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위 유량도

Search Result 53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Comparative Analysis of Existing Synthetic Unit Hydrograph in Korea (국내기존 합성단위유량도 비교분석)

  • 전시영
    • Water for future
    • /
    • v.27 no.2
    • /
    • pp.97-109
    • /
    • 1994
  • Parameters for the Synthetic Unit Hydrograph(SUH) using SCS and v methods(including modified type) are derived by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 Unit Hydrograph(RUH) of 22 basins in Korea. These derived SUHs were compared with the RUHs and those of Snyder and HYMO given by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for selected 4 basins. In SCS method, when correlated with the lag time of SUHs based on the whole basin rather than on the riverwise basins the peak discharge(excluding Bocheng stream) is close to that of RUH. BUt the peak time given by riverwise basins agrees closer to the RUH than by the whole basins. The modified Nakayasu type SUH(excluding Wi stream) associated with lag time based on riverwise basins gives better agreements to the RUH than that of Nakayasu method. And the modified Nakayasu type SUH gives much better agreement to the RUH than that of Nakayasu method for the case of both whole and riverwise basins.

  • PDF

An Offer of Relation between Rainfall and Unit Hydrograph in a Small Basin (소규모 유역에서 강우와 단위유량도의 관계 제시)

  • Yoo, Ju-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7
    • /
    • pp.635-643
    • /
    • 2010
  • A representative unit hydrograph responding to a small basin is used to calculate the flood discharge in the basin. The peak discharge and the time to peak of the unit hydrograph are dealt with its characteristic values. In this study it is shown and analyzed the fluctuations at peak discharges and times to peak of unit hydrographs by rainfall storms in a small national basin $8.5\;km^2$ wide are no small. And on assumption that a major factor in the fluctuations of the unit hydrographs in a small basin be rainfall intensity of a rainstorm, both relations of peak discharge and time to peak with rainfall intensity are suggested as exponential functions respectively. In this result although it is a limit of the study in which its result is accompanied with not small dispersion in the peak values of unit hydrograph due to a defect in used data it is sure an averaging regression relation between peak discharge and time to peak with rainfall intensity as identified in this study has hydrological worth from the complementary viewpoint of the theory of unit hydrograph.

A Proposal of Unit Hydrograph Using Statistical Analysis in Oaedo Stream, Jeju (통계적 기법을 적용한 외도천의 단위유량도 제안)

  • Lee, Jun Ho;Yang, Sung Kee;Lee, Gwang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28-428
    • /
    • 2015
  • 최근 제주도는 극한사상의 기상발생빈도가 점차 증가하여 집중호우, 태풍 등에 의한 홍수피해가 점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역특성에 적합한 단위유랴도 산정은 실제 하천설계 및 치수방재를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도천유역의 유역특성을 반영한 최적 단위유량도를 산정하기 위해 강우-유출모형은 HEC-HMS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적용한 단위도는 Clark, Sndyer, SCS 합성단위유량도법으로 각 사상마다 실측 유량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일원분산분석 결과는 각 단위도의 첨두유량과 첨두시간에 대한 p-value가 유의수준 0.05보다 크기 때문에 귀무가설이 성립이 되며 각 단위유량도의 방법별 첨두유량 및 첨두 시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다고 분석되었다. 오차율로 비교하면 Clark 합성단위도가 대상유역인 외도천의 유역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Clark 단위유량도의 오차율은 0.02 ~ 1.93%로 타나났으며 첨두시간에 대한 오차율은 0 ~ 2.74%으로 나타났다. 향후 홍수유출량 산정하기 위해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량관측자료 확보 및 구축이 필요하며, 이러한 제주형 유도식 개발 및 최적의 매개변수와 단위도를 적용한다면 신뢰도 높은 유출 특성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unoff Characteristics Analysis using GCUH on Ungauged Small Basin (지형기후학적순간단위유량도를 이용한 미계측 소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 Lee, Sang-Jin;Choi, Hyun;Lee, Bae-Sung;Jeong, Dong-Ku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2 s.36
    • /
    • pp.15-22
    • /
    • 2006
  • Runoff Characteristics has been Analysis Using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GIUH) and geomorphoclimatic unit hydrograph(GCUH) on an ungaged vary small basin about $5km^2$ scale in Kyungbuk gampo area. First, we estimated hydrology Factor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tool and then, calculated the characteristic velocity using the real rainfall-runoff data. It is compared with several velocities derived from GCUH theory and several other concentration time formulae. Kerby and Braby-Williams seems to be more applicable as characteristic velocity formula. Second, We compared the GCUH peak discharge with the probable flood, also compared the unit hydrograph as like the Clark, the Nakayasu and the S.C.S and GCUH with the observed discharge using the real rainfall events. The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GCUH could be applicable on an ungaged vary small basin. We expected that the result can be used as for estimation of a flash flood standard rainfall as well as emergency management plan.

