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순전달자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72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aption Processing System for Multimedia Lecture Authoring (멀티미디어 강의 저작을 위한 캡션처리기의 설계 및 구현)

  • 정상준;최용준;김재일;하성룡;김종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229-232
    • /
    • 2000
  • 인터넷이 보편화되고, 멀티미디어 처리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교육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강의를 저작하고 재생하는 원격강의 도구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강의전달의 효율성보다 슬라이드 자료를 기반으로 한 단순한 강의음성 녹음과 드로잉을 기록하고 재생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강의의 정확한 전달이나 부가적인 정보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의의 보다 정확한 전달 및 부가정보 전달을 처리하여 면대면 효과가 높은 멀티미디어 강의저작을 지원하기 위한 캡션처리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한 캡션처리기는 텍스트로 입력된 강의내용을 전달하거나 여러 가지 메시지를 학습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하이퍼링크기능을 지원하여 특정 홈페이지로의 자동접속을 지원하여 다양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장점이 있다.

  • PDF

Scheme for Preventing Attacks in ID-based Proxy Re-Encryption Environments (ID 기반 프록시 재암호화 환경에서 공모공격 방지를 위한 기술)

  • Kim, Won-Bin;Lee, I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192-193
    • /
    • 2019
  •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다양한 영역에서 이용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저장, 이용에 사용되지만 추가적으로 데이터의 공유에 이용될 수도 있다. 이를 활용하여 단순 데이터 공유 및 데이터 구독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 이용될 수 있다. 프록시 재암호화는 이러한 환경에서 데이터를 제 3자에게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프록시 재암호화는 데이터 소유자가 데이터를 암호화 한 뒤, 프록시에 보관하고, 위임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소유자가 재암호화 키를 생성하여 프록시가 암호화된 데이터를 재차 암호화 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록시 재암호화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제 3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복호화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 원본을 노출 없이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프록시와 위임자가 결탁하여 데이터 소유자의 개인키를 복구하거나 재암호화 키를 위조하는 등의 위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공모(결탁)공격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프록시 재암호화 기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모공격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A Study on Web 2.0 in Educational Methods - Focusing on Widget - (웹 2.0의 교육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위젯을 중심으로)

  • Cho, Kwon-Hyoung;Kim, Soo-Hwan;Han, Seon-K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235-240
    • /
    • 2009
  • 웹 2.0을 적용한 블로그, 위젯, RSS 등의 여러 가지 기술들의 발전은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툴을 제공해 주고 있다. 현재의 초등학교 교육은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고 그것을 학습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한 교수.학습과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가 참여하는 형태로 발전하게 될 것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이러한 상호작용에만 국한될 경우 학습자들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핵심지식에 대한 교육이 소홀해 질 수 있다. 따라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원활한 상호작용을 이루어 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학습 환경이 필요함과 동시에, 핵심지식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툴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웹 2.0의 여러 가지 기술들을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원활한 상호작용을 이룰 수 있는 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핵심지식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용 위젯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용 위젯을 활용한다면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통한 교육에서 다루지 못하는 부분의 핵심지식 교육을 보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핵심지식의 습득 및 학습효과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 Supporting Vehicle System Using.Net2.0 (.Net2.0을 이용한 수업 보조도구 설계 및 구현)

  • Joo, Byoung-Tae;Kang, Soo-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85-1388
    • /
    • 2007
  •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업의 문제점 중의 하나는 교수자가 학습자의 이해 및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채 일반적인 강의형식으로 수업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학습자들은 면대면에서 오는 두려움으로 인하여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교수자는 학습자들의 이해와 생각을 파악하지 못한 채 단순 지식전달 형태의 수업이 진행되며, 이로 인하여 학습자는 학습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겪는 악순환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학생들의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교수자가 학습자의 생각과 의견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기본으로 하는 수업 보조도구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양질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추후 확장성 및 시스템의 활성화를 고려하여.Net Framework2.0 기반으로 개발 하였다.

