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백질 분해효소

검색결과 1,074건 처리시간 0.033초

효소와 미생물의 복합 처리에 의한 두유박 단백질소재의 제조 (Production of a Protein Supplement from Soymilk Residues by Combined Use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 채희정;이만진;이종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73-77
    • /
    • 1998
  • 두유박의 단백질 소재화를 위하여 셀룰레이즈(cellulase), 단백질 분해효소, 코지(koji), 효모 등의 복합처리에 의한 가용화 방법이 고형분 및 단백질 회수율, 아미노산, 유기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셀룰레이즈와 단백질 분해효소를 복합 사용하여 두유박을 가수분해하는 것이 높은 고형분 회수율(80.2%) 및 단백질회수율(83.5%)을 얻을 수 있었고, 코지와 효모로 처리할 경우 유기산의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었으며 양조간장 특유의 맛과 향을 내는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셀룰레이즈로 처리한 가수분해물에서 유기산 함량이 높았다.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코지보다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한 경우에서 높았으며 셀룰레이즈 처리는 유리 아미노산 함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두유박 가수분해물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코지로 가수분해한 시료가 관능적으로 우수하였으나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구로 사용된 양조간장에 비해 낮았다.

  • PDF

단백소재 첨가물로서의 효소분해 대두 단백질의 특성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Enzymatically Hydrolyzed Soy Proteins for the Use in Protein Supplements)

  • 인만진;김민홍;채희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5호
    • /
    • pp.404-408
    • /
    • 1997
  •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대두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여 물리화학적인 특성과 응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단백질 함량이 60%이고, 가수분해도가 50%인 탈지대두박 분해물은 조미 소재의 기본 베이스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였고 이를 마일러드 반응시키고 조미하여 풍미를 향상시킨 가수분해물은 효소분해 간장 및 복합조미료의 원료로 사용 가능하였다. 대두분리단백의 가수분해물은 단백질 함량이 85%이며 평균 분자량이 250내외로서 환자식, 유아식, 스포츠 영양 등의 저엘러지 단백질원으로 적합하였다. 효소분해HVP의 염 함량은 2%이내로서 다른 원료와의 배합 사용량에 제한을 주지 않으면서 고 단백 제품의 개발을 용이하게 하였다. 대두박 분해의 부산물로 30%의 단백질 함량과 21%의 섬유소를 갖는 부산물이 생성되었으며 이는 식이섬유원, 보습제 또는 중량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있었다.

  • PDF

Pseudoalteromonas donghaensis HJ51의 체외 단백질 분해효소 특성과 생산 조건 (Characterization and optimum production condition of extracellular protease from Pseudoalteromonas donghaensis HJ51)

  • 오지성;최윤수;노동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75-80
    • /
    • 2015
  • 동해에서 분리된 Pseudoalteromonas donghaensis HJ51는 체외분비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신종 미생물로 보고되었다. 체외 단백질 분해효소의 특성과 최적 생산 조건을 결정하기 위해 crude supernatant을 사용하여 단백질 분해효소의 최적 활성 온도와 pH를 조사한 결과 $40^{\circ}C$와 pH 7.5-10.5이었으며, pH 11에서도 88%의 높은 상대적인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효소의 금속 요구성을 조사한 결과, $Fe^{3+}$를 10 mM로 첨가하였을 때 최대 효소활성 증가를 보였다. 최대의 효소생산 조건을 탐색한 결과, 기본배지인 PY-ASW (peptone 0.5%, yeast extract 1.0%, artificial seawater)에 탄소원을 첨가하지 않는 것이 가장 높았으며, 질소원으로는 peptone 보다 beef extract, tryptone, casmino acids을 각각 첨가했을 때 활성이 21, 7, 4%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P. donghaensis HJ51이 생산하는 효소는 알칼리성 pH 환경 및 저온환경에서 활성이 필요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통 메주 유래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한 대두단백 분해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oy Protein Hydrolysates with Enzymes Produced by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raditional Meju)