  • PDF

A Research on a Revised Application of Unit Hydrograph Variant According to Rainfall Intensity in a Rainstorm (호우사상의 강우강도에 변동하는 단위유량도의 보완적 적용에 관한 고찰)

  • Yoo, Ju-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1
    • /
    • pp.41-49
    • /
    • 2011
  • This study is a research based on an existing analysis that peak values of unit hydrograph are variant according to rainfall intensity in a watershed. Differently from the fundamental assumption that an unit hydrograph is time-invariant in a watershed a variant unit hydrograph to rainfall intensity by storms is defined and applied into rainfall events, which produces out runoff hydrograph for an examination. Peak flow and time to peak of unit hydrograph used for an application are obtained from the relation equation with rainfall intensity developed by a previous study reviewed, and its shape is made by Nash unit hydrograph which is determined by the peak values. For the purpose of a comparison an invariant unit hydrograph is defined as Nash model obtained from averaged peak values of unit hydrograph which is derived by 26 rainfall storms. Peak flow and time to peak of flood hydrograph developed respectively by variant unit hydrograph with rainfall intensity and an averaged unit hydrograph are compared to those of the observed hydrograph. With comparing both hydrographs calculated by averaged unit hydrograph and revised unit hydrograph to observed hydrograph it is shown the peak flow and time to peak of hydrograph calculated by time-invariant unit hydrograph revised in this study are closer to those of observed hydrograph than those calculated by averaged unit hydrograph.

Estimation of Missing Flow Data for Small Watershed by SCS Unit Hydrograph (SCS 단위도에 의한 소하천의 유량 결측치 보완)

  • Maeng, Seung-Jin;Chung, Se-Woong;Kim, Chin-Min;Lee, Hy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731-735
    • /
    • 2007
  • 수자원의 관리를 위해서 해당 유역에 대한 유량 산정은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대하천을 대상으로 하는 유량 산정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나 대부분의 소하천에서는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연구를 목적으로 남양호 상류의 5개 소하천 지점을 선정하고 평갈수기 및 홍수기 유량측정을 실시하여 각 지점별로 수위-유량 곡선식을 산정하였다. 특히 홍수기 유량측정시 수문곡선을 도시하기 위해 연속된 유출량 자료가 필요하나 각 지점별로 홍수로 인한 접근도로의 차단과 범람으로 연속된 유량자료를 획득하는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CS 무차원 단위 유량도를 사용하여 기 측정된 자료를 근거로 미관측된 구간의 유량을 산정하였고 해당 홍수의 유량 산정을 통해 홍수기 유량 산정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PDF

Prediction and Application of Stage-Discharge Curve and Unit Discharge in Channels with Nonuniform Cross Section (불규칙 단면형상에서의 수위-유량 곡선 및 단위유량 예측 및 활용)

  • Kim, Tae-Beom;Chien, Pham Van;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23-227
    • /
    • 2010
  • 하천의 수위와 유량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이수, 치수와 같은 수자원 관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기초자료가 된다. 하천 수위와 유량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지속적인 직접 계측 방법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며, 홍수 시에는 위험성이 존재하여 자료 확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수치모형을 이용한 수위-유량 자료의 예측과 활용이 필요하며, 2차원 수치모형의 경계조건을 설정할 경우에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단면 개수로 및 불규칙한 하상을 보이는 횡단면 상에서의 단위유량 예측을 위한 유한요소모형을 개발한다. 지배방정식은 Wark 등 (1990)이 제시한 운동량방정식을 이용하며, 단면형상과 Manning 조도계수, 그리고 수위를 알면, 결과적으로 흐름방향 단위유량의 횡방향 분포를 얻을 수 있다. 개발된 모형의 검증을 위해 실측 자료와 비교하며, 또한 Darcy-Weisbach 마찰계수를 이용하는 Darby와 Thorne (1996)의 모형 결과와도 비교한다. 검증된 모형의 알고리즘을 2차원 모형의 상류단 경계조건 설정에 활용하여, 절점별 유입유량을 차등분배 시켰을 때와 그렇지 못했을 때의 결과를 비교한다. 또한 수위를 경계조건으로 입력하였을 때 개발 모형을 활용하여 유입유량을 예측하는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 PDF

