory of contract is universally applicable to the arbitration agreement. Currently, it is the general trend that the party's autonomy principle is applicable in determining the applicable law for the arbitration agreement. However, it is a difficult problem to recognize the applicable law chosen by the parties, whether it is based on any regal standard(for example New York Convention or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or the essential quality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In the light of the actual transactions, when the parties don't make a choice of the applicable law expressly, it will finally come down to presuming the party's implied intent. Nevertheless, finding the implied intent is a difficult problem. Some argue that we shall presume the choice of applicable law by an objective standard such as a place of arbitration, to prevent too much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 recognition. But we need to review that this interpretation harmonizes with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Especially, if we desire to detect the vital point where it is most closely linked to the arbitration agreement, we have to inquire how we will decide such a relation by means of any standard. However, as the existing Arbitration Act doesn't offer the solution to these issues, therefore we have to settle these problem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djudications and theories.

  • PDF

상사중재에 있어서 당사자자치의 역할 (A Study on the Role of Party Autonomy in Commercial Arbitration)

  • 이강빈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19권2호
    • /
    • pp.3-26
    • /
    • 2009
  • This paper is to research on the role of party autonomy in the decision of applicable law for the arbitral proceeding, arbitral award and arbitration agreement, in the decision of the place of arbitration, in the composition of arbitration tribunal, and the choice of arbitral proceedings.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is fundamental to arbitration in general and to international arbitration in particular. Generally the tenn of party autonomy is used as the autonomy of the parties to decide all aspects of an arbitration procedure subject only to certain limitations of mandatory law. Party autonomy permits the parties to a commercial arbitration to choose the laws and make the rules which govern the arbitral proceedings. Party autonomy allows the parties freedom to choose the applicable laws for the arbitral proceeding and the place of arbitration. Party autonomy is recognized in relation to the choice of law for the merits of the dispute as well as for the arbitration agreement and the arbitration procedure. On the basis of the recognition of party autonomy in international treaties, national legislation and court decisions, arbitral practice has generally accepted and enforced party autonomy both regarding the procedure and the applicable substantive law. All modern institutional rules of arbitration follow that line. Today it is recognized by national legislators all over the world to the effect that the jurisdiction of national courts can be excluded by arbitration agreement and that the parties may choose the law applicable to arbitral proceedings. Limits on party autonomy are imposed by mandatory provisions of international or national law or of institutional arbitration rules regarding the procedure. Mandatory laws at the place of the arbitration or under any procedural law chosen by the parties may restrict party autonomy. These mandatory laws usually take the form of public policy considerations in the arbitration. Limitations on party autonomy have been reduced more and more, and the trend of modern national as well as international legislation on arbitration leans clearly in the direction of a maximum of party autonomy.

  • PDF

중국 상사중재에서 CISG의 적용에 관한 연구 - CIETAC 중재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pplication of CISG in the Commercial Arbitration of China - Focus on CIETAC Arbitration Cases -)

  • 한나희;육영춘;이갑수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9권1호
    • /
    • pp.53-70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some cases of the China International Economic and Trade Arbitration Commision (CIETAC)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the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CISG). As a contracting party of the CISG, China has accumulated a considerable amount of experience in applying CISG through commercial arbitrations.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how CISG is operated in commercial arbitration in China. By analyzing actual cases in China,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can avoid mistakes and further improve. This study of Chinese cases will give some useful information for Korean companies. As defined by the CISG, the applicability can be divided into direct application and indirect application. When China joined the CISG, it made a reservation out of Article 1(1)(b). Korea and China are contracting parties to CISG and CISG is, therefore, directly applied. It is beneficial for Korea to understand how CIETAC is indirectly applied in China then. Som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IETAC made a correct judgment most of the time on the direct application of CISG. However, there were mistakes in the judgment of the nationality of the parties in a few cases. The parties must clearly define applicable laws when entering into a contract. Secondly, the 2012 "CIETAC Arbitration Rules" was revised so that the "party autonomy" was introduced into Chinese commercial arbitration concerning indirect application. Therefore, the principle of autonomy of the parties was not fully recognized in the past judgments. Instead, the domestic law of China was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reservation of Article 1(1)(b). Thirdly, China did not explain the application of CISG in Hong Kong, which led to ambiguity in concerned countr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status of CISG in Hong Kong. In addition, Korean companies should clearly define the applicable laws when dealing with Hong Kong companies.

중재판정 취소사유를 확장한 중재합의의 효력에 관한 고찰 - 미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alidity of a Contract to Expand the Grounds for Vacating Awards in Arbitration Agreements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ases and Theories in the United States -)

  • 강수미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32권1호
    • /
    • pp.43-69
    • /
    • 2022
  •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which has the same provision as Article 10 of the Federal Arbitration Act, a contract may be exceptionally validated if the parties have clearly concluded the contract to expand the grounds for vacating awards in an arbitration agreement. It is possible that the parties create the grounds for vacating that is not stipulated in the statue by clear agreement. However, it remains the issues when this contract is valid. If we investigate the grounds for setting aside as discussed in this paper, in cases ① where an arbitrator failed to apply the substantive law expressly designated by the parties without a good reason; ② where there was a serious error in the application of the substantive law; ③ where an arbitrator decided under ex aequo et bono despite the parties explicitly designated the substantive law, the parties may bring an action for annulment of arbitral awards in court according to their agreement to expand the grounds for vacating the awards. It is important enough to change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parties for them whether or not the substantive law of the arbitration was applied. With Regard to the contract to expand the grounds for setting aside the awards in arbitration agreement, there are still issues how to handle the case where the parties have not designated the substantive law, and the validity of a contract to expand the grounds for vacating on reasons other than violation of law application, and relations with Article 5 of the Convention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where the misapplication of the law does not stipulated as the grounds for refusal to recognize and enforce the foreign arbitral award, and so on.

