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위작업

검색결과 734건 처리시간 0.027초

해체 정보 평가 시스템의 모듈 연구 (A Study on Modularization of a Decommissioning Information Evaluation System)

  • 박희성;김성균;이근우;오원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05-308
    • /
    • 2005
  • 해체 준비 작업부터 해체 후 처리까지 가상의 디지털 해체 환경에서 해체 활동의 예측에 필요한 모듈별 기능들을 요소별로 검토 분석하였다. 해체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듈을 확립하기위해 해체 데이터베이스와 3D CAD 를 연동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3 차원 dosimetric mapping 기술로 방사능 오염 분포를 입체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모듈과 제염 해체 단위 작업별 평가식과 가중치 값을 이용하여 해체 작업자수와 해체 시간을 평가할 수 있는 모듈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가상의 해체 환경에서 연구로 및 원자력 시설 해체시 경제성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해체 일정과 해체 비용을 평가할 수 있는 단위 모듈들의 기능을 활용하여 해체 통합 관리 시스템의 설계 기준과 요구 조건 및 기능을 도출하였다.

  • PDF

스페어 영역을 활용한 NAND 플래시 메모리 관리 (NAND Flash Memory Management Using Spare Area)

  • 이옥희;김진호;차재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149-152
    • /
    • 2004
  • 플래시 메모리에서의 가비지 컬렉션은 유효하지 않은 데이타를 블록단위로 지우고 새로운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는 영역으로 만들어 주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읽기/쓰기 작업에 비해 많은 시간을 요구하므로 빈번한 가비지 컬렉션은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NAND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타 베이스의 레코드 저장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투플 단위로 저장하였고, 스페어 영역을 변경하여 이러한 작업이 편리하게 진행되도록 하였다. 가비지 컬렉션 시 투플의 크기에 따른 페이지 병합 작업 또한 스페어 영역의 정보를 이용하며, 이것은 실제 활용 가능한 페이지 수를 늘림으로써 가비지 컬렉션의 횟수를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킨다.

  • PDF

선택적 분석기법에 기초한 로봇 작업측정 (Robot work measurement based on selective analysis method)

  • 권규식;김진선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0-5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생산 현장에서의 로봇 작업이 "getting"과 "putting"의 동작으로 구서 되는 것에 기초하여 이들 동작을 분류. 표준화하여 2단계의 단위동작 (GET, PUT) 별로 여러 가지의 모듈을 설정하고, 동작거리별로 표준시간을 산출하는 기법을 다룬다. 즉 기존의 로봇 작업측정법이 작업을 기존동작으로 분석하는 것과는 다르게 시간의 변동요인인 모듈의 Type과 동작거리의 Case를 선택함으로써 표준시간을 설정한다.를 선택함으로써 표준시간을 설정한다.

  • PDF

구조물 및 시설물이 인접한 구릉지 암반굴착 발파설계

  • 류창하;선우춘;신희순;정소걸;최병희
    • 한국암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암반공학회 1994년도 정기총회 및 제 11 회 학술발표회
    • /
    • pp.81-88
    • /
    • 1994
  • 본 연구는 S시의 택지개발사업지역을 대상으로 암반굴착 작업을 위한 발파설계 기준의 마련과 효율적인 발파공법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상지역은 구획 정리사업이 본격화됨에 따라 풍화암을 포함한 리핑가능한 부분에 대한 절토작업이 거의 완료되고 리핑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암굴착을 위하여 화약발파를 이용한 암발파 작업이 요구되고 있으나 인접한 지역에 주요 구조물들과 micron/sec 단위의 허용수준을 요구하는 진동에 매우 민감한 시설물들이 있어 발파작업으로 인한 지반진동의 영향문제가 매우 심각한 지역이다. (중략)