  • PDF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MBL의 활용

  • Choe Seong-Bong;Kim Sang-Dal;Lee Yong-Seop;Lee Sang-Gyu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69-174
    • /
    • 2006
  • 현대 교육은 단순한 암기 위주가 아닌 첨단 컴퓨터를 이용한 실험 실습 위주의 직접 보고 듣고 느끼는 방향으로 진보하고 있다. 실험 실습에 의한 과학교육은 사용자의 탐구능력 향상과 과학적 태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기존의 암기위주나 단순한 수치에 의한 개념 학습을 탈피하여 Data collection 기술과 분석의 활용을 통해 사용자가 과학을 좀 더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증진하게 한다. 이를 위한 과학교육의 한 방법으로 MBL(Microcomputer Based Laboratory)은 실험자가 실험실이나 야외에서 각종 기구를 사용해 데이터를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컴퓨터 기반 과학 실험 시스템으로서 미국, 영국 등 과학 교육 분야에서 추구하고 있는 세계적인 추세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MBL 시스템의 구성은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자료를 컴퓨터에 전달하는 매개체인 인터페이스, 과학 실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직접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인터페이스에 전달하는 센서, 인터페이스에서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컴퓨터 화면에 나타내어 주는 컴퓨터용 전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MBL을 과학교육에 활용한다면 학생들이 스스로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Constructivism Abilities-based Instructional Design Development to Improve Learning Competencies of Underachievers (학습부진학생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구성주의 능력기반 교수학습설계 모형 개발)

  • Choi, Y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141-14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들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해 구성주의 능력기반 교수학습 설계 모형을 제안한다. 구성주의 능력기반 교수학습 설계 모형에서는 과거 내용 전달 위주의 교수설계와는 차별화된 방법을 적용한다. 본 모형에서는 먼저,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학습능력을 규명한다. 이후 규명된 학습능력을 일정 기간 이후 평가할 평가 방법을 결정한다. 학습능력과 그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결정한 이후 실제 수업을 진행한다. 본 모형의 주요 특징은 세 가지이다. 첫째, 단순히 내용 전달 위주의 교수설계 방법이 아닌 학습자들에게 실질적인 학습능력을 형성시켜주는 교수학습설계 전략이다. 둘째, 학습자들이 형성해야 할 학습능력을 기초능력과 핵심능력으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제시한다. 셋째, 학습자들의 학습능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방안을 구성주의적 차원에서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Application of Semantic Web for e-Learning (시멘틱 웹의 e-Learning 적용에 대한 연구)

  • 정의석;김현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89-591
    • /
    • 2003
  • 현재 대부분 e-Learning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은 학습(Loaming)이 아닌 단순 훈련(Trainning)만이 이루어지고 있다. e-Learning에서 진정한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적응적(Adaptive), 적시적(Just-in-Time) 학습이 단편적이 아닌 연속적,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술적 관점뿐만 아니라, 발견적 학습(heuristic learning)관점에서 학습자원이 기술되고, 컴퓨터(에이전트)가 학습자원의 구성요소인 학습목표(Goal), 학습내용(Content), 학습맥락(Context), 학습구조(Structure), 학습전략(Strategy)의 의미(Semantic)와 관계(Relation)를 이해해 학습자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검색, 추론해주고 이를 학습자 수준에 맞게 재가공해 학습자에게 지식(Knowledge)을 적응적(Adaptive), 적시적(Just-in-Time)으로 전달해주는 e-Learning 학습 환경이 필수적이다. 메타데이터(RDF), 온톨로지(Ontology), 에이전트(Agent) 매커니즘의 시멘틱 웹을 e-Learning 환경에 적용함으로써 학습자원의 구성요소의 의미와 관계를 파악해 적응적(Adaptive)으로 지식을 전달해 주어 자기 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oaming)을 실현해 줄 수 있다.