우리나라의 나고야의정서의 가입이 바이오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분석 (Accession of Korea to the Nagoya Protocol and its Economic Impact Analysis on Korean Bioindustry Companies)

  • 박용하;김준순;최현아
    • 환경정책연구
    • /
    • 제11권4호
    • /
    • pp.39-57
    • /
    • 2012
  •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의 공평하고 균등한 공유에 관한 나고야의정서(이하 '의정서'로 지칭함)의 발효에 따라 향후 우리나라의 바이오기업들이 해외 유전자원에 접근하고 이용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추가적인 경제적 부담을 분석하였다. 의정서 가입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우리나라 바이오기업들의 추가적인 부담 금액은 우리나라의 바이오산업 규모, 해외 유전자원 의존비율, 로열티 기준 ABS 적용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의정서가 2009년에 발효했다면, 우리나라의 바이오기업들은 2009년 기준으로 국내 이용하는 해외 유전자원에 대한 ABS 비용으로 13억~60억 원을 추가로 지불해야 했다. 그리고 이 금액은 점차 증가하여 2015년에는 136억~639억 원(우리나라 바이오산업시장의 0.01% 이하)을 추가로 지불해야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 금액을 볼 때, 우리나라의 의정서 가입은 국내 바이오기업의 매출액 감소폭에 미미한 수준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의정서가 발효하면, 의정서의 가입여부와 관계없이 외국의 유전자원을 이용하는 당사자(국)는 PIC 비용과 당사자(유전자원 제공자와 이용자)들 간의 MAT에 의한 ABS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이 ABS 비용은 우리나라의 당사자와 상대국의 당사자 간의 사적 자치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의정서 가입에 따른 유전자원 제공국으로서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외국 기업의 우리 유전자원 이용에 따른 전통지식을 포함한 로열티 이익과 국내 유전자원을 이용한 라이센싱 수익 발생 등이다. 그 외 의정서의 발효 이후,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 공유에 관한 소송 또는 특허 취소 소송과 규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회 경제적 편익을 고려할 때, 의정서 가입과 미가입에 따라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에 미치는 경제적인 영향 차이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PDF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지방자치단체 유사조례 간의 연계성과 자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spondence and the Autonomy between the Act on the Guarantee of Rights of and Suppor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Similar Ordinances of the Local Governments)

  • 전지혜;이세희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2호
    • /
    • pp.367-402
    • /
    • 2018
  •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이를 모법으로 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유사 조례간 연계성(일치성) 및 자치성(차별성)을 분석하였다. 2017년 10월 기준으로 조회된 전국 63개의 지자체 조례와 발달장애인법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모법의 조항별 내용을 기준으로 조례와의 일치성을 분석하였고 자치성은 조례의 내용적 측면에서 모법과 다른 사례가 있는지 행정적 측면에서 이행 의지를 보다 강조한 사례가 있는지 내용분석으로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모법의 조례 반영률은 조항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복지지원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일치율이 높았고 발달장애인의 권리 보장은 조례상 반영률이 낮았다. 이는 발달장애인을 보호적 관점에서 보는 법적 제도적 특징을 보이는 증거로 볼 수 있다. 향후에는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의사결정에 대한 존중이나 권리보장에 관한 내용이 조례에 적극적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조례 반영률이 0%인 조항도 있었는데, 해당 지역에서 타법에 의해 보장될 수도 있기에 지역 내 관련 제도의 부재를 의미하지는 않으나 제도적 사각지대의 가능성이 있다. 향후에는 발달장애인 관련 지역 내 여타 법제도와의 상보성에 관한 검토가 이루어져 제도적 사각지대에 발달장애인이 놓이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의 자치성이 내용적 측면 및 실질적 이행을 돕는 행정적 측면에서 검토되었다. 단체장의 책무를 강조하거나 실태조사를 강조하거나 복지위원회 운영을 명시하거나 모법상에 없는 내용을 추가적으로 조례에서 담아내고 있기도 했다. 향후 조례제정을 고려하는 지자체는 이와 같은 사례를 참고하여 지방자치의 특성을 살린 지역 밀착적인 실현가능한 조례를 제정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창업생태계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창업가, 예비창업가, 학생을 중심으로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김성훈;남정민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8-92
    • /
    • 2016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주요 국가들은 이러한 상황의 생존전략으로 창업 및 기업가정신의 부활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경기침체 및 청년실업률 증가와 같은 장기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국민행복, 희망의 새 시대'라는 국정비전하에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 실현을 제1의 국정목표로 설정하였다. 2016년 4년차에 접어드는 창조경제는 수많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여 창업지원사업을 하고 있지만, 그 효과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창업을 하거나 준비 중인 창업가, (예비)창업가, 학생을 중심으로 현 창업생태계의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이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부,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의 창업지원사업에 바람직한 지원방향을 제시하여 건강한 창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의 문제점은 보겨 주기식 창업지원사업 및 행사라고 응답한 비율이 41.5%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국내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제 역할을 충분히 하지 않은 당사자는 34.1%가 중앙정부, 28.3% 국내 대기업이라고 응답하였다. 창업경험 유무에 따른 창업과정의 애로사항은 자금조달이 46.1%로 가장 높았고, 창업 초기자금 조달방법은 응답자의 절반인 50.4%가 개인자금으로 창업 초기자금을 조달한다고 응답하였다. 창업이 주저되는 주요 이유로는 창업자금 마련 및 기회비용이 40.4%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창업 시 가장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지원정책으로는 자금 및 투자 지원이 26.6%, 사무실공간지원 13.5%, 마케팅 및 판로 지원이 13.5%의 응답률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