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담수장치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Analysi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of agricultural freshwater lake using unmanned autonomous water treatment device (무인 자율 이동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농업용 담수호 수질개선 효과 분석)

  • Kang, Eu Tae;Jung, Woo Suk;Lee, Gyu Sang;Lee, Jang Hee;Park, Se 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2-492
    • /
    • 2022
  • 최근 농업용 담수호 내에서 발생하는 녹조 및 수질오염으로 인한 민원이 증가하고 있다. 농업용수로 이용하고 있는 농업용 담수호의 수질관리는 상류유역에서 유입되는 오염원관리가 중요하나 장기적인 유역계획이 수립되어야하므로 즉각적인 수질개선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호 내 수질관리는 광범위한 수면적으로 인해 인력 운영 및 시간적 소모가 크며, 일시적인 수질관리만 기대할 수 있다. 장치형 시설을 설치할 경우 막대한 시설비가 소요되며, 지속적으로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담수호 내 수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자율감시 및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수질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담수호의 자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해 무인항법장비와 자동 수처리 장치를 융합한 제품을 제작하여 현장적용을 통해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무인 자율 이동장치에 설치된 자동 수처리 장치는 녹조발생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고시한 수처리체(황산알루미늄, Alum)를 이용한 약품 살포 장치를 제작하였다. 자율항법장치의 운행 구역을 지정하고, 총 5회 지정된 구역내에서 약품을 살포하고, 미살포 구역을 대조군으로 하여 살포 구역과 수질개선효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수질 항목별 자동 수처리 장치에 의한 수질 저감효율은 ○ COD 13.8%, TOC 18.6%, SS 23.3%, T-N 8.4%, T-P 58.9%, Chl-a 74.4%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Impact of Inlet Temperatures of Heating Water and Feed Water on Operating Conditions of 2 Effect Desalination System (2중효용 담수장치의 가열열원과 공급수 온도에 의한 작동 상태 변화에 관한 연구)

  • Choe, Seong-Uk;Park, Jong-Jin;Jeong, Hyeong-Ho
    •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
    • /
    • 2006.06a
    • /
    • pp.663-668
    • /
    • 2006
  • In the present paper, a single stage fresh water generator was modified and extended to 2 effect desalination system. The inlet temperatures of hot water and feed water were selected as experiment parameters to get operating conditions and fresh water generating rates. The impacts of these parameters on operating conditions and fresh water generating rates were described in detail.

  • PDF

Development of water supply system for efficient water management (효율적 물관리를 위한 용수공급시스템 개발)

  • Chung, Kwang-Kun;Lee, Kwang-Ya;Kim, Hae-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135-2139
    • /
    • 2007
  • 현재 한국농촌공사에서는 농업용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물관리자동화사업을 시행하고 약 8만ha를 대상으로 418개의 수리시설을 전동화하였다. 물관리자동화사업에서의 물관리는 공급자 위주로서 이미 결정되어진 물의 양을 시기에 따라 적절하게 공급하여 주며 이를 계측하고 제어하기 위한 시설이다. 그러나 현재 실제로 물관리가 일어나는 곳을 말단포장으로서 급수물꼬의 개폐에 따라 농업용수의 공급과 단절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급수물꼬를 논의 담수심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자동물꼬, 논의 담수심과 수로의 유황상황을 체크하여 정보전달을 수행하는 수로수위측정 및 담수심 측정장치, 상기의 논과 수로의 유황정보에 의하여 논에 물을 공급하는 태양광 전동수문, 수로의 수위증감에 따라서 수로의 수압을 일정하게 형성시켜 용수공급을 원활하게 해주며 또 기존의 제수문과는 다르게 항상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하류방향으로 물을 공급해주는 무동력 자동수문을 개발하여 시스템으로서 구성하여 설치하였다. 현재 담수심 측정 및 수로수위측정장치로부터의 정보전달은 무선으로 하며 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태양광 전동수문의 모터제어부에서 판단을 하여 수문의 개폐를 지시한다. 또한 무동력 자동수문의 경우에는 부력부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서 주수부를 통하여 수로내 수위와 같은 레벨로 물이 유입되고 이를 플로트가 감지하여 수문비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밸런스 웨이트를 제어하여 수문을 개폐한다. 본 무동력 자동수문은 수위를 유지하는 설정수심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도록 주수부를 개량하였으며 부력부에 오물유입이 되지 않도록 스크린을 주수부의 물유입장소에 설치하였다. 현재까지 시스템의 작동상황에 대한 성능은 양호하다. 다만 향후의 문제점으로서 시스템이 설치된 지역과 설치되지 않은 지역과의 용수사용량을 비교분석하는 작업으로 본 시스템의 경제적 효과 및 효율성을 증명할 필요가 있으며 본 시스템의 실용화시 시스템 사용방안에 대해서는 대규모 평야부와 저수지 지구의 물공급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감안한 시스템 구성을 할필요가 있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Steam Jet Vacuum System in Multi-effect Desalination Plant (다중효용 담수 설비의 증기이젝터 진공장치에 관한 수치해석)

