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수 영향범위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9초

가뭄 영향평가를 위한 생·공용수 부족의 경제적 피해 추정법 고찰 (A study on estimation of the economic damages by domestic and industrial water scarcity for drought impact assessment)

  • 이정주;신현선;김현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81-81
    • /
    • 2016
  • 가뭄은 국민생활, 경제 등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며, 지역사회 공동체나 사회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재해이다. 가뭄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단기대응, 복구지원 등의 사후대책에서 사전대비 및 예방으로의 정책 전환이 필요하며, 이러한 정책 수립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가뭄에 따른 정량적인 피해영향 평가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가뭄은 그 지속기간이나 피해양상 및 영향범위 등에 있어 일반 자연재해와는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우선 그 시점과 종점이 모호하고 다른 재해에 비해 장기간에 걸쳐 피해가 누적되며, 가뭄이 해갈된 후에도 장기간 파급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가뭄이 장기화 될수록 대형복합재난의 형태로 사회전반에 영향을 주기때문에, 영향범위를 설정하고 피해규모를 추정하는 것조차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특히 가뭄으로 인한 제한급수, 단수 등의 상황에서 생 공용수의 부족으로 인한 국민생활과 산업의 피해규모 추정과 관련해서는 그 필요성에 비해 연구되거나 적용된 사례가 극히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가뭄정보분석센터에서 운영 중인 가뭄정보시스템을 통한 가뭄영향평가 정보 생성 및 제공을 위해, 가뭄 영향평가에 대한 국내 외 사례를 조사하고, 생 공용수에 대한 가뭄 피해액 추정 기법을 국민안전처, 국토연구원 등에서 수행된 연구사례와 일본의 갈수에 의한 감 단수피해액 추정기법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 가뭄정보시스템 구축자료와의 연계 활용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제수밸브 설치 위치에 따른 상수관망 지진피해복구 영향 분석 (Effect of Valve Location to Post-earthquake Restoration Efficiency in Water Supply Networks)

  • 최정욱;강두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7-7
    • /
    • 2019
  • 중요한 사회기반시설물 중 하나인 상수관망시스템은 대부분의 시설물이 지중에 매설되어있기 때문에 지진에 취약하고 복구에 어려움이 크며, 지진 발생 시 대규모 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수관망시스템에 대한 지진피해를 최소화하고 재해로부터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한 적절한 복구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상수관로에 발생하는 지진피해는 크게 파손과 누수로 구분되며, 대구경 관로가 파손될 경우 대규모 단수 및 피해가 우려되므로 신속한 복구전략이 마련되어야한다. 일반적으로 파손 관로의 복구는 먼저 피해 관로 인근의 제수밸브의 차폐를 통해 통수를 차단한 후 교체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해당 과정에서 밸브 차폐에 의한 단수구역의 발생이 불가피하다. 이러한 단수구역 발생은 해당 지역의 용수공급능력 저하로 이어지며, 단수구역의 범위 및 단수용량의 규모는 제수밸브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개발된 상수관망 지진피해복구 시뮬레이션 모형(Choi et al., 2018)을 개선하여 지진피해복구 시 시스템 내 제수밸브의 설치 위치와 개수에 따라 발생되는 단수구역과 단수상황이 상수관로의 용수공급능력(Serviceability)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개선된 모형은 피해복구에 따른 용수공급능력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피해 관로의 복구 시 제수밸브 차폐에 의해 발생되는 단수구역을 탐색한 후, 수리해석 모의에 적용함으로써 현실적인 용수공급 상황을 모의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또한, EPANET3.0의 Full-PDA(Pressure driven analysis)를 이용함으로써 지진과 같은 비정상상황(다수관의 파손에 따른 압력저하)에서 좀 더 현실적인 수리해석이 가능하도록 개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모형을 실제관망에 적용하여 제수밸브 설치개수 및 위치가 지진피해복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또한 효율적인 지진피해복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밸브위치 및 단수구역을 고려한 상수관망 지진피해 복구 (Post-earthquake Restoration of Water Supply Network considering Valve Location and Segment Layout)

