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위 공간 모듈러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9초

플로팅 건축 상부시설에서 모듈러 시스템 적용 사례 연구 - 유럽 사례를 중심으로 -

  • 송석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7-299
    • /
    • 2012
  • 유럽에서 지어진 플로팅 건축물을 중심으로 상부 시설에 적용된 모듈러 시스템을 분석하여 이를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플로팅 건축 상부시설에서 모듈러 시스템 적용 유형은 단위 공간 모듈러를 적용하는 경우와 단위 건축물 모듈러를 적용하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었고, 단위 공간 모듈러의 경우 동일 형태의 반복에 의한 유형과 서로 다른 형태의 결합에 의한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 PDF

플로팅 건축 상부시설에서 모듈러 시스템 적용 유럽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odular System to the Superstructure of Floating Architecture in Europe)

  • 송석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873-881
    • /
    • 2012
  • 현장 공사의 제약이 많은 플로팅 건축 상부시설에서 모듈러 시스템 적용 방안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모듈러 시스템이 적용된 유럽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플로팅 건축 상부시설에서 모듈러 시스템 적용 유형은 단위 건축물 모듈러 유형, 단위 공간 모듈러 유형, 계획 개념으로서 모듈러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유럽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유형은 소규모 풀로팅 주거 건축에서 적용된 단위 건축물 모듈러 유형이었고, 단위 공간 모듈러 유형은 중규모 이상의 건축물에 적용 가능한 유형이었다. 계획 개념으로서의 모듈러 유형은 실현된 사례는 많지 않았으나, 건축물의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유형이며, 플로팅 건축의 영역을 확장하여 플로팅 도시와 같이 보다 큰 규모의 영역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국내 모듈러 건축 사례를 적용한 플로팅 건축물에서 모듈러 시스템 계획 방향

  • 송석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8-280
    • /
    • 2013
  • 플로팅 건축물은 현장 시공을 최소화해야할 필요성으로 인하여 모듈러 시스템과 같은 공업화 건축 시스템의 적용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모듈러 건축물 및 기술 현황에 대한 사례에서 플로팅 건축물 상부공간에서 모듈러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고려 사항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플로팅 공공청사에서 모듈러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모듈러 계획 및 계획에서의 기본적인 고려 사항을 점검하였다.

  • PDF

모듈러 유닛에 의한 대학 기숙사 단위 생활공간의 평면 구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Plan Formation of University Dormitory's Living Unit by Modular Unit)

  • 김정헌;김진모
    • 교육시설
    • /
    • 제16권2호
    • /
    • pp.37-4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lan formation for university dormitory's living unit by the modular unit of the pre-fabricated architecture, Pursuing this, this study conducts the investigation of present domestic situation of prefabricated construction and practices plan formation for living unit concentrating on the dweller's satisfaction by solving the problems which hitherto constructed dormitory had, especially collapse of dweller's territoriality. Consequently, this study presents the feasibility of modular unit of present prefabricated construction as a new method of dormitory's living unit construction, and suggests the pertinent plan 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dweller's territoriality.

생산 시스템을 고려한 모듈러주택의 가변형 평면계획 연구 (Flexible Unit Floor Plan of a Modular House Considering the Production System)

  • 이지은
    • 토지주택연구
    • /
    • 제12권3호
    • /
    • pp.67-78
    • /
    • 2021
  • 모듈러주택은 세계대전 이후 신속하고 효율적인 주택공급을 위해 시도되었다. 국내에서도 30년 이상 품질 및 시공방법 개선을 위한 노력을 했으나 경쟁력있는 주택 상품이 되진 못했다. 모듈러 주택은 라멘구조로 평면구성을 자유롭게 할 수 있지만, 대부분 벽식 구조의 일반적인 아파트 평면을 분절한 형태로 변형하여 시공한다. 모듈러 주택의 생산 및 구조적 측면의 장점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평면, 건축 구성재의 부품화 및 표준화, 자재, 제작 및 시공법, 공정관리, 공사비 관리 등 종합적인 측면에서 자동차와 같이 공장생산 시스템에 적합한 모델을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 및 호환을 위해 MC(Modular Coordination)설계원칙을 적용하여 운반 및 생산 용이한 3m×3m 모듈을 공간의 기본 단위로 설정했다. 빌트인 가구를 포함한 3m×3m공간을 다양한 형태의 제품과 같이 생산하고, 이를 거주자의 기호에 맞게 조합하여 46m2 평면을 완성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생산설비, 운송수단, 시공크레인에 따라 생산 모듈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운반장비가 소형화될수록 생산모듈의 가짓수도 적어질 수 있다. 이와같은 모듈러 주택 생산방식은 거주자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평면의 주택을 제공하기에 용이하고, 기술과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시공속도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이다.

플로팅 주거건축의 주요 건축계획 항목에 관한 연구 -플로팅 건축 관련 기준 및 주거건축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The Key Points of Architectural Planning for Floating Residential Architecture)

  • 송석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281-5289
    • /
    • 2013
  • 이 연구는 플로팅 건축과 관련된 각종 기준과 플로팅 주거건축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플로팅 주거건축의 주요 건축 계획 항목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미국과 캐나다, 네델란드, 일본에서 작성된 총 6종의 관련 기준과 미국과 캐나다, 네델란드의 플로팅 주거건축 사례를 총 14개 사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도출된 플로팅 주거건축의 주요 건축 계획 항목은 첫째, 육상과 연결되는 진입로 및 주거단지의 공용 통로 계획, 둘째, 공동으로 사용하는 주차장, 창고 등을 포함한 각종 편의 시설과 공용 공간 계획, 셋째, 방화 및 안전 장비의 설치와 불연 재료 및 난연 재료의 사용, 단지 규모에 따른 소방 설비 계획, 넷째, 단위 모듈러 주택의 제작 장소, 운송 방법, 시공 방법 등과 같은 모듈러 건축 시스템 적용 계획으로 정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