  • PDF

중앙 시계를 이용한 혼합 분산 시뮬레이션 운영

  • 서동욱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0-0
    • /
    • 1995
  • 대부분의 시뮬레이션이 특정 시스템의 모델에 대한 분석을 위해 시행된다. 하지만 이러한 용도뿐만 아니라 실제 시스템이 의도대로 진행될 것인지의 검증을 위해서 시뮬레이 션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MS(유연생산시스템)와 같이 분산된 환경에서 작동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시스템의 작동 여부를 검증하는 용도로 시뮬레이션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첫단계에는 모든 기계를 시뮬레이션으로 대치하여 처리하다가 한단위씩 실 제 기계로 교환하여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검토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 그 실행 과정에서 실제 작업과 시뮬레이션 작업이 혼합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혼합 분산 시뮬레이션에서는 실제 작업과 시뮬레이션 작업을 동기화하는 문제 가 발생하며 하드웨어의 실제 작업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실작업 시간 또는 시뮬레이션 진행에 반영되어야만 한다. 여기서는 실제 작업과 시뮬레이션 작업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혼 합 분산 시뮬레이션을 정의하고, 그 필요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에 대한 기존의 시뮬레이션 연구들의 적용성을 고찰해 보며, 혼합 분산 시뮬레이션의 운영 방법으로서 중앙 시계를 이용한 실제 작업과 시뮬레이션 작업의 동기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Deep Learning 기반 공동주택 마감공사 단위작업별 생산성 예측모델 개발 - 내장공사를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Productivity Prediction Model for Interior Finishes of Apartment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 이기륜;한충희;이준복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3-12
    • /
    • 2019
  • 국내 건설산업에서 생산성 정보는 중요성과 그 기능에도 불구하고 생산성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 방법이 체계화되어 있지 못하다. 또한 생산성 관리는 대부분 현장관리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고 있으며 생산성 데이터를 공사계획 및 관리에 적극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마감공사의 생산성 예측 및 생산성 영향요인을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단위작업별 생산성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딥러닝 기반의 생산성 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인 딥러닝 기반의 공동주택 단위작업별 생산성 예측모델은 신뢰할 수 있는 생산성 정보 데이터에 딥러닝을 적용하여 향후 데이터가 축적될수록 발전되는 기술로 공동주택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의 기본 모듈이 될 수 있다. 또한 과거 유사한 프로젝트의 생산성 데이터를 통한 개산견적, 공정계획을 위한 작업일수 산정, 투입인원 산정 등과 같은 프로젝트 엔지니어링 과정에 활용 가능하며 공사 진행 중 예측과 다른 생산성 발견 시 원인 분석에 용이하여 신속한 대응 및 향후 예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진도율 산정을 위한 진도관리단위에 관한 연구 (Standardized Progress Measurement Package)

  • 정영수;강승희;진상윤;김예상;정문헌;박순찬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65-570
    • /
    • 2004
  • 건설진도율은 프로젝트 성과 측정 및 진행관리의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서 이용되고 있으나, 작업 진도 산출기준 및 방법이 현장 상황에 따라 다르게 운영되기 때문에 진도 산출의 정확성이 각 현장 특성에 크게 의존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현장별 공사 진행 상태 비교 시 상당한 오류-가 발생될 수 있으며, 그 신뢰도 역시 매우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든 현장의 공사 진행 상태를 같은 기준으로 파악이 가능한 전사 차원으로서의 공통 기준인 진도관리단위 및 평가요소를 정의하며, 이와 더불어 진도관리단위 적정성 평가 방안 및 진도산정모델의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공동주택 건축공사 단위작업의 위험성 평가 방법 (Risk Assessment Method for Activities of Apartment Construction)