  • 최정욱;강두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19
    • /
    • 2018
  • 최근 경주, 울산, 포항 등 경상도 지역에서 잇달아 발생한 대규모 지진으로 인해 사회기반시설물의 내진 안전성이 이슈가 되고 있다. 지진 안전 국가라고 여겨지던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지진에 대한 대비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자칫 대규모 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특히 상수관망의 경우,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특성상 지진에 취약하고, 그 피해를 발견하기 어려워 장기적인 피해가 불가피하다. 상수관로의 지진피해는 누수와 파손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파손관의 경우 용수공급능력을 크게 저하시키기 때문에 신속한 복구가 요구된다. 파손관의 복구는 부근에 위치한 차단밸브를 닫아 피해관로의 통수를 차단한 후에 복구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차단밸브의 위치에 따라 단수구역이 광범위하게 발생할 수 있어 시스템 전반의 용수공급능력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 발생 후 피해관로의 효율적인 복구전략 마련을 위한 상수관망 지진피해 복구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 모형은 피해복구에 따른 상수관망 시스템의 용수공급능력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지진 발생과 같은 비정상 상황의 시스템 용수공급능력을 수리학적으로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 압력기반의 해석(Pressure-driven analysis, PDA)을 적용하였다. 또한, 피해관로의 복구 시, 차단밸브에 의해 발생되는 단수구역을 탐색한 후, 수리해석 모의에 적용함으로써 현실적인 용수공급 상황을 모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모형을 활용하여 차단밸브의 위치 및 개수가 단수구역의 범위 및 지진복구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지진피해 복구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패널분석-확률효과모형에 의한 등숙기 이상기상이 쌀 단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Impacts of Abnormal Weather Factors on Rice Production)

  • 정학균;김창길;문동현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17-330
    • /
    • 2013
  • 홍수와 가뭄, 고온 등 이상기상의 영향으로 쌀 단수가 감소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등숙기 이상기상이 쌀 단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횡단면 자료와 시계열 자료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패널모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요소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pm}2{\sigma}$의 범위를 벗어날 때를 이상기상으로 정의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이상고온이 발생하였을 때 쌀 단수가 5.8~16.3% 감소, 이상고온과 폭우가 동시에 발생하였을 때 8.8~20.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기상으로 인한 쌀 생산량 감소를 최소화하고, 농가의 소득안정을 위하여 고온과 폭우에 강한 신품종 개발, 농업용 수리시설의 현대화, 농작물보험 채택 등의 적응전략이 필요하다.

간척지 토양에서 바이오에탄올용 단수수 유전자원의 생육특성 (Characteristics of Sweet Sorghum Germplasm for Bioethanol Production in Reclaimed Soil)

  • 최용환;문윤호;안승현;윤영미;차영록;구본철;박광근;한희석;김완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84-388
    • /
    • 2012
  • 농업유전자원센터 및 국외에서 수집한 단수수 유전자원 140품종을 대상으로 주요 형질변이를 탐색하여 우리나라 간척지 토양에 알맞는 품종을 선정하고 아울러 단수수 품종 육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척지 토양에서 단수수의 작물학적 생육특성은 간장 175 cm, 수장 26 cm, 절수 9개, 경태 11.6 mm, 생경중 12.1 톤/ha, 출수소요일수 96일이었다. 2.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크게 영향하는 당도 범위는 5.7~23.5 Brix였고, 평균 14.1 Brix였으며, 20 Brix를 초과하는 고 당도 품종은 Sugar Drip Cane Seed(23.5 Brix), Indiana Amber(21.4 Brix), Dwarf Blackhull Kafir(21.7)이었으며, 고 당도 품종육성에 유망한 유전자원이었다. 3. 생경중의 범위는 20~50 톤/ha이었고, 평균 12.1 톤/ha이었으며, 생경중 30톤/ha 이상으로 높은 품종은 Honey (50.3 톤/ha), IS8012(36.6 톤/ha), Dwarf Blackhull Kafir(35.3 톤/ha) 등 이었다. 4. 주요 형질간의 상관관계는 간장과 수장, 절수, 경태, 생경중, 출수소요일수 간에, 절수와 경태, 생경중 간에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5. 생경중은 간장, 절수, 경태, 출수소요일수와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다단 마이크로터빈에서 단수 변화에 따른 터빈의 성능에 관한 실험적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n a Multi-Stage Micro Turbine with Various Stages)

