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일 늑골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초

단순흉부촬영상 관찰되는 늑골 변이의 양상 및 빈도 (Shape and Incidence of Rib Variations in Chest Radiographs)

  • 주지선;배인영;김성태;곽승민;조철호;조성욱;박찬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1호
    • /
    • pp.45-53
    • /
    • 2000
  • 연구배경: 단순흉부촬영에서 늑골의 변이에 익숙하지 못한 경우 흉곽 또는 폐 병변으로 오인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단순흉부촬영에서 늑골의 변이에 대한 외국의 문헌 보고가 소수 있으며 국내에서도 임 등에 의한 보고외에는 문헌 보고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 정상 성인에서 발견되는 여러가지 늑골 변이의 종류와 형태 및 그 빈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6년 1월부터 1998년 9월까지 신체검진을 목적으로 연속적으로 본원을 방문하여 단순흉부촬영을 시행한 성인 5,0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가 각각 2,827명과 2,173명(1.3:1)이었고 연령은 평균 34.6(19-65세)였다. 전 예에서 후전면촬영 사진상 늑골변이의 종류, 위치 및 형태를 보았고 각 변이의 빈도를 계산하였다. 결 과: 총 76명(1.52%)에서 88예의 늑골의 변이가 관찰되었고 남성이 63명(2.23%), 여성이 13명(0.6%)이었다. 88예의 늑골 변이중 이열늑골(bifid rib, n=35)이 가장 흔히 관찰되었고, 늑골의 형성 부전(hypoplasia, n=22), 늑골단의 넓어짐(flaring, n=18), 늑골간의 가교형성(bridging of rib, n=7), 경륵(cervical rib, n=3), 늑골 융합(fusion, n=3) 순으로 나타났다. 이열 늑골은 우측 제 4늑골에서 가장 흔했으며(12/35, 34.3%), 제 5늑골(6/35, 17.1%) 과 우측 제 3늑골(6/35, 17.1%)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늑골의 형성부전은 제 1늑골에서 가장 흔했다. 늑골단의 넓어짐은 제 4늑골에서(8/18, 44.4%) 흔히 관찰되었고 늑골간의 가교 형성은 제 1-2늑골간에서 흔했다(3/7, 42.9%). 결 론: 성인에서 늑골의 변이는 약 1.52%의 반도를 보였다. 이열 늑골이 가장 흔했고 늑골의 형성 부전, 늑골단의 넓어짐, 늑골간의 가교 형성, 경륵, 늑골융합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 PDF

늑골에 생긴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의 외과적 치료-치험 2예- (Surgical Treatment of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n the Rib - Two cases report -)

  • 강도균;박재민;한일용;전희재;윤영철;황윤호;조광현;이양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1호
    • /
    • pp.799-802
    • /
    • 2005
  •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은 호산구성 육아종, Letterer-Siwe병, Hand-Schuller 증후군을 포함하는 질환으로 이전에는 조직구증식증 X로 명명되어 왔다. 이 질환의 임상적 양상은 다양하며, 기본적인 종양의 성질은 양성이나 파종되는 성질이 아주 강하다. 질환의 자연 경과는 예측할 수 없다. 하지만, 뼈에 생긴 단일 병변일 경우 광범위 절제를 통해서 완치율을 높일 수가 있다. 대부분의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 환자에서는 주로 두개골 천정에 골용해 병변이 나타나며, 드물게 두개골 기저부와 대퇴골을 침범하기도 한다. 늑골에 생기는 단일 병소의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은 비교적 드물다. 본 저자들은 늑골에 생기는 단일 병소의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 2예를 외과적 절제술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한다.

유방암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골스캔에서 보이는 방사전 유발 늑골골절 (Radiation Induced Rib Fractures on Bone Scan after Breast Cancer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 김해원;원경숙;전석길;김진희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4호
    • /
    • pp.287-293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유방암절제 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발생한 늑골골절의 골스캔 소견을 분석하고 방사선 치료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유방암으로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고 추적 골스캔을 시행받은 270예를 대상으로 골스캔을 분석하였다. 골스캔에서 늑골의 섭취증가가 관찰 된 경우 흉부CT를 통해 늑골골절을 확인하였다. 늑골골절은 각 예의 총 방사선 조사량, 방사선 치료범위 방사선 치료 당시 연령, 수술술식, 방사선 치료 후 늑골골절이 나타난 기간, 늑골골절의 개수, 위치, 골스캔에서의 섭취증가 정도, 유형과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방사선 치료 후 추적관찰 중 시행된 골스캔 검사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쪽의 늑골에 비정상적인 섭취 증가를 보인 예는 총 270예 중 74예(27.4%)였으며, 이 중 흉부CT에서 늑골골절로 확인된 예는 50예(18.5%)였다. 늑골골절이 발생한 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변형유방전절제술을 시행한 경우가 유의하게 높았고(66.0% vs. 27.0%, p=0.000), 늑골골절이 발생한 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액와림프절이나 쇄골상림프절 부위에 추가로 방사선치료를 한 경우가 유의하게 높았다(62.0% vs. 28.5%, p=0.000). 늑골골절이 발생한 50예 중 총 106개의 늑골골절이 확인되었고, 단일 늑골골절이 24예(48.0%)에서 발생해 가장 많았다. 방사선 치료 후 골스캔에서 늑골골절이 나타나기까지의 기간은 1년에서 2년 사이가 55개(51.9%)로 가장 많았다. 섭취증가의 유형은 국소형(88.7%)이 확산형(11.3%)보다 많이 나타났고, 1년 후 추적 골스캔에서 섭취증가 정도의 변화는 완전히 사라진 것이 IS개(14.2%)였다. 골스캔의 소견과 흉부CT를 비교하여 늑골의 섭취증가가 강할수록 흉부CT에서 늑골의 골절선이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0), 섭취증가가 국소형일 때가 확산형일 때 보다 늑골의 골절선이 유의하게 많이 나타났다(p=0.001). 결론: 유방암절제 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골스캔에서 섭취 증가로 나타난 동측 늑골골절은 수술술식 및 방사선 치료 범위와 관련이 있으며, 방사선치료 후 1-2년 사이에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며, 국소형 으로 주로 한개의 늑골에서 보인다. 이러한 소견들은 골스캔으로 유방암 환자의 골전이를 평가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늑골에 발생한 동맥류성 골낭종 -1례 보고- (Aneurysmal Bone Cyst of the Rib -A Case Report-)

