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담화의 구조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Building an RST-tagged Corpus and its Classification Scheme for Korean News Texts (한국어 수사구조 분류체계 수립 및 주석 코퍼스 구축)

  • Noh, Eunchung;Lee, Yeonsoo;Kim, YeonWoo;Lee, Do-Gil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33-38
    • /
    • 2016
  • 수사구조는 텍스트의 각 구성 성분이 맺고 있는 관계를 의미하며, 필자의 의도는 논리적인 구조를 통해서 독자에게 더 잘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독자의 인지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수사구조를 고려하여 단락과 문장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수사구조에 기초한 한국어 분류체계를 만들거나 주석 코퍼스를 설계하려는 시도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사구조 이론을 기반으로, 한국어 보도문 형식에 적합한 30개 유형의 분류체계를 정제하고 최소 담화 단위별로 태깅한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구축한 코퍼스를 토대로 중심문장을 비롯한 문장 구조의 특징과 분포 비율, 신문기사의 장르적 특성 등을 살펴봄으로써 텍스트에서 응집성의 실현 양상과 구문상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담화 구문에 적합한 수사구조 분류체계를 설계하고 이를 이용한 주석 코퍼스를 최초로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PDF

Issues of Discourse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어교육학에서의 담화 연구 분석)

  • Kang, Hyounhwa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v.23 no.1
    • /
    • pp.219-256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trend of discourse study in language education and analyze the main issues by investigating the literatures related to discour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last ten years. This study observed the discourse study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study subject, study method and study data. Moreover, based on the results, it estimated the achievements and effectiveness of the discourse study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ubject of discourse study was mainly dealt with discourse function, discourse pattern, discourse marker, discourse structure. In the study methods, analysis of corpus and survey were mainly used as the study methods, and spoken corpus, written corpus and semi-spoken corpus were used as study materials. In particular, the semi-spoken corpus was used at a very high rate among them. This showed that discourse stud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mainly focused on spoken corpus study. This study divided the detailed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to four fields of linguistic knowledge, communication function, teaching activities and learning activities, and observed the trends of discourse study in each field. Overall, it was recognized that relatively many studies were focused on linguistic knowledge, particularly in pragmatic perspective. It can be said that the study based on discourse has a language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that it is based on actual data and improves practical communication skills in the environment of various languages.

Information Packaging in Korea: Focusing on the Pronoun Resolution (한국어에서의 정보포장: 대명사 해결을 중심으로)

  • 이민행
    • Language and Information
    • /
    • v.4 no.1
    • /
    • pp.36-48
    • /
    • 2000
  • 이 논문에서는 국지적인 대명사의 해결을 위한 이론적인 틀로 널리 아려진 중심화이론의 여러 이론적인 정보포장이론이라는 새로운 담화의미론으로 발전시킬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로써 한국어 담화상에 나타나는 대명사의 선행사 탐색이 상당히 설득력있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제한된 영역대화라 할 수 있는 호텔예약대화에 나타나는 영대명사의 특징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서, 대명사 해결과 관련하여 정보구조가 중심화이론의 주요 구성요소인 정향적 중심리스트 서열 구성에 직접 반영되어야 함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대명사를 담화통어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담화통어제약을 제안하여 광역대화에 나타나는 명시적인 대명사의 해결을 위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한다.

  • PDF

A Discourse-Pragmatic Study of Preposing and Inversion in English. (전치문과 도치문의 담화화용론적인 비교)

  • 박원경
    •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 /
    • v.3 no.1
    • /
    • pp.37-5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henomena of preposing and inversion in English from the discourse-pragmatic perspectives. We claim that different types of preposing can be unified to a single process of topicalization. We also show that diverse discourse functions of inversion can be subsumed under the ‘linking’ function with the prior discourse. It is followed a comparative discussion between preposing and inversion to find what similarities the two constructions share and what differences there exist between the two. It is concluded that the choice of a syntactic forms ultimately depends on the speaker's evaluation of the information status of the knowledge store of the hearer.

  • PDF

Development of an Analytical Framework for Dialogic Argumentation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 Based on Discourse Clusters and Schemes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맥락에서의 소집단 논증활동 분석틀 개발: 담화클러스터와 담화요소의 분석)

  • Ko, Yeonjoo;Choi, Yunhee;Lee, Hyunj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5 no.3
    • /
    • pp.509-521
    • /
    • 2015
  • Argumentation is a social and collaborative dialogic process. A large number of researchers have focused on analyzing the structure of students' argumentation occurring in the scientific inquiry context, using the Toulmin's model of argument. Since SSI dialogic argumentation often presents distinctive features (e.g. interdisciplinary, controversial, value-laden, etc.), Toulmin's model would not fit into the context. Therefore, we attempted to develop an analytical framework for SSI dialogic argumentation by addressing the concepts of 'discourse clusters' and 'discourse schemes.' Discourse clusters indicated a series of utterances created for a similar dialogical purpose in the SSI contexts. Discourse schemes denoted meaningful discourse units that well represented the features of SSI reasoning. In this study, we presented six types of discourse clusters and 19 discourse schemes. We applied the framework to the data of students' group discourse on SSIs (e.g. euthanasia, nuclear energy, etc.) in order to verify its validity and applicabil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ramework well explained the overall flow, dynamics, and features of students' discourse on SSI.

