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어 분리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41초

과다 분리 및 사전 후처리 기법을 이용한 한글이 포함된 무제약 필기 문자열의 오프라인 인식 (Off-Line Recognition of Unconstrained Handwritten Korean Words using Over-Segementation and Lexicon Driven Post-Processing Techniques)

  • 정선화;김수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6권5호
    • /
    • pp.647-65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오프라인 무제약 필기 한글 단어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단어 인식 시스템은 크게 다석가지 모듈-문자 분리,조합행렬생성, 특징 추출, 문자인식, 사전 후처리 -로 구성되어 있다. 문자 분리 모듈은 입력된 단어 영상을 하나의 문자보다 더 작은 이미지 조각으로 과다 분리하며 , 조합 행렬 생성모듈에서는 동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하여 분리된 이미지 조각들로부터 사전상의 모든 단어들과 대응되는 가능한 모든 조합을 생성한다. 문자인식모듈은 각 그룹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얻어진 특징과 유니그램을 이용하여 문자인식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사전 후처리 모듈에서는 각 그룹에 대한 문자인식 결과와 단어 사전을 사용하여 입력단어에 대한 최종 인식 결과를 도출한다. 본 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문자 분리, 문자 인식 및 후처리를 상호 보완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한글이 포함된 무제약 필기 문자열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우편 봉투 상에 쓰여진 필기 한글 단어 200개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200개의 단어중 172개의 단어를 정인식하여 86%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나머지 28개의 오인식된 단어들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오류는 문자 인식기의 낮은 신뢰도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나의 단어를 인식하기 위하여 약 2초가 소요되었다.

Levelbuilding 알고리즘을 이용한 참조패턴의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utomatic Generation Algorithm of Reference Pattern Using Levelbuilding Algorithm.)

  • 김윤중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1호
    • /
    • pp.79-8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연결단어 음성인식 상에서 올바른 참조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Levelbuild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식대상 단어의 표본 집합(훈련패턴 집합)으로부터 참조 패턴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분한 K-Mans 훈련방법에 기초하고 있으며, Levelbuild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훈련패턴으로부터 참조 패턴을 생성하는 것이다. 먼저 초기화 과정에서 훈련 패턴을 그에 포함된 단어 수만큼 등간격 분리하여 분리된 단어들을 소속 Cluster로 분류하고 각 Cluster의 Center들로 초기 참조패턴을 구성한다. 그리고 참조패턴, 제어정보 및 Levelbuild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훈련패턴을 분리하고, 분리된 단어들을 소속 Cluster로 분류하여 단어 Cluster집합을 구성한 후 DTW 및 minimax알고리즘을 이용해 각 Cluster의 Center를 구하여 참조 패턴을 생성한다. 참조패턴 구성에 변화가 없을 때까지 전 단계의 참조패턴과 본 알고리즘을 반복 수행하여 최적의 참조패턴을 생성한다. 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3개 숫자의 연결단어 집합으로부터 영('0')에서 구('9')까지 숫자음에 대한 참조패턴을 자동 생성하였다. 참조패턴 생성과정에서 가정 중요한 처리인 훈련패턴 분리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반복과정에서 분리된 정보를 그래프로 도시화하여 확인하였다.

  • PDF

엔트로피를 이용한 한국어 연어 추출 (Extracting Collocations Using Entropy in Korean)

  • 박경미;송만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451-453
    • /
    • 2002
  • 연어는 습관적으로 같이 자주 나타나는 단어열로 각 단어로 분리하기보다 통합해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기계 번역과 음성 인식등에서 유용만 정보로 사용된다. 이러한 연어를 추출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2가지 경우를 고려했는데, 첫 번째로 인어를 말뭉치에 자주 나타나는 단어열이라고 했을 때 단어열들의 엔트로피가 일정값 이상이면 연어로 추출했다 두 번째로 통사적 제약이 있는 연어를 주술하기 위해 앞 또는 뒤에 올 단어를 제약하는 단어의 엔트로피를 구해 일정값 미만이면 그 단어를 포함한 단어열을 연어로 추출했다. 실험은 품사 부착된 HANTCE 말뭉치를 가지고 수행했고, 젓 번째 방법으로 실험했을 때 엔드로피가 2이상인 단어열을 가지고 분리된 연어도 유도해냈다.