  • 조종현;조수용;최상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76-8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축류형 마이크로터빈의 단 수를 단 단에서부터 최대 6단까지 변경하면서 각 단에서의 공력특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마이크로터빈은 터빈입구에서 유량계수가 2.0, 부하계수가 3.25이며 유로의 평균직경이 25.8mm인 소형 축류형 다단터빈이 적용되었다. 정익과 동익의 솔리디티는 0.67~0.75 범위의 값이 적용되었으며 입구에 일정한 질유량과 전압력으로 조정한 후에 터빈의 부하를 변경하면서 탈설계 영역에서의 공력특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단 당 최대 2kW/kg/sec의 비출력이 얻어졌으나 단수의 증가에 따라 비출력의 증가폭은 다소 완화되었으며, 토오크의 경우는 단수가 증가되면서 낮은 회전수 영역에서는 토오크의 증가폭이 일정하나 높은 회전수영역에서는 토오크의 증가폭이 둔화되었다. 블레이드의 높이에 비하여 팁간격의 영향이 크므로 터빈의 효율은 낮으나 단 수의 증가에 따라 증가가 가능하다.

스마트 상수관망 수질관리 운영플랫폼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mart pipe network operating platform focused on water quality management)

  • 박대희;김주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53-453
    • /
    • 2023
  • 상수관망의 수질사고와 이상상황 발생시 대응을 위해서는 급수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수질측정기, 정밀여과장치, 재염소주입설비, 자동드레인 등의 계측·제어설비들 간의 유기적인 정보공유를 통한 제어를 필요로 한다. 스마트 상수관망 운영플랫폼은 이러한 인프라 시설의 운영방안을 고려하여 분산되어 있는 계측데이터를 통합감시 및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상수관망 운영플랫폼은 능동형 분석 제어기술을 도입하여, 스마트 상수관망 인프라 설비를 최적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통합운영 플랫폼은 PostgreSQL, PostGIS, GeoServer, OpenLayer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플랫폼은 계측감시, 시설관리, 운영제어 등의 기능으로 구성되며, 상수도 업무지원을 위한 관망해석 및 네트워크 분석 기능을 지원한다. 본 시스템은 스마트 상수도 구축사업을 통해 구축한 유량·수질모니터링 장비와 수질관리를 위해 도입된 재염소, 자동드레인 설비의 운영상태를 실시간 조회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과, 관망해석 프로그램 그리고 대상설비의 최적제어를 위한 운영관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현장에서 측정되고 있는 유량, 수압, 수질, 펌프운전 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망해석 프로그램은 EPA_Net모형과 연계되어 관망수리·수질해석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재염소설비의 염소 추가주입이나 자동드레인을 통한 배제시 나타나게되는 관의 수리·수질변화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분석하고 결과를 가시화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운영관리 프로그램은 재염소 주입이 필요할 경우 주입량의 산정하는 부분과 관망 파손이나 수질사고 발생시 최적 단수예상지역을 도출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향후 스마트 상수관망의 능동형 수질관리를 추진하는 지자체에 도입하여 인프라운영관리 기술 확보 및 수질관리 능력 개선과 실시간 감시 및 위기 대응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MS의 현상과 장래 동향

