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위주거공간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4초

대시메트릭 매핑 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건축물별 주거인구밀도의 재현 (Representation of Population Distribution based on Residential Building Types by using the Dasymetric Mapping in Seoul)

  • 이석준;이상욱;홍보영;엄홍민;신휴석;김경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89-99
    • /
    • 2014
  • 도시 내 거주하는 인구의 분포는 다양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데이터는 정보기밀성 등을 이유로 일정한 공간단위로 집계되어 제공된다. 때문에 제공되는 것과 다른 공간단위나, 더 세밀한 공간분석을 요하는 연구와 활용이 제한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인구분포 데이터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여,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한 인구데이터 제공단위보다 세밀한 인구분포를 현실적으로 재현하고자 대시매트릭 매핑 기법을 활용하였다. 대시메트릭 매핑은 주 데이터와 연관된 공간적 보조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 데이터의 공간적 분포를 세밀하게 나타내는 지도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집계구별 인구센서스 자료를 주 데이터로, 건축물 대장을 보조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모든 인구가 주거용 건축물에 거주한다고 가정하여 주거용 건축물 단위에서 인구분포를 재현하였다. 주거용 건축물을 공간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바이너리기법이 활용되었으며. 이후 회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건물 용도와 층수를 고려한 가중치를 부여해 입체적인 거주인구밀도를 재현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를 통해 전체 토지 및 용도구역을 기반으로 한 기존의 방법론보다 현실적용오차를 줄였다. 또한 주거가능 건축물의 주택유형과 층수가 반영된 3차원적 공간자료를 활용하여 주거용 건축물에 거주하는 인구를 추정하는 모델을 도출하여, 정확도가 높고 세밀화 된 인구분포지도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개별 건물 단위의 인구 데이터는 일정한 공간단위로 집계를 재가공한 것으로 정보기밀성의 문제가 없는 세밀한 단위의 인구분포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후 도시 내 재난재해 발생에 따른 영향 인구 파악과 같은, 지역인구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써 의미를 지닌다.

주문형 초고층 아파트의 단위 주거 공간 분석 (A Study on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Unit in Flexible High-rise Apartment)

  • 이숙정;강순주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66
    • /
    • 2004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its of flexible high-rise mixed use apartment(Chereville) targeting at Guwidong in Seoul.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t type of units, it is selected 60 unit plan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 1) It is revealed from the request of residents in regard to the LDK that kitchen and living room are recognized as sharing spaces and thereby, the importance of them grows bigger. 2) The need for storage space appears compared to the Past, and actual residents add new built-in cabinet of drawer in kitchen, diningroom, and balcony. Therefore, the storage planning is needed in order to keep and store life goods in addition to clothing closet.

  • PDF

서울지역 집합주거단지의 변모에 따른 평면형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ransition of plan-type by Transfiguration of Housing Complexes in Seoul Area)

  • 전병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6-57
    • /
    • 2007
  • 본 연구는 현대 집합주택의 개발의 실험적 토대가 되었던 1960년대 이후 1990년대 초반까지의 서울지역 아파트단지들을 중심으로 단지의 측면과 단위평면의 측면에서 시대적 변천과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집합주거의 양상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인식하고, 국내 집합주거의 질적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추후 연구의 한 준거를 제시토록 한다. 이를 위하여 집합주거의 생성과 현황에 대하여 일반적인 고찰을 진행하여, 국내 주거양식이 점차로 고층, 고밀화되어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주거양식의 집합화가 점차로 정책적인 차원에서 더욱 고려되어지고 있음을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시대적 틀 속에서 고찰해 본다. 이와 함께 집합화되는 주거양식이 단위평면속에서는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규모와 제실구성, 설비 및 구조방식, 내부공간 구성방식등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격자단위 공간정보를 활용한 건물피해 산정방법 (A Method for Estimating Building Damage by Using Grid Unit Spatial Information)

  • 이준학;왕원준;서재승;김삼은;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1-171
    • /
    • 2021
  •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가 발생하는 빈도가 상승하고 있으며, 도시화가 발달됨에 따라 재산 피해 금액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홍수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수공 구조물의 보강 및 설치와 같은 효과적인 구조적 대책이 필수적이다. 구조적 대책의 경우 예방차원의 재난관리를 위하여 치수 사업 전/후의 경제성을 평가해야 하는데, 국내에서는 개선법과 다차원 홍수피해 산정법(MD-FDA, 이하 다차원법)을 활용하여 정량적인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다차원법의 경우 공간정보자료인 토지피복도를 활용하기 때문에 침수된 건물을 각각 산정해줌으로서 보다 정확한 경제성 분석을 실시할 수 있지만 산정 절차가 복잡하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선법과 다차원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격자단위 공간정보를 활용한 건물피해 산정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국토정보플랫폼에서는 100m×100m 격자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으며, 각각의 격자에는 단독 주거, 공동 주거의 공간정보 자료가 구축 되어있다. 이러한 격자자료와 홍수범람지도를 중첩하여 격자 단위 홍수 피해액을 산정함으로서 절차를 간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추정된 피해 금액과 비교적 정확한 홍수 피해액을 추정하는 기존 다차원법의 피해 금액을 비교하여 격자단위 공간정보를 활용한 건물피해 산정방법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면 경제성분석 결과가 과대 산정되는 개선법을 보완할 수 있으며, 계산과정이 복잡하여 실무에서의 적용성이 부족한 다차원법의 문제점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신속한 피해액 추정을 통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하는데 필요한 치수사업을 빠르게 선정함으로서 후속 피해를 신속히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고등학교 기숙사 주거시설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 개인공간 단위실을 중심으로 - (Users' Satisfaction on the Dormitory of High School in Jeonju City)