  • 정낙현;신용서;김성호;임무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0-88
    • /
    • 2003
  • 대두단백 가수분해 산물의 맛과 향을 개선하기 위해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system을 확립하기 위하여 단백질 가수분해 패턴이 서로 다른 효소로 생산된 단백 분해산물의 가수분해도와 표면 소수도 등을 측정하였다. 이들 분해물의 pattern을 SDS 전기영동으로 조사하였고, 효소반응에 의한 단백질분해물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균주가 생산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pH 변화에 따른 효소의 활성은 No. 16 효소(Bacillu megarerium Bl6)와 No. 4효소(Aspergillus oryzae M4)는 pH 7.0에서 No. 95효소(Bacillu subtilis YG 95)와 No. 5효소(Mucor circinelloides M5)는 8.0에서 가장 높은 효소반응 활성을 보였다. 또한 반응온도에 따른 효소활성의 크기는 4가지 효소 모두 45$^{\circ}C$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두단백질 분해물의 SDS 전기영동 pattern변화에서, Bacillus megaterium Bl6과 Mucor circinelloides M5의 효소 (No. 16, No. 5)는 반응 후 분자량이 비교적 큰 peptide가 많이 생성되었으며, 효소반응 3시간 경과 후에도 분자량 66KD의 peptide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Bacillus subtilis YG 95와 Aspergillus oryzae M4의 효소(No. 95, No. 4)는 분자량 15KD∼45KD 미만의 작은 분자량의 peptide 물질이 주로 생성되었으며, 반응 2시간 경과후에는 30KD 미만의 저분자 Peptide가 주로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HPLC 분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가수분해가 진행됨에 따라서 SDS 표면소수도가 크게 저하되었으며, Aspergillus oryzae M4 효소의 분해물의 가수분해도가 가장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No. 4(Aspergillus oryzae M4)와 No. 95(Bacillus subtilis YG 95) 가 강한 쓴맛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효소들을 조합해서 분해한 단백분해물을 관능검사한 결과, Aspergillus oryzae M4 효소와 조합된 것의 대두단백질 분해물이 비교적 강한 쓴맛을 나타내었다. 분해물의 단맛은 시료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Bacillu megarerium Bl6과 Aspergillus oryzae M4를 조합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단맛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효소특성을 이용하여 대두단백질을 가수분해를 하였을 때 다양한 단백질 분해물의 제조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어류의 장기조직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에 관한 연구 1. 고등어 유문수조직으로부터 3종의 알칼리성 단백질분해효소의 분리${\cdot}$정제 (The Proteinase Distributed in the Intestinal Organs of Fish 1. Purification of the Three Alkaline Proteinases from the Pyloric Caeca of Mackerel, Scomber japonicus)

  • 변재형;김형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37-546
    • /
    • 1986
  • 고등어 유문수조직중에 분포하는 알칼리성단백질분해효소의 정제조건을 검토하고 염석, DEAE-Sephadex A-5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Sephadex G-100 겔 여과에 의해 3종류의 알칼리성단백질분해효소의 분리${\cdot}$정제방법을 확립하였다. 유문수조직중에 분포하는 알칼리성단백질분해효소의 추출용매는 $1\%$ NaCl 용액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정제된 가칭 Enz, A, B 및 C의 각 알칼리성단백질분해효소는 전기영동적으로 균질함이 증명되었으며, 조효소에 비해 고유활성이 Enz. A는 34배, B는 53배 그리고 C는 37배로 각각 증가하였다. 각 효소의 수율은 조효소에 대해 $1.6\%,\;2.1\%$$1.5\%$였고, 총수율은 $5.2\%$였다.

  • PDF

참치 가공부산물로 부터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조미료 제재의 개발 1. 참치 가공부산물로 부터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 (Development of Functional Seasoning Agents from Skipjack Preparation By-product with Commercial Pretenses 1. Processing of Hydrolysate from Skipjack Processing By-product with Pretense Treatment)

  • 김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08-616
    • /
    • 1996
  • 참치 가공 부산물로 부터 유용한 식량소재를 찾기위한 목적으로 상업용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최적화한 조건에서 참치 가수 분해물을 제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8종의 상업용 단백질 분해효소에서 가격에 대한 효소활성도와 관능검사 결과치로부터 Pretease P가 최적 효소로 선정되었으며, 참치 가공 부산물 가수분해 과정중 원료 자체의 가수분해효과는 없었다. 반응표면분석 결과 결정계수(0.9460) 및 적합결여검증(P>0.1)을 통해, 본 실험의 디자인이 만족하게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일차식 및 이차식에서는 p<0.05%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다중회귀분석 및 능선분석 결과, 가수분해물 제조를 위한 최적 조건은 pH 7.2, 반응온도 $51^{\circ}C,$ 기질농도 33.3%, 기질에 대한 효소농도 0.48%에서 3.94시간 가수분해시 킬 때이며, 이때의 가수분해율은 64.88%였다.