  • 이동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25
    • /
    • 1984
  • 중품종, 중량생산용의 합리적인 생산 system의 일형태로서 미국 Kearney & Trecker 사가 실용하고 있는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약칭 F.M.S.)을 처음으로 발표한 것은 1960 년대 후반이었다. 그러나 이 FMS도 그 후 얼마동안은 선전마저도 되는일 없이 지내왔다. 그런데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사회의 제품에 대한 요구가 다양화, 단수명화의 방향으로 진보되어, 그 결과, FMS의 중요성이 인식되게 되었다. 그리고 1970 년대후반부터 라고 표현될만한 상황이 일본,미국,서독 등 3개국을 중심으로 표현했다. 당초에는 라고 하는 용어만이 선행한 바람 직하지 못한 점은 있었으나 그후 FMS의 본질을 이해한 System의 도입증가와 함께 FMS 기술도 상당히 발전되어 왔다. 또한 FMS의 가동예의 증가와 더불어 그 도입효과가 눈부시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이 FMS의 중요성은 , 혹은 라고 하는 말로 집약되는데 당연히 현재로서는 FMS는 공업선진국, 개발 도상국을 막론하고 큰 화제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중요한 FMS의 상황을 국제적인 관점에서 정확히 파악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현금에 있어서의 FMS기술의 급속한 진보는 이와같은 관점에서의 상황파악을 매우 어렵게 하고 있다. 이제까지도 예컨데 Scharf와 Schulz, Hutchinson, Spur와 Mertinz 혹은 기계기술협회생산기술조사분과회(일본)의 조사예가 있으나, 상세한 것은 각국별, 혹은 각사별의 해설을 참조하지 않으면 이해할 수 없다. 더우기 이제까지는 기계가공용 FMS가 주체였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FMS의 적용범위는 판금가공, 단조가공, Plastic사출성형가공, 조립 등에 널리 이용되어 왔기때문에 점점 그 현상의 파악이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와같은 FMS의 현상과 장래의 발전동향을 간단히 이해할 수 있도록 개설하고자 한다.

  • PDF

디지틀 전송 장치의 지터 허용치 (Jitter Tolerances in Digital Transmission Equipment)

  • 고정훈;이만섭;박문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4-21
    • /
    • 1989
  • 디지틀 전송장치에서 지터 허용치는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하는 클럭 추출 회로의 특성에 좌우되며, 특히 비동기 다중화 장치에서는 이외에 프레임 형태, 이로인한 위치맞춤의 형태(justification process), 동기화기/역동기화기에서의 버퍼 단수, PLL의 전달함수, PLL의 동작범위 등이 지터 허용치에 큰 변수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비동기 다중화 장치에서, 이상의 변수가 주어졌을 때 지터 허용치를 구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듬을 제시하였으며 이 알고리듬을 이용해 이상의 변수가 입력 지터 허용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45M - 140M 다중화 장치에서 입력지터 허용치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계산치와 근사함을 보였다.

  • PDF

LSTM을 이용한 상수관망 내 실시간 유량 및 수질 데이터 예측 (Estimation of real-time data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using LSTM)

  • 조은영;최선홍;장동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63-463
    • /
    • 2023
  • 국내 수도관 보급률이 증가하면서 기존 노후화된 수도관들과 추가로 노후화된 수도관들이 증가하고 있다. 경과년수가 오래된 시설이 증가하는 것은 잠재적인 사고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실제 노후화된 상수도 시설물로 인해 단수, 누수, 수질오염, 지반함몰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시민들의 생활과 안전, 경제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AI를 기반으로 상수도관의 노후도 및 위험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을 인천광역시 서구로 선정하여 유량과 수질의 실시간 계측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딥러닝 기법 중 하나인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예측하였고, 결정계수(R2)와 RMSE(Root Mean Square Error)로 학습데이터와 검증데이터의 비율을 정하여 예측도를 평가하였다. 유량과 수질 데이터 중 80%는 학습데이터로 20%는 검증 데이터로 분리하였고, LSTM의 셀과레이어 수를 해석에 적합한 범위로 설정한 결과, 실제값과 예측값이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된 유량 및 수질의 결과는 상수도 관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고 위험도 평가와 관 노후화에 따른 대응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