  • PDF

사례기반 학습을 이용한 음절기반 한국어 단어 분리 및 범주 결정 (Segmenting and Classifying Korean Words based on Syllables Using Instance-Based Learning)

  • 김재훈;이공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1호
    • /
    • pp.47-56
    • /
    • 2003
  • 한국어는 영어와 같이 공백을 단어의 경계로 사용하지만, 그 단어의 구조는 영어와 다소 차이가 있다. 영어는 일반적으로 공백 사이에 하나의 단어가 포함되나, 한국어는 여러 개의 단어 혹은 형태소가 포함된다. 이런 차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한국어에서는 공백을 경계로 이루어진 단어를 어절이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어절 내에 포함된 단어들을 분리하고, 분리된 각 단어의 적절한 범주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례기반 기계학습 방법을 이용하고 음절 단위로 단어를 분리한다. 사례기반 학습을 위해 사용된 자질집합은 이전 음절 자신의 음절, 이후의 두 음절, 자신의 음절에 대한 받침 정보, 이전 두 범주 정보이다. 제안된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해서 ETRI 말뭉치와 KAIST 말뭉치를 사용하였으며, 두 말뭉치 모두에서 단어 분리의 F 측도가 97% 이상으로 비교적 좋은 성능을 보였다.

GAP 군집화에 기반한 필기 한글 단어 분리 (Word Segmentation in Handwritten Korean Text Lines based on GAP Clustering)

  • 정선화;김수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7권6호
    • /
    • pp.660-66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필기 한글 문자열 영상에 대한 단어 분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gap 의 크기 정보를 사용하여 단어를 분리하는데, 이때 gap은 문자열 영상을 수직방향으로 투영한 후 흰-런 (white-run)을 찾음으로써 구할 수 있다. 문자열 영상으로부터 얻어지는 gap들의 크기를 측정한 후, 각각의 gap을 단어와 단어사이에 존재하는 gap과 문자와 문자사이에 존재하는 gap 중 하나로 분류한다. 본 논문에서는 필기 영문 문자열의 단어 분리를 위해 제안된 기존의 세 가지 거리 척도를 채택하고 군집화에 기반한 세 가지 분류방법을 적용하여 한글 문자열의 단어 분리를 위한 최적의 조합을 선정하였다. 우편봉투 상에 작성된 주소열로부터 수작업으로 추출한 305 개의 문자열 영상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BB(bounding box) 거리를 사용하여 순차적 군집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3 순위까지의 누적 단어 분리 성공률이 88.52% 로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 주었다. 또한 하나의 문자열 영상에 대한 단어 분리 속도는 약 0.05초이다.

  • PDF

The Unsupervised Learning-based Language Modeling of Word Comprehension in Korean

  • Kim, Eu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41-49
    • /
    • 2019
  • 본 연구는 비지도 기계학습 기술과 코퍼스의 각 단어를 이용하여 한국어 단어를 형태소 분석하는 언어 모델을 구축하는데 목적을 둔다. 그리고 이 언어 모델의 단어 형태소 분석의 결과와 언어 심리 실험결과에서 얻은 한국어 언어사용자의 단어 이해/판단 시간이 상관관계을 갖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논문에서는 한국어 세종코퍼스를 언어 모델로 학습하여 형태소 분리 규칙을 통해 한국어 단어를 자동 분리하는데 발생하는 단어 정보량(즉, surprisal(놀라움) 정도)을 측정하여 실제 단어를 읽는데 걸리는 반응 시간과 상관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코퍼스에서 단어에 대한 형태 구조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Morfessor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단어의 하위 단위 분리와 관련한 문법/패턴을 추출하고 형태소를 분석하는 언어 모델이 예측하는 정보량과 반응 시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형 혼합 회귀(linear mixed regression) 모형을 설계하였다. 제안된 비지도 기계학습의 언어 모델은 파생단어를 d-형태소로 분석해서 파생단어의 음절의 형태로 처리를 하였다. 파생단어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사람의 인지 노력의 양 즉, 판독 시간 효과가 실제로 형태소 분류하는 기계학습 모델에 의한 단어 처리/이해로부터 초래될 수 있는 놀라움과 상관함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놀라움의 가설 즉, 놀라움 효과는 단어 읽기 또는 처리 인지 노력과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함을 확인하였다.