  • 안진숙;최병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93-101
    • /
    • 2007
  • This study was to find out users' satisfaction on the dormitory of high school in Jeonju City and to propose it's physical environmental improvement directions. This was performed by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by researchers considering relative literatures.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students, who had been dwelling 4 high school dormitories in Jeonju City. By analyzing those data, findings were as follows: 1) Users of students were satisfied the whole of their dormitory; facilities, spaces, and living. 2) They were highly concerned about a library and a personal unit space in their dormitory. 3) They needed their personal unit space to be designed bedroom+bathroom type with 2 persons' sharing and be equipped one story bed and desk furniture. Also, they needed improvement on heating & cooling, small space and indoor air quality of unit space. 4) The users' satisfaction on unit space were 2.88, and their satisfaction of the technical factor was 2.71 that was the lowest score in them. And The functional factor was highly effected their satisfaction. 5) The space utility and the space size of functional factor, the soundproof, the heating/ventilation and the indoor quality of technical factor, and the privacy of behavior factor were highly correlative to their satisfaction of unit space.

${\cdot}$중 현대 집합주거 단위평면 비교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urrent Housing Unit Plans of Korea and China)

  • 정병문;김현지;이상홍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65-7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preeminent data from comparative analysis of multi-family housing unit plans between Korea and China nowadays. Even though Korea and China belong to common cultured band in Asia, there are many different Housing aspects and unit plans. Through this study we want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both nation's apartment unit plans and to contribute for advance into the China apartment market. Analysis target is constructing and lotting out apartment at South Korea and China in 2004, and the space syntax model is used as an analysis tool. First, analyze kind, number and special quality of each room by use area, and second, analyze area and scale of the rooms. Through the integration analysis we know the grade of rank and centrality of each rooms, and search difference of South Korean and Chinese apartment.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단위평면의 공간구성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Spatial Composition of the Reusing Unit in High-rise Mixed-Use Condominium)

  • 소윤경;하미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45-5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unit plans in the high-rise mixed-use condominium and to provide the data fur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The tools of statistical analysis are frequency, percentage, mean, cross-tab, and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ellows; The most frequently found shape of unit is a deformed polygon. The common rooms in housing units are dressing room, powder room, offset-kitchen, family room, passage, hallway, and foyer. The specially prepared spaces are wash room, home bar, independent porch, and garden. As to room size and area ratio in a dwelling unit, those of living room are biggest and highest irrespective of unit size. As the floor area of unit increases, does the size of each room and space but the area ratio of each room decreases. This research is made to develop an Apartment Information System. This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is to be designed to provide residents of high-rise mixed-use condominiums with convenient, economical, and safe life.

노인주거시설 단위주호의 부엌가구디자인 및 사용실태 (A Status of Kitchen Planning of Units in Elderly Housing Facilities)

  • 주서령;김민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247-256
    • /
    • 2005
  • 본 연구는 노인주거시설 단위주호의 부엌을 대상으로 하여 사용 실태 및 거주자의 요구를 조사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노인주거에 관한 연구를 보면, 포괄적이고 대안적이어서 자세한 차원의 노인주거생활에 대한 연구로는 부족했다. 그러므로 노인에게 적합한 한국형 노인주거의 부엌 계획을 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우리는 대표적인 노인시설 4곳을 직접 방문하여, 독립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시설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가 진행되었다. 4개의 시설에 각각 2단위주호를 방문하여 총 8개의 부엌을 조사 하였고,조사대상자의 단위주호의 공간계획과 부엌가구의 디자인을 살펴보고, 실측하였으며 또한, 조사대상자의 만족과 선호 그리고 부엌사용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결과, 시설에서 제공하는 식사서비스를 이용하는가에 따라 부엌의 이응정도와 사용방법 지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식사서비스를 이용하는 거주자에게는 차나 다과의 준비를 위한 공간만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단위주호 내에서 직접 식사를 하는 거주자는 좀 더 큰 수납장과 다용도실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였다. 안전과 기능적인 측면으로는 잘 디자인되어 있었고, 대체로 세탁기는 부엌 수납장에 빌트인 되어 있었는데 대부분의 거주자들은 이 것에 만족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노인의 거주양상과 생활방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를 통한 한국형 노인주거시설의 부엌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