  • PDF

Vibrio parahaemolyticus에 의한 Alkaline Pretense 생산조건(II)

  • 한종흔;강현록;황미경;김병철;양지영;차재호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17-118
    • /
    • 2000
  • 매년 많은 식중독 사고가 보고되고 있는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생선의 소비량이 많기 때문에 Salmonella 다음으로 Vibrio에 의한 식중독 사고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세균성 식중독은 일반적으로 미생물이 숙주세포에 침입을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숙주세포 표면의 여러 단백질 층을 분해해야 한다. 이때 작용하는 단백질 분해효소가 병원성에 직ㆍ간접적으로 관여된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비브리오균이 생산하는 여러 가지 단백질 분해효소가 인간이나 어류의 병원성에 관여되어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중략)

  • PDF

간장발효덧중에 생육하는 유용효모의 역활 (The Role of useful yeasts in the soy sauce mash)

  • 이택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7-92
    • /
    • 1972
  • Serratia marcescens가 생성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연구하기 위하여 효소의 활성도를 규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은 PH6.0과 PH7.5의 두 범주에서 최대로 나타났다. (2)45$^{\circ}C$에서 효소의 활성도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때 Serratia marcescens의 단밸질 분해효소는 중성 PH 범위에서 안정된 효소활성을 갖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다른 효소에 비해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활성도가 더욱 좋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홍삼 추출물의 제조에서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용 (Potential of proteolytic enzyme treatment for production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 김동청;이태정;인만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385-38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홍삼 추출물 제조과정에서 추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소를 선별하고 최적의 반응조건을 조사하였다. 상업용 단백질 분해효소 중 Alcalase가 단백질과 탄수화물 수율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효소 사용량은 홍삼 중량의 2%, 반응 시간은 1.5시간이 적당하였다. 최적의 반응조건으로 홍삼을 Alcalase로 처리한 결과 대조구보다 고형분 수율은 45.1%에서 71.1%로 50% 이상, 총페놀 함량은 0.44%에서 0.80%로 80% 이상 증가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대조군과 매우 유사하였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대조구의 1.48 mg/g에서 1.98 mg/g으로 30% 이상 증가하였다.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2형 당뇨 마우스의 혈당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lk Protein Hydrolysates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in db/db Diabetic Mice)

  • 신미진;박민정;윤명섭;이영숙;남문석;박인선;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343-1348
    • /
    • 2006
  • 본 연구는 누에고치를 효소 가수분해하여 얻은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2형 당뇨병 모델인 C57BL/KsJ db/db mouse에 혈당조절 및 혈장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2주령의 C57BL/KsJ db/db 마우스를 대조군과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 섭취군으로 나누어 8주 동안 음수로 섭취시켰다. 8주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 식이섭취량, 음수섭취량을 측정하고 매주 1회씩 4시간 공복 후 혈당변화를 관찰하였으며, 8주 후 모든 동물을 희생시킨 후 장기무게와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triglyceride와 cholesterol을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은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 섭취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장기무게는 간장의 경우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 섭취군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신장은 당뇨대조군에서 약간 증가하였으나 간장과 신장 모두에서 각 군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혈당은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 섭취 1주 후부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 섭취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당뇨대조군의 경우 초기 혈당에 비해 8주후 혈당은 약 18% 증가하였고,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은 초기혈당과 비교 시 약 5.8%증가하여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도당 부하후 측정한 내당능의 결과에서도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 섭취는 혈당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 섭취군의 혈청지질 중 total cholesterol과 non-HDL cholesterol은 당뇨대조군과 비교시 큰 차이가 없었으나, HDL-cholesterol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고 triglyceride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의 섭취는 혈당상승을 억제하며, 혈청 지질 중 triglyceride를 낮추고 HDL-cholesterol을 높여 혈청지질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