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달동네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뉴타운 현장을 가다-(1)아현 뉴타운

  • Ha, Yu-Jeong
    • 주택과사람들
    • /
    • s.201
    • /
    • pp.48-51
    • /
    • 2007
  • 아현 뉴타운은 신촌, 종로 등의 도심과 맞닿아 있으면서도 노후 주택과 다세대 주택이 구역 전체를 빼곡히 채우고 있어 오래 전부터 개발 필요성이 제기돼왔던 곳이다. 2003년 11월 2차 뉴타운으로 지정된 후 최근 공덕5구역이 정비 구역으로 지정되는 등 개발이 한창이다. 대표적인 달동네에서 복합 생활 문화 타운으로 변모될 아현 뉴타운을 찾았다.

  • PDF

프로판 특소세 폐지 건의

  • Korea LPGas Industry Association
    • LP가스
    • /
    • s.79
    • /
    • pp.6-8
    • /
    • 2002
  • 현재 프로판은 산동네, 달동네, 도서, 벽시 등 저소득층이 사용하고 있으나 특별소비세가 부과되고 있어 당초 특소세의 부과취지와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중산층이상이 사용하고 있는 도시가스와의 가격격차가 더욱 벌어지는 등 문제점이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우리회는 최근 프로판의 특소세를 폐지해줄 것을 재정경제부와 국회 재경위원들에게 건의한 바 있다.

  • PDF

The Study on Street Facade Characteristics of Junggye-dong 104 village in Seoul (서울 중계동 백사마을 가로외관 특성 연구)

  • Jang, Yong Hae;Lee, Young Han
    • KIEAE Journal
    • /
    • v.13 no.5
    • /
    • pp.5-15
    • /
    • 2013
  • 104 village has kept the landscape of low-income settlements at hillside village as called 'Daldongnae' since 1960s. It has high urban and social values in modern housing history of Korea.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sic type, transformed type of street facade and also the meaning in the modern housing history. It analyzes basic elements(building elevation, gate, fence) and subsidiary elements(roof form, door, window), and the type of street facade by the composition of the element.

주택환경개선지구 10곳 새로 지정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no.7 s.24
    • /
    • pp.24-29
    • /
    • 1992
  • [ $\circ$ ] 한국주택협회는 주거환경이 열악한 광명시 철산지구 등 10개지구를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새로이 추가하여 지정하였다.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지정된 이들 지구는 시장 등이 수립하는 개선계획에 따라 소방도로 등 기반시설의 정비와 아울러 기존의 주택을 개량하거나 새로이 공동주택을 건설하게 되며 이때, 정부에서는 한국주택은행을 통하여 호당 1,400만원까지 장기저리의 자금을 융자지원하게 된다. $\circ$ 도시영세민이 거주하는 불량주택밀집지역에 대하여 시행하는 이 사업은 ''92. 4. 14 현재 199개 지구가 사업지구(주거환경 개선지구)로 지정되었고 개선계획이 확정된 73개 지구에서는 이미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다. $\circ$ 정부는 ''99년까지 전국 502개 지구에 대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완료하여 ''달동네''를 살기 좋은 주거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 PDF

주거환경개선지구 11곳 새로 지정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no.2 s.19
    • /
    • pp.66-71
    • /
    • 1991
  • [ $\circ$ ] 건설부는 주거환경이 열악한 서울특별시 승인지구 등 11개 지구를 주거환경 개선지구로 새로이 추가하여 지정하였다.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지정된 이들 지구는 시장 등이 수립하는 개선계획에 따라 소방도로 등 기반시설의 정비와 아울러 기존의 주택을 개량하거나 새로이 공동주택을 건설하게 되며 이때, 정부에서는 한국주택은행을 통하여 호당 1,200만원까지 장기저리의 자금을 융자지원하고 있다. $\circ$ 도시영세민이 거주하는 불량주택밀집지역에 대하여 시행하는 이 사업은 ''91.11.8 현재 170개 지구가 사업지구(주거환경 개선지구)로 지정되었고 개선계획이 확정된 60개 지구에서는 이미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다. $\circ$ 정부는 ''99년까지 전국 502개 지구에 대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완료하여 ''달동네''를 살기 좋은 주거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 PDF

Housing Poverty and Quality of Life in Urban Korea (도시 저소득층 주거와 삶의 질)