Prediction of stage-discharge curve and unit discharge in compound open-channel (복단면 개수로에서의 수위-유량 곡선 및 단위유량 예측)

  • Shin, Jae-Kook;Kim, Tae-Beom;Chien, Pham Van;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
    • /
    • 2009
  • 하천의 수위와 유량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이수, 치수와 같은 수자원 관리에 있어서 가장 기본 물리량이며, 각종 물이용 분쟁 해결, 수공구조물의 설계, 하천의 유사량 산정 및 수리 수문모형의 개발, 검증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된다. 그러나 유량의 직접 계측은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홍수시에는 계측이 불가능하다. 지속적인 유량자료의 실측은 얻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최근 수치 모형을 이용하여 수위-유량 곡선을 예측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단면 및 불규칙한 하상을 갖는 개수로의 수위-유량 곡선 및 단위유량 예측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수심 적분된 2차원 운동량 방정식으로부터 정상류와 등류 조건을 가정하여 지배방정식을 구성하였으며, Manning 조도계수를 사용하여 자갈 및 모래와 같은 하상재료에 의한 전단력을 산정한다. 또한 식생항력을 이용하여 홍수터 및 제방의 식생이 수위-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Revision of the Snyder's Coefficients of Synthetic Unit Hydrograph in the South Han River Basin (합성단위유량단의 Snyder 계수재조정 - 남한강수계를 중심으로 -)

  • 선우중호;고영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85.07a
    • /
    • pp.7-16
    • /
    • 1985
  • 본 연구는 유역 추적에 자주 쓰이는 합성단위 유량도(synthetic unit hydrograph) 방법의 하나인 Snyder 방법에 있어서의 계수를 남한강수계에서 재조정하는 과정(procedure)을 제시하였다. 그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며, 이전에 구한 남한강 수계에서의 snyder 계수를 초기치로 하여 HEC-1 program을 이용하여 계수를 재조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재조정된 계수는 그 전의 계수에 의한 합성단위 유량도보다 지체시간($$)이 작아지고 첨두(peak)값이 커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PDF

Estimation of Instream Flow at Dry Season through Prediction of water demand by Unit Watershed (단위유역별 용수수요량 추정을 통한 갈수시 하천유지유량 산정)

  • Gwon, Yong Hyeon;Choi, Gye Woon;Jang, Dong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56-356
    • /
    • 2019
  • 우리나라는 강우량의 계절적 편기가 심하여 홍수기인 6월부터 9월까지의 년간 총강우량이 2/3을 차지하고 있으며 갈수기의 경우에는 강우량의 부족으로 물 부족현상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더욱 증가되고 있으며 홍수기에도 국지적인 강우발생이 크게 증가하여 갈수기 가뭄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갈수시 가뭄에 대한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는 하천에 유입되는 물과 하천 내에서 시간에 따라 유하되거나 조절되는 등 하천 자체 내에서 변화하는 하천유량의 변화 및 하천 외부로 유출되는 용수수요량을 정확히 분석하는 물수지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송강천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DEM을 통해 3개의 단위유역을 구분하였다. 단위유역별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등에 대한 용수수요량 추정을 통해 유역별 용수수요 총량과 장래 수요증가량을 산정하였다. TANK 모형을 활용하여 단위유역별 기준갈수량을 산정하고 물수지분석을 통해 물 부족 여부를 판단하여 단위유역별 하천유지유량을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단위유역별 하천으로 유입되는 회귀수량이 많아 목표연도별 갈수시 하천유지유량이 평균갈 수량 보다 크게 분석되었으며, 평균갈수시에도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 및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유량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