  • 한재열;박영식;김형국;김광호;한운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86-88
    • /
    • 1998
  • 늑골에 발생하는 동맥류성 골낭종은 희귀한 질환으로 섬유성 이형성증이나 거대세포종과 감별을 요하는 질환이나 장골의 골간단이나 안면골에도 발생할 수 있다. 환자는 14세 남자 환자로 특이 증상없이 학교신체검사에서 발견된 환자로 핵자기공명촬영상 우측 제 4늑골에 동맥류성 골낭종이 발견되어 광범위 절제술후 현재 16개월까지 재발없이 경과 관찰 중이다.

  • PDF

늑골에서 발생한 혈관확장골육종 (Telangiectatic Osteosarcoma Arising in a Rib)

  • 성지연;김교영;류창우;김대현;박용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5-130
    • /
    • 2008
  • 혈관확장골육종은 골육종의 드문 아형이다. 늑골은 일반적인 골육종뿐만 아니라 혈관확장골육종에서도 흔치 않은 발생부위이다. 이 종양은 경화된 부분이 없이 혈액이나 괴사된 종양조직을 포함하는 단일성 또는 다발성 낭성 공간으로 구성되므로 다른 양성 낭성 병변과의 감별을 위해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늑골이 혈관확장골육종의 호발 부위는 아니지만 일차적인 감별진단에 혈관확장골육종을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늑골에서 발생한 혈관 확장골육종과 일차성 골육종에 관한 기존 보고, 혈관성골육종의 감별진단과 드문 부위에 발생한 골육종의 임상적 특징에 관한 문헌고찰과 함께, 늑골에서 발생한 혈관확장골육종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늑골 골절 후 발생한 늑간 신경병증의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Intercostal Neuropathy after Rib Fracture)

  • 강정훈;이석기;서민범;나정엽;장재혁;김권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53-57
    • /
    • 2010
  • 배경: 이 연구는 늑골 수상 후 발생하는 늑간 신경병증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숫자통증등급, 통증 기간 및 체질량 지수에 따른 늑간 신경병증에 대한 심한 정도를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늑골 골절 수상 후 3개월 이상 동안 보존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근전도 검사를 시행하여 흉부의 늑간 및 척추 주위 근육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결과: 47명 중에서 11명에 대하여 늑간 신경병증의 진단을 얻을 수 있었으며, 남자 8명과 여자 3명이었으며, 그 연령은 직업적으로 활동적인 연령대였다. 늑간 신경병증이 호발하는 부위는 7번부터 12번 부위 늑골 골절의 늑간이었다. 그 빈도는 단일 골절보다는 다발성 골절과 밀접한 상관 관계를 알 수 있었다. 그 증상으로는 흉통(90.9%), 감각이상(81.8%), 무감각(63.6%), 후부 흉통(27.2%), 그리고 근위축(18.2%) 순이었다. 근전도에 의한 숫자통증등급, 통증 기간 및 체질량 지수와 관계는 없었다. 결론: 늑골 골절수상 후 3개월 이상 지속적인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지속적인 늑간 신경통에 대한 진단을 위한 평가로 근전도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충돌하중을 받는 빙해선박 단일 늑골 구조의 소성변형에 관한 연구 (On the Plastic Deformation of Polar-Class Ship's Single Frame Structures Subjected to Collision Loadings)

  • 민덕기;신동완;김신호;허영미;조상래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9권3호
    • /
    • pp.232-238
    • /
    • 2012
  •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structural behavior of polar class vessels have been experimentally and numerically investigate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single frame structures made of steel material, DH36, which is used for outer shell of the vessels making transit through the polar region. A knife edge type striker was dropped down onto single frame structures. The temperatures of the single frames were set to $-30^{\circ}C$, $-50^{\circ}C$ and room temperature. The deflection around the mid-point of the single frame was measured and numerically simulated using finite element model. Strain rate effect on the structural behavior has been investigated and turned out that the strain rate effect can be neglected.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nd numerical analyses, it has been noticed that the permanent deflection at lower temperature was reduced due to a temperature hardening of material as expected.