  • 하성규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2
    • /
    • pp.295-306
    • /
    • 2000
  • 본 연구는 삶의 질에 관한 관점을 우리 나라 도시저소득층의 주거실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주거빈곤층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발전대안을 모색하도록 한다. 국내외 거의 모든 ‘삶의 질’선행연구에 있어 중요한 지표로서‘주택’,‘주거환경’,‘주거장소’등 주거에 관한 상이 포함되어 있다. 즉 삶의 질 연구에 있어 주택 및 주거환경은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주거빈곤을 기능적 측면, 경제적 측면, 최저주거기준 측면, 그리고 주거권 측면에서 분석하고, 한국의 주거빈곤실태를 파악하였다. 특히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주거빈곤층은 달동네.산동네라 불리는 불량주거지, 비닐하우스, 쪽방 등에 거주하며, 이들은 주로 주택점유 형태상 전세, 보증부월세, 월세 등의 임차가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삶의 질과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발전대안 모색을 위해 주거분야 ‘삶의 질 지표’를 제안하였다. 지표의 내용으로 주택 그 자체뿐 아니라 주거기능이 원활하도록 하는 공공서비스, 안전 등의 광의적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삶의 질에 관련된 정책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네 가지 부문(정부, 민간부문, NGO/CBO, 주민)별 각자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 PDF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Health and Life of Low-income Seniors who live in Poverty Area in Metropolitan City (달동네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노인의 건강과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광주광역시 발산마을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 Jang, Dongyeop;Shin, Heontae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 /
    • v.21 no.2
    • /
    • pp.79-94
    • /
    • 2017
  • Objectives : The elderly in South Korea are the poorest among OECD countries in 201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health and life of the low-income elderly living in vulnerable areas in a metropolitan city.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7 participants from October to November 2015 and analyzed through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for over 60 minutes in each person. Results : 7 categories were identified from 17 subcategories: "My life history: sick body," "Living with a sick body," "My poor but precious life," "A sense of distance from the hospital," "Narrowed area of my life," "Thankful for help," and "The village where I have lived my destiny." There is a lack of medical accessibility, mobility, and economic independence for low-income seniors. In addition, full-fledged redevelopment comes to them as violence. Conclusions : The health and life of the low-income elderly in vulnerable areas are products of many social factors, reaffirming the importance of social health.

A Study on Environment of Daldongnae and Regeneration in Jeonju - Focused on the Jaman-maeul area in Jeonju City - (전북 전주시 달동네 환경 분석과 마을 가꾸기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북 전주시 교동 자만마을을 중심으로 -)

  • Lee, Sung-K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15 no.3
    • /
    • pp.41-48
    • /
    • 2013
  • The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problems of Daldongnae (hillside shantytown) in Jaman-dong, Jeonju, and to propose the countermeasures for village regeneration. Based on the survey of current conditions in the area and the case study of successful regeneration projects, this study suggests regenerating concepts for the community. The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alyzes that Jaman-dong is faced with the population decline, especially among the young, the lack of community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and the unfavorable situation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case study involves three successful Daldongnae regeneration projects: the culture-based regeneration of Cultural Village (in Gamcheon-dong, Busan), the regeneration focused on healthcare and education of Ibagugil (in Choryang-dong, Busan), and the community-led regeneration of Rainbow Village (in Dae-dong, Daejeon). The regenerating concepts for the community are as follows: utilizing the existing local community center as a gathering place for the residents, furnishing a cultural space for a growing number of visitors, adding new parking space, installing convenient facilities in order to provide better pedestrian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and elderly, improving street landscapes, and establishing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Dedicated fire detection AIoT platform for socially vulnerable districts (사회적 취약지구를 위한 전용 화재감지 AIoT 플랫폼)

  • A-young Choi ;Hye-Been Lee;Eun-Seo Choi;Jea-Jun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12-1013
    • /
    • 2023
  • 본 논문의 사회적 취약지구를 위한 전용 화재감지 AI'sTory 플랫폼은 달동네와 판자촌과 같이 소외계층이 집약된 곳이라면 노후된 기기와 전선들이 많을 것이고 그렇다면 전기적 요인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것이라는 가설에서부터 시작한다. 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고안한 사회적 취약지구를 위한 전용 화재감지 AI'sTory 는 스파크를 감지하고, 전선 주위의 발열량을 모니터링하며, 화재를 감지한 즉시 소방서로 연락을 취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이다. 더 나아가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매일 온·습도, 전력 접촉부의 온도, 계절 등 여러 환경을 고려해 화재가 발생할 확률을 계산한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아도 매일 화재 발생 위험률을 제공한다. 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회적 취약지구를 위한 전용 화재감지 AI'sTory 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공지능으로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