  • Ko, Sang-Cheol;Kim, Yong-Sun;Choi, Du-Youl;Kim, Pil-Hwa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9 no.3
    • /
    • pp.238-242
    • /
    • 2015
  • A steam jet vacuum system that will be implemented in a multi-effect desalination plant is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numerically investigat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 of the steam jet vacuum system for the sea water distillation process. The effects of design parameter such as nozzle size and converging duct angle are discussed in order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flow characteristics inside the steam ejector and subsequently pave the way for more optimum designs. The simulation results have been in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data and have well reproduced the shock train phenomena of the throat region.

Novel Apparatus for Seawater Desalination and Its Application (신개념 해수담수 플랜트 적용을 위한 장치개발 및 적용기술)

  • Lee, Ju Dong;Kang, Kyung Ch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8 no.5
    • /
    • pp.407-412
    • /
    • 2014
  • A new apparatus for seawater desalin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gas hydrates, is suggested. The equipment continuously produces and pelletizes gas hydrates by a squeezing operation in a dual cylinder unit, which is able to extract pure hydrate pellets from the seawater-containing reactor. Desalination efficiency for each dissolved ion from seawater samples was test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scopy (ICP-AES) and ion chromatography (IC) analysi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suggested method and the stated apparatus may solve the difficulty of separating hydrate crystals from concentrated brine solutions, and therefore may be appli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xisting desalination processes.

Development of 3th Effects Evaporative desalination system for Solar Desalination System (태양에너지 해수담수화를 위한 3중 효용 증발식 담수기 개발)

  • Hwang, In-Seon;Joo, Hong-Jin;Yun, Eung-Sang;Kwak, Hee-Yo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01-201
    • /
    • 2010
  • The evaporative desalination system with solar energy would be the efficient and attractive method to get fresh water. This study was described the development of Multi Effect Distillation(MED) with solar energy desalination system. The system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Multi effect distillation on the capacity of $3m^3$/day. The experimental apparatus consists mainly of ejector pump, Hot water pump, flow meter, demister, cooler, evaporator and condenser. Evaporator and condenser were made Shell&Tube Heat Exchanger type with corrugated tube. The experimental variables were chosen $75^{\circ}C$ for hot water inlet temperature, 40, 60 and $80{\ell}$/min for hot water inlet volume flow rate, 6.0 and $8.0{\ell}$/min for evaporator feed seawater flow rate, $18^{\circ}C$ for sea water inlet temperature to cover the average sea water temperature and the salinity of sea water is measured about 33,000 PPM (parts per million). for a year in Korea. This study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rmal performance of Multi Effect Distil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Multi effect distillation is required about 40 kW heat source for production of $3m^3$/day fresh water. Various operating flow rate was confirm in the experiments to get the optimum design data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um total flow was $8.0{\ell}$/min. Comparison of Single Effect Distillation with Multi Effect Distillation showed MED is at least more than double of SED.

  • PDF

The Form of Saltwater Wedg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terfacial Layer (염수쐐기의 형상과 경계층의 구조적 특성)

  • Shin, Hyun-Ho;Lyu, Si-Wan;Kim, Young-Do;Seo, Il-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38-184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하구 유입 하천에서 발생하는 염수쐐기의 형상 및 거동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정상상태 염수쐐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개수로의 상류부분에는 담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담수공급장치를 설치하였고, 정상상태의 염수쐐기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염수수조 측면에 지속적으로 염수를 공급할 수 있는 염수공급수조를 설치하였다. 실험조건은 담수 방류량과 이층류의 밀도차의 영향을 고려한 밀도프루드수(densimetric Froude number)를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각 케이스별 염수쐐기의 형상은 중앙부에서 약간의 산포된 양상을 제외하고는 거의 선형을 이루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경계층의 형상과 두께는 이층류의 농도장을 측정하고 밀도변동성분을 고려한 표준편차를 통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염수쐐기의 선단부에 해당하는 리차드슨수와 경계층 두께와의 비교 등을 통해서 경계층의 양상을 파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