An Automatic Classification of Discourse Relations in the Arguing Structure of Korean Texts (한국어 텍스트의 논증 구조 내 담화 관계의 자동 분류 연구)

  • Lee, Sana;Shin, Hyop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59-64
    • /
    • 2015
  • 최근 온라인 텍스트 자료를 이용하여 대중의 의견을 분석하는 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작업에는 주관적 방향성을 갖는 텍스트의 논증 구조와 중요 내용을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자료의 양과 다양성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그 과정의 자동화가 불가피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에 대한 찬반 의견으로 구성된 한국어 텍스트 자료를 직접 구축하고, 글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들 사이의 담화 관계를 정의하였다. 각 단위들 사이의 관계는 기계학습과 규칙 기반 방식을 이용하여 예측되고, 그 결과는 합성되어 하나의 글에 대응되는 트리 구조를 이룬다. 또한 텍스트의 구조상에서 주제문을 직접적으로 뒷받침하는 문장 혹은 절을 추출하여 글의 중요 내용을 얻고자 하였다.

  • PDF

Representation Structure of Korean Dialogue (한국어 대화의 표상구조)

  • 이동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496-498
    • /
    • 2002
  • 한국어 대화에서는 상황에 따라 주어나 목적어가 대화 속의 발화문에서 완전히 생략되기도 하고, 존대현상이 일어나기도 하고, 존대대명사가 사용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특징적인 언어현상이 일어나는 한국어 대화를 처리하고 그것의 표상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대화참석자에 관한 정보, 발화문의 화형에 관한 정보, 대화에 관련된 사람들의 사회적 지위에 있어서의 상대적 순위에 관한 정보, 대화에 나타나는 발화문 사이의 정보흐름에 관한 정보 등을 명시적으로 표시하고 이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며, 또한 이러한 상황정보를 한국어대화표상구조에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한국어대화표상구조의 구축은 담화표상이론(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과 분할담화표상이론(Segmented 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을 수정, 확대하여 이루어진다.

  • PDF

Building an RST-tagged Corpus and its Classification Scheme for Korean News Texts (한국어 수사구조 분류체계 수립 및 주석 코퍼스 구축)

  • Noh, Eunchung;Lee, Yeonsoo;Kim, YeonWoo;Lee, Do-G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33-38
    • /
    • 2016
  • 수사구조는 텍스트의 각 구성 성분이 맺고 있는 관계를 의미하며, 필자의 의도는 논리적인 구조를 통해서 독자에게 더 잘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독자의 인지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수사구조를 고려하여 단락과 문장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수사구조에 기초한 한국어 분류체계를 만들거나 주석 코퍼스를 설계하려는 시도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사구조 이론을 기반으로, 한국어 보도문 형식에 적합한 30개 유형의 분류체계를 정제하고 최소 담화 단위별로 태깅한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구축한 코퍼스를 토대로 중심문장을 비롯한 문장 구조의 특징과 분포 비율, 신문기사의 장르적 특성 등을 살펴봄으로써 텍스트에서 응집성의 실현 양상과 구문상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담화 구문에 적합한 수사구조 분류체계를 설계하고 이를 이용한 주석 코퍼스를 최초로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PDF

A Case Study on the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Docents Who Mediate Visitor's Learning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 (자연사박물관에서 관람객의 학습을 중재하는 도슨트의 담화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 Lee, Joo-Youn;Lee, Jeong-A;Kim, Chan-J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0 no.6
    • /
    • pp.815-835
    • /
    • 2010
  • This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discourses between docents and visitors in natural history museums. Two doc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e worked in Seodaemoon Natural History Museum and the other in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discourses, especially understanding the mediation of visitors' learning, Pedagogic Discourse Analysis method was adopted. The results show two contrasting types of interactive discourses, Encouraging Visitors' Meaningful Participation (EVMP) and Encouraging Visitors' Simple Participation (EVSP). In the EVMP discourse, structural cohesion is strong in thematic flow and information flow. Docent and visitors share the role of information provider and "Themes" are developed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docent and the visitors. On the contrary, in the EVSP discourse, structural cohesions are weak. Even though the visitors participate in the discourse, their discourse scarcely contribute to develop "Themes" in the discourse. Most of the information is developed and expanded by the docent. These results helped us to suggest that docents have to understand and use visitors' prior knowledge as a discourse "Theme." It is also suggested that docents need to have not only the competent content knowledge about exhibitions but also the capability to lead discourses that allow the visitors to participate meaningfully during the education processes.

Classroom Discourse Analysi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Science Classroom (과학 수업 시간에 발생하는 교사-학생 간 교실 담화 분석)

  • Han, Shin;Jung, Jinwoo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5 no.2
    • /
    • pp.159-17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the quality of I-R-E pattern and question-answer affili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 depending on teacher's career. This study analyzes 6 classroom discourse texts of 6th grade science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a newly appointed teacher, I-R-E pattern is appeared repeatedly. Second, in the case of experienced teachers, expended I-R-E pattern is appeared compare with a newly appointed teacher. Third, in the case of a newly appointed teacher, independence relational structure is appeared more repeatedly than other structures. But, in the case of experienced teachers, all kinds of question-answer structures - independence, parallel, insertion, and reorganization relational structure - are appeared more even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