  • PDF

A Study on Verification of Acupuncture Therapy Effect by Bio-potential Analysis (생체전위 분석에 의한 침구치료 효과 규명에 관한 연구)

  • 이용흠;박창규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8 no.3
    • /
    • pp.670-678
    • /
    • 2004
  • In oriental medicine, meridian is pathway of bio-energy, and basic an object of diagnosis/therapy. But, in western medicine, meridian has been accepted as action pathway of nerve-endocrine-immune system. Acupuncture effect has been regarded as not effect by transmission of bio-energy but action or response by stimulation. In this paper, when an acupuncturist's bio-energy is passed on(non-insulation) and when is not(insulation), we analysed electric potential on meridian/non-meridian to verify effect of acupuncture therapy. In the results, when bio-energy isn't passed on, bio-potential is reacted to only the first of 4 times acupuncture operating. But when bio-energy is passed on, it is reacted to 4 times, and potential on meridian is higher than that of on non-meridian. Electric potential for same acupuncture operating is different on non/meridians, which implies that physiological construction and bio-energy transmission material is different respectively. When is extracting acupuncture method, potential is higher than that of injection one. It implies that extracting method is more effect than injecting one, in aspect of acupuncture therapy effect. Therefore, acupuncture therapy effect is verified as effect of response by acupuncturist's bio-energy transmission rather than that by only acupuncture stimulus.

죽어있는e러닝, 살아있는e러닝

  • Jeong, Ui-Seok
    • Digital Contents
    • /
    • no.3 s.142
    • /
    • pp.78-79
    • /
    • 2005
  • e러닝은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의 보완 수단을 뛰어넘어,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을 형성하며 학습자에게 새로운 학습의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e러닝은 기업에서 직원들의 훈련을 좀 더 경제적,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먼저 도입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e러닝을 통해 학습 활동이 이뤄졌을 때 학습효과가 얼마나 월등하게 있는지에 대한 검증은 아직 이뤄지지 않은 시점이다. 또한 현재 이뤄지고 있는 e러닝은 학습자에 맞는 살아 움직이는 학습이 아닌 일방적으로 이미 정해져 있는 자료를 단순히 전달해 주는 훈련(e-training) 위주로 이뤄지고 있어 오히려 학습자들의 학습효과와 흥미를 떨어뜨리고 있는게 안타까운 현실이다.이에 필자는 살아 움직이는 진정한 e러닝 되기 위한 전략에 대해 애기하고자 한다

  • PDF

An Efficient Algorithm for Causal Message Delivery in Distributed Mobile Systems (분산 이동 시스템에서 인과적 메시지 전달을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

  • 노성주;정광식;김기범;안진호;황종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232-234
    • /
    • 2000
  • 분산 이동 시스템은 단순한 통신 기능에서 작업 흐름 관리, 화상회의, 전자 메일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급속히 확대.발전하고 있으며, 이들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메시지를 인과적 순서로 전달해야 한다. 인과적 메시지 전달을 제공하는 기존의 방법들은 많은 피기백(piggyback) 정보로 인한 통신 오버헤드 혹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메시지의 지연, 이동 호스트의 증가에 대한 비확장성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 논문은 기지국과 이동 호스트 사이의 종속 정보 행렬을 기지국이 유지하며, 즉각 선행자 메시지(immdiate predecessor message)에 대한 종속 정보만을 각 메시지에 피기백하는 방법을 통하여 기존 기법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율적인 인과적 메시지 전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이전의 알고리즘들과 비교해서 낮은 메시지 오버헤드를 가지며, 메시지를 전달할 때의 불필요한 지연(inhibition)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안된 알고리즘은 이동 호스트의 에너지 사용에 대한 제약성, 무선 통신의 낮은 대역폭, 이동 호스트 수의 증가에 대한 확장성, 무선 통신의 잦은 접속 단절과 같은 요소를 고려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