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자연사박물관에서 관람객의 학습을 중재하는 도슨트의 담화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Docents Who Mediate Visitor's Learning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

  • 투고 : 2010.06.07
  • 심사 : 2010.07.24
  • 발행 : 2010.10.30

초록

이 연구는 자연사박물관에서 도슨트와 관람객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나타나는 담화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대문자연사박물관 도슨트 1인과 과천과학관의 도슨트 1인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관람객의 학습을 중재하는 담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수학적담화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관람객의 의미있는 참여를 독려하는 담화(EVMP)"와 "관람객의 단순 참여를 독려하는 담화(EVSP)"가 파악되었다. EVMP는 주제 흐름과 정보 흐름 모두에서 구조적 응집성이 나타났다. 도슨트와 관람객은 정보 제공자의 역할을 공유했으며, 상호작용을 통해 "주제"가 발전되었다. 반면 EVSP는 구조적 응집성이 약했다. 관람객이 담화에 참여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담화는 "주제"를 발전시키는데 공헌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정보는 도슨트에 의해서 발전되고 확장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슨트는 관람객이 담화 중 보여주는 선지식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이를 담화 주제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도슨트 양성 과정에서도 전시물의 내용에 대한 풍부한 지식 뿐 아니라 관람객의 의미 있는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능력에 대한 학습 기회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discourses between docents and visitors in natural history museums. Two doc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e worked in Seodaemoon Natural History Museum and the other in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discourses, especially understanding the mediation of visitors' learning, Pedagogic Discourse Analysis method was adopted. The results show two contrasting types of interactive discourses, Encouraging Visitors' Meaningful Participation (EVMP) and Encouraging Visitors' Simple Participation (EVSP). In the EVMP discourse, structural cohesion is strong in thematic flow and information flow. Docent and visitors share the role of information provider and "Themes" are developed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docent and the visitors. On the contrary, in the EVSP discourse, structural cohesions are weak. Even though the visitors participate in the discourse, their discourse scarcely contribute to develop "Themes" in the discourse. Most of the information is developed and expanded by the docent. These results helped us to suggest that docents have to understand and use visitors' prior knowledge as a discourse "Theme." It is also suggested that docents need to have not only the competent content knowledge about exhibitions but also the capability to lead discourses that allow the visitors to participate meaningfully during the education process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기상(2008). 자연사박물관에서 일어나는 관람객들의 상호작용적 학습-근접발달영역 체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김찬종, 신명경, 이창진, 차현정(2006).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반영 정도와 전시 방법의 교육적 분석: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7(2), 130-139
  3. 맹승호(2009). 담화 언어 코드로 본 과학 수업 양태의 학생 중심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116-136.
  4. 박은지(2009). 화석전시관에서 또래 관람객들의 질문카드 활용에 따른 소통의 특징 비교-다중모드 분석을 기반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설양환, 임병로(2001). 박물관의 현장 견학 프로그램. 교육학연구, 39(4), 231-254.
  6. 이상수(2004). 면대면 학습 환경과 온라인 실시간 /비실시간 학습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교육공학연구, 20(1), 63-88.
  7. 이정아, 맹승호, 김찬종(2008). 과학수업담화의 새로운 독법: 교수학적 담화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832-847
  8. 이정아(2009). 해석-언어적 접근을 통한 과학수업의 이해와 그 함의.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정원영, 이주연, 박은지, 김찬종, 이선경(2010). 자연사관 관람에서 중학생 소집단의 대화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 한국지구과학회지, 30(7), 909-920.
  10. 최지은(2004). 자연사 박물관 관람객의 관람유형과 관람만족도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5(5), 315-326.
  11. 허준영(2009).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매력도 연구-관람객의 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Beaugrande, R. de & Dressler, W. (1981). Introduction to textlinguistics. London: Longman.
  13. Belcher, M. (2006). 박물관 전시의 기획과 디자인 (신자은, 박윤옥 역.). 서울: 예경. (원저 1991 출판).
  14. Buty, C., & Mortimer, E. F. (2008). Dialogic/Authoritative discourse and modelling in a high school teaching sequence on op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2), 1635-1660. https://doi.org/10.1080/09500690701466280
  15. Childs, A., & McNicholl, J. (2007).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practice through the analysis of classroom dis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3), 1629-1653. https://doi.org/10.1080/09500690601180817
  16. Draper, L.(1984). Friendship and the museum experience: The interrelationship of socialities and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y.
  17. Falk, J. H. & Dierking, L. D. (2000). Learning from Museums: Visitor Experiences and the Making of Meaning. Walnut Creek. CA: Alta Mira
  18. Glaser, J. R. & Zenetou, A. A. (1996). Museums: A Place to Work Planning Museum Careers. New York: Routledge.
  19. Hooper-Greenhill, E. (1999).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2nd ed.). London: Routledge.
  20. Johnson, A. (2009). The museum Educator's Manual. Lanham: Altamira press
  21. Leinhardt, G., Crowley, K. & Knutson, K. (2002). Learning Conversations in museum.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2. Steffe, L. P. & Gale, J. (Eds). (2005). 교육과 구성주의 : 교육 공학의 인식론적 기반 (이명근 역.). 서울: 학지사. (원저 1995 출판).
  23.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24. Vygotsky, L. S. (1981). Genesis of higher mental function. In R. W. Rieber (Ed.) The collected works of L. S. Vygotsky, Vol. 4 (pp. 97-119), New York: Plenum Press.

피인용 문헌

  1. 국립과천과학관의 테슬라코일 전시물 설명판에 대한 관람객의 주목도 분석 vol.32, pp.1,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1.046
  2. 논증 담화 분석 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논증활동의 협력적 구성과 인식적 실행의 분석을 중심으로 vol.33, pp.4,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4.840
  3.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using Storytelling for Learning with Natural Heritage Exhibition vol.30, pp.3, 2010, https://doi.org/10.17965/kjee.2017.30.3.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