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순화 LCA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acts Potential Estimations from Korean Nuclear Power Generation Using LCA (LCA를 통한 국내 원전의 환경영향 평가 수행사례 비교)

  • 정환삼;김성호;하재주;김태운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4.11a
    • /
    • pp.277-28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환경경영의 중요한 수단으로 대두되고 있는 전과정분석(Life Cycle Analysis; LCA)을 통해 원자력 발전기술을 평가한 주요 사례의 분석과정과 결과들을 비교하였다. 이는 선진국들이나 글로벌 선진기업들에서 채택하기 시작한 글로벌 환경친화성의 입증 요구 추세 속에서, 모든 재화의 생산에 전력은 필수 투입물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감안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력의 40% 이상 공급을 담당하고 있는 원자력발전 기술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연구를 간 비교 결과 그 값의 차이는 최대 10^5 정도에 이르러, 이는 외국의 경우 10^1 수준의 차이를 보이는 데 비해 다소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사례에 따라 모형의 단순화 정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전력의 타산업 기반성이나 국내 전력LCA 분석능력의 함양이 중요하다는 점에 비추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것이라 제안한다.

  • PDF

How to Apply the LCA to Environmental burden Assessment on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 (전원별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수명주기분석 적용 방안 연구)

  • 정환삼;윤성원;김승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1.11a
    • /
    • pp.117-128
    • /
    • 2001
  • 발전원별 환경영향 분석의 목적이 기존에 수행되고 있었던 연료원이나 발전원별 연소특성 혹은 환경보호 시설의 기술특성 분석과 같은 미시 분석시각 뿐만이 아니라 발전원별 환경영향 분석에 있어 거시적 의사결정 변수의 구축도 중요하다면 이제부터라도 분석시각으르 기준의 연료별 연소특성 분석에서 수명주기분석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전력의 환경영향 정도의 평가에 있어 수명주기분석을 적용하기 위해 수명주기분석 방법들을 조사하고, 그중 적용에 있어 현실적인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진국에서 수행되고 있는 단순화 수명주기분석법 중 산업연관 분석방법의 적용 방안을 제안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그 유용성을 소개하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Carbon Emiss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Method in Apartment House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한 탄소배출 평가기준 구축 및 평가방법 개발)

  • Choi, Doo-Sung;Chun, Hung-Chan
    • KIEAE Journal
    • /
    • v.13 no.5
    • /
    • pp.79-88
    • /
    • 2013
  • This study creates the evaluation criteria to analyze the $CO_2$ emission quantity in the complex of apartment house among domestic buildings and proposes how to calculate the $CO_2$ emission quantity by the only simple information of apartment house. The study shows that in order to create the index of carbon emission evaluation criteria, $CO_2$ emission quantity for its input materials in these 27 apartment houses are 445,412g-$CO_2/m^2$ for apartment building, 474,322g-$CO_2/m^2$ for the basement parking lot, 483,523g-$CO_2/m^2$ for welfare facility, 729,957g-$CO_2/m^2$ for sales facility, 743,560g-$CO_2/m^2$ for other facility, 26,782g-$CO_2/m^2$ for public facility, 43,659g-$CO_2/m^2$ for landscape, 1,113g-$CO_2/m^2$ for indoor facility, 11,251g-$CO_2/m^2$ for outdoor facility and 891g-$CO_2/m^2$ for common temporary based on the average $CO_2$ emission by facility. We can also see the analysis data that in case of using the selected factors only, the rate of error is 7.51% comparing with the emission quantity by using simplified LCA method this study suggests for the whole range of apartment houses and the rate of error is average 3.24% using selective and main materials. And this it is evaluated that we can get the result which is similar to the actual $CO_2$ emission quantity with only the simple information about the apartment house.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Oxidation of Lipid in Beef Patties during Cold Storage (Conjugated Linoleic Acid(CLA)가 우육패티의 지방산화에 미치는 효과)

  • 예병화;주선태;이제룡;신택순;김영환;이정일;박구부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0 no.4
    • /
    • pp.311-319
    • /
    • 2000
  • 본 연구는 다기능성 지질신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 CLA를 육제품에 첨가하였을 때 제방의 산화를 억제시키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비육말기 돼지 사료에 LCA를 5% 첨가하여 생산한 동육 등심을 4$^{\circ}C$ 냉장고에에서 11일 동안 저장하면서 CLA 함량에 따른 지방산화정도(TBARS)에 대한 단순 상관도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CLA를 우욱 패티 제조에 0.05, r과 2%로 각각 첨가하여 제조한 후 4$^{\circ}C$에서 13일동안 저장하면서 pH, TBARS, 지방산 조성 및 CLA 함량을 조사하였다. TBARS의 단순상관도는 저장 11일째에 -0.804(p<0.001)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CLA가 육내에 축적이 되면 저장 기간이 경과 할수록 지방산화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가 육내에 축정이 도면 저장 기간이 경과 할수록 지방산화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가 축정된 우육 패티를 soc장저장하면서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대조구에 비햐여 CLA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pH를 보였으며,또한 CLA 첨가량이 증가할수옥 pH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p<0.05). TBARS의 변화는 전 처리구에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EK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CLA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TBARS를 보였으며 (p<0.05), EH한 CLA펌가량이 증가할수옥 유의적으로 낮은 TBARS를 보여 CLA 가 항상화작용이 있음을 알수 있었다. CLA 우육 패티의 지방산 조성은 CLA 첨가량이 증가할수옥 상대적으로 다른 종류의 지방산 함량이 감소하는 겨과를 보였다. 저장기간이 경과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CLA 함량의 변화는 CLA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아무런 변화가 없어 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이라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CLA는 지방산화를 억제시켜 산화 안정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CLA를 육제품 제조시 첨가할 경우 품질 보존 효과가 잇음과 동시에 고기능성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리아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or Life Cycle of Mixed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Routes (혼합 건설폐기물 처리경로별 전과정 온실가스 발생량 평가)

  • Kim, Da-Yeon;Hwang, Yong-Woo;Kang, Hong-Yoon;Moon, Jin-Young
    • Resources Recycling
    • /
    • v.31 no.1
    • /
    • pp.56-64
    • /
    • 2022
  • Construction waste is generated at a rate of approximately 221,102 tons/day in Korea. In particular, mixed construction waste generates approximately 24,582 tons/day. The other components were recycled by 98.9%.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waste was 17.1 million tons of CO2 equaling 2.3% of the total greenhouse gas emission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ducing the environmental impac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However, appropriate treatment must first be established, as mixed construction waste is also increasing. Thus, an effective plan is urgently needed because it is frequently segregated and sorted by the landfill and incinerated. In addition, there is an urgent need to prepare various effective recycling methods rather than a simple treatm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treatment of mixed construction waste by calcula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s a result, the highest greenhouse gas generation occurred during the incineration stage. Moreover, the optimal metho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s recycling and energy recovery from waste. In addition,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generated during energy recovery from the waste stage was the second highest. However, greenhouse gas emissions can be reduced by using waste as energy to reduce fossil fuel consumption. In addition, for the transportation stage, the optimal reduction plan is to minimize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by setting the optimal distance and applying biofuel and electric vehicle op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