직선늑골형선단면(直線肋骨型船斷面)을 가지는 주상체(柱狀體)의 자유수면(自由水面)에서의 상하동(上下動)에 수반(隨伴)되는 부가질량(附加質量)(속)(續) (Added Mass of Two Dimensional Cylinders with the Sections of Straight Frames Oscillating Vertically in a Free Surface)

  • 황종흘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
    • /
    • 1969
  • 직선늑골(直線肋骨) 및 단일배골(單一背骨)을 가지는 배의 단면(斷面)과 동일(同一)한 단면(斷面)을 가지는 2차원(次元) 주상체(柱狀體)가 고진동수(高振動數)로 이상유체(理想流體)의 자유수면(自由水面)에서 상하동(上下動)을 할 때의 부가질량계수(附加質量係數)($K_2$)를 특정(特定)한 선저각(船底角)을 지배(支配)하는 계수(係數)($\beta$)의 각각(各各)에 대(對)해서 폭일흘수비(幅一吃水比)(B/H)와 단면적계수(斷面績係數)($\sigma$)로 표시(表示)하였으며 Lewis form 및 김(金)이 제시(提示)한 곡선늑골(曲線肋骨) 및 배골(背骨)을 가지는 배의 단면(斷面)과 동일(同一)한 단면(斷面)의 2차원주상체(次元柱狀體)에 대(對)한 결과(結果)와 비교검토(比較檢討)하였다.

  • PDF

직선늑골형선단면(直線肋骨型船斷面)을 가지는 주상체(柱狀體)의 자유수면(自由水面)에서의 상하동(上下動)에 수반(隨伴)되는 부가질량(附加質量) (Added Mass of Two Dimensional Cylinders with the Sections of Straight Frames Oscillation Vertically in a Free Surface)

  • 황종흘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6
    • /
    • 1968
  • 직선늑골(直線肋骨) 및 단일배골(單一背骨)을 가지는 배의 단면(斷面)과 동일(同一)한 단면(斷面)의 주장체(柱狀體)가 고진동수(高振動數)로 이상유체(理想流體)의 자유수면(自由水面)에서 상하동(上下動)을 할 때 유체(流體)의 부가질량(附加質量)을 Schwarz-Christoffel 변환(變換)을 이용(利用)하여 해석(解析)하고 계통적(系統的)인 계산(計算)을 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Lewis forms에 대(對)한 결과(結果)와 비교(比較)하였다. 여기서 제시(提示)한 해석법(解析法)은 Lewis 이래(以來)의 등각사상법(等角寫像法)에 의(依)한 측면(側面) 및 선저(船底)에서의 접선조건(接線條件)에 관계(關係)없이 적용(適用)될 수 있으며, 복배골(復背骨)의 직선늑골형선단면(直線肋骨型船斷面)의 주상체(柱狀體)에 대(對)해서 확장(擴張)될 수 있다.

  • PDF

수술적 기법의 보완을 통한 성공적인 너스 술식의 적용(단일 기관 135명의 경험)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Nuss Procedures with Modified Operative Technique)

  • 김도훈;심영목;김관민;최용수;김진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0호
    • /
    • pp.765-769
    • /
    • 2006
  • 배경: 너스 시술은 누두흉 환자들의 전흉부 함몰을 교정하는 효과적인 수술방법으로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비침습적이다. 하지만 환자의 나이와 기형 형태에 따라 전흉부 함몰은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데, 이에 대하여 고전적인 너스 시술만을 고집할 때 기형 재발, 불충분 교정 등 다수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저자들은 고전적인 너스 술식을 몇 가지 관점에서 보완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135명의 환자와 216건의 수술경험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전 컴퓨터 단층촬영, 수술 당시 환자의 연령, 수술방법, 재발을 포함한 합병증 여부를 분석하고, 이를 시술의 개선 전후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과: 5년 2개월 동안 135명에서 너스 술식을 시행하였으며, 너스막대 제거술 64건, 재발 또는 합병증을 이유로 2번 이상의 너스 술식을 시행한 17건을 포함하여 너스 관련 216건의 수술을 시행하였다. 막대의 삽입위치를 절개부위에서 함몰부의 양족 경계부(늑연골의 최대 돌출부위)로 내측으로 이동시켜 흉곽 지지구조의 손상을 최소화하였고, 막대 성형 시 늑골과 접합하는 부분을 늑골모양에 맞게 성형하여 막대의 미끄러짐 현상을 줄였다. 그리고 막대와 늑골의 고정사를 바이크릴에서 강선으로 전환하고, 성인 환자의 경우, 수술 중 흉골을 견인하는 방법을 추가하였다. 1999년에서 2002년까지 17건에 달하던 재교정과 23건의 합병증이 개선 이후인 2003-2004년에는 재교정 0건, 합병증 3건으로 감소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본원에서 시행한 너스개선 술식은 효과적이었으며, 재발과 합병증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