통계적기법에 의한 한글자동색인의 연구 (A Study on Automatic Indexing of Korean Texts based on Statistical Criteria)

  • 우동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7-86
    • /
    • 1987
  • 본 연구는 한글자동색인에 관한 연구로 한국전자통신연구소의 DOCUMENT Data Base로부터 299개 문헌의 제목과 초록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단어분리를 시도하고, 분리된 단어군, 인식어를 제외한 단어군, 인식어와 불용어를 제외한 단어군, 그리고 인식어와 불용어를 제외하고 복합어를 구성하여 포함한 단어군 등 4개의 시험군을 설정한 후, 파오의 전환점 산출기과 스파크죤스의 역문헌 가중기법, 살톤의 문헌분리 가중기법을 적용하여 색인어를 선정하고 이를 비교 평가하여 한글문헌의 자동색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문서 영상 내 테이블 영역에서의 단어 추출 (Word Extraction from Table Regions in Document Images)

  • 정창부;김수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4호
    • /
    • pp.369-378
    • /
    • 2005
  • 문서 영상은 문서 구조 분석을 통하여 텍스트, 그림, 테이블 등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 및 분류되는데, 테이블 영역에 있는 단어는 다른 영역의 단어보다 의미가 있기 때문에 주제어 검색과 같은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 영상의 테이블 영역에 존재하는 문자 성분을 단어단위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테이블 영역에서의 단어 추출은 실질적으로 테이블을 구성하는 셀 영역에서 단어를 추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셀 추출 과정이 필요하다. 셀 추출은 연결 요소를 분석하여 테이블 프레임을 찾아내고, 교차점 검출은 전체가 아닌 테이블 프레임에 대해서만 수행한다. 잘못 검출된 교차점은 이웃하는 교차점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수정하고, 최종 교차점 정보를 이용하여 셀을 추출한다. 추출된 셀 내부에 있는 텍스트 영역은 셀 추출 과정에서 분석한 문자성분의 연결 요소 정보를 재사용하여 결정하고, 결정된 텍스트 영역은 투영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문자연로 분리된다. 마지막으로 분리된 문자열에 대하여 갭 군집화와 특수 기호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단어 분리를 수행한다. 제안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한글 논문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총 In개의 테이블 영상에 대해 실험한 결과, $99.16\%$의 단어 추출 성공률을 얻을 수 있었다.

필기체 수표 금액 문장에서의 단어 분리를 위한 공간적 간격 추정 (Spatial Gap Estimation for Word Separation in Handwritten Legal Amounts on BAnk Check)

  • 김인철;김경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096-110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수표 영상 내의 필기체 문장 금액을 개별 단어로 분리하기 위해 연결 성분 간의 공간적 간격을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간격 측정 방법들은 과대추정 또는 과소추정과 같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어 무제약적 필기 스타일에 의한 문자의 왜곡과 필기 공간의 제약으로 인한 연결 성분 간 중첩 및 접촉, 그리고 단어 간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불규칙성이 심하게 나타나는 문장 금액에 적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측정 방식들을 수정 보완하여 측정 과정에서의 오류를 줄임으로써 단어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단어 분리 실험 결과로부터 수정된 각 거리 측정법이 대응되는 기존의 측정법에 비해 $2-3\%$ 정도 향상된 단어 분리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k-평균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필기 문서 영상의 단어 분리법 (Word Segmentation Algorithm for Handwritten Documents based on k-means Clustering)

  • 류제웅;조남익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8-4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필기 문서 영상을 분석하여 단어 단위로 요소들을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인쇄 문서에 비하여 필기 문서에서는 글자 간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기자 또는 작성된 언어에 따라 특성이 매우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단어를 분리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로 간주되었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안하는 방법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글자 획의 두께를 고려하여 정규화시킨 각 연결 요소간 간격과 간격 안에 존재하는 글자 픽셀의 수로 구성된 2 차원의 특징값을 추출하였다. 이 특징값을 바탕으로, 제안하는 방법은 k-평균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각 텍스트라인을 구성하는 연결 요소간 간격을 단어 사이의 간격과 단어 내부 글자간의 간격으로 분류하였다. ICDAR 2013 Handwriting Segmentation Contest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