  • 박성표;최재욱;이찬식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6권3호
    • /
    • pp.135-145
    • /
    • 2020
  • Recently, the disaster rat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increased with high-rise, and complexity of the building, unlike the decrease in the disaster rate in other industries. Although risk assessment is performed to reduce the occurrence of disasters,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risks accurately due to activity in which no disaster has occurred, and inconsistencies in the level of details of work. In this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risk of the major activity for the apartment construction work, the activity was identified by referring to the risk assessment model of construction industry type by the KOSHA. The construction work types and activities were consistently organized in level of work into nine work types and 82 activities were through experts consultation. Analyzing the disaster types that occurred during work through KOSHA disaster cases, calculating the probability of disaster occur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and combining the probability of disaster with the severity of disaster to estimate the risk assessment method was presented. Using the daily report of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apartment, the results of a case study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risk calculation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자동화 굴삭로봇의 운용단위 작업계획수립을 위한 로컬영역설계모듈 개발 (Development of the Local Area Design Module for Planning Automated Excavator Work at Operation Level)

  • 이승수;장준현;윤차웅;서종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363-375
    • /
    • 2013
  • 오늘날 숙련된 굴삭기 운전자의 부족현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으며, 자원개발 및 새로운 생활공간 창출 등을 목적으로 운전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극한환경에서 토공작업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토공완전자동화를 위한 무인화 굴삭로봇 개발의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난 2006년 말부터 국토해양부 건설기술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지능형 굴삭시스템' 연구단을 구성하여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굴삭시스템의 작업계획생성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세부요소기술 중, 굴착작업의 위치, 범위, 목표, 순차 등 굴삭로봇의 운용단위 작업명령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화단위를 제공하는 로컬영역설계모듈의 연구개발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컬영역의 설계는 굴삭로봇의 제원, 작업메커니즘, 휴리스틱 및 구조적안전성 등 여러 영향요소가 고려되어야 안전하고 효율적인 굴착작업을 보장하는 작업계획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로컬영역의 설계요소를 분석하기 위하여 현장조사를 통한 개념적 설계를 수행하고, 상세설계를 통해 설계변수를 도출하였으며, 휴리스틱 및 구조적 해석요건을 만족하도록 설계내용을 정량화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컬영역설계모듈을 개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구축하고, 개발된 모듈을 검증하였다.

린 건설에 기초한 국내 건설 공사의 시공 계획 신뢰도 평가 및 분석 (Analyzing Site Reliability for Residential, Civil and Plant Projects using Lean Construction Principles)

  • 구본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D호
    • /
    • pp.655-664
    • /
    • 2008
  • 린 건설에서 권장하는 프로세스 개선 기법은 다양하지만 상세공정 단위에서 신뢰도를 측정하고 작업 지연 사유를 분석하여 현장에서 자체적으로 지속적 개선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가장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국내에도 린 건설에 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나 린 건설이 지향하는 일일 관리 방식을 실제 적용한 사례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축, 토목 및 플랜트 현장에 일일 작업 관리 방식을 각각 2주씩 적용하였다. 그 결과 3개 현장의 PPC는 평균 79%였으며, 2일 기준 PAT는 16%였다. 외국과 비교 시 PAT 점수가 유난히 낮았고, 이는 국내에서 전체 프로세스를 참여 주체들간에 협력하여 기획하고 개선해 나가는 작업이 미흡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작업 지연 사유의 주된 이유는 '계획 변경' 및 '준비 작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왔으며 외국과 비교 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상세 단위에서의 계획 능력이 약한 것으로 해석이 되었으며, 계획한 작업을 실천하려는 의식 또한 부족한 것으로 보였다. 산업차원에서는 국내에서 널리 인식하고 있는 제도적, 구조적 문제점들이 린 건설을 도입하는 데에도 역시 걸림돌로 드러났으며, 이에 따라 선진기법의 도입과 동시에 선진 발주 및 계약 방식의 적용이 병행해야 한다는 것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린 건설이라는 선진기법을 통해 상세공정 단위에서 분석을 한 결과 구체적인 문제점들이 발견되었고, 그 문제점들의 원인과 린 건설에서 사용하는 측정치들을 사용하여 정량적인 데이터로서 외국과 비교를 함으로서 국내 현장 운영의 현주소를 파악했다는 데에 그 의의를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