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독주택지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19초

단독주택지 경관개선을 위한 도시설계지침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rban Design Guidelines Development in Detached Housing Area for Residential Townscape)

  • 김묘정;이진욱;이명희;하재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urban design guidelines in detached housing areas for the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residential townscape. Through a detail examination and analysis of the urban design guidelines and landscape regulations of U.S.A, Japan, and Korea to be applied to detached housing area for residential townscape, the urban design guidelines in detached housing area was derived. Urban design guidelines are composed of building guidelines, landscape guidelines, street guidelines, and sign guidelines. The municipality have to make regulations in detached housing area for the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residential townscape based on this urban design guidelines.

단독주택지의 어린이공원 리모델링을 위한 아동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n Children's Needs for Children's Park Remodeling at Detached Residential Area)

  • 최병숙;박선희;안득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27-35
    • /
    • 2009
  • This survey is to find out children' needs of D children's park to remodel into a new one and their common opinions about the child playground, and to contribute these results to drive alternative plans. This park is very old and located in detached residential area, Wooa-dong, Deokjin-gu, Jeon-city. The survey was performed by a questionnaire, and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the relative literature reviews and was redesigned by resear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198 children, who had attended elementary school in Wooa-dong. By analyzing those data, findings were as follows: 1) Play experiences of D children's park were very important for children, so they remembered it. Above all, they remembered the perceptions of D children's park through playing on the playground facilitie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ir friends at that time. 2) Children would like to play creatively with facilities, but they need the traditional play facilities like a slide and a swing. So, it would be important for D children's park to plan well with the good facilities, and even it was mentioned in the literature reviews. The planning of park should be checked as an adventure playground, which can allow children to play creatively and with variety, however it should be still considered with some traditional playground facilities.

단독주택지의 어린이공원 리모델링을 위한 아동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Survey on Children's Remodeling needs for Play Park at Detached Residential Zone)

  • 최병숙;박선희;안득수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28-333
    • /
    • 2008
  • This survey study is to find out children' needs of 'D' child park to remodel into a new one and their common opinions to the child playground, and to contribute this results to drive alternative plans. This park is very old and located in detached residental zone, Wooa-dong, Deokjin-gu, Jeon-city. This was performed by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by researchers considering relative literatures. Data were collected from 198 children, who had attended elementary school in Wooa-dong. By analyzing those data,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o play experience of 'D' child park was very important for children, so they memoried it. Above all, they membered the perception of 'D' child park through playing with play facilitie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ir friends. 2) Children would like to play unrestricted plays, but to need traditional play facilities as like a slide and a swing. So, future playground would be planned to adventure playground with some traditional play facilities.

  • PDF

건축주-CM 방식의 소규모 건축공사에서 공정관리 성공 요인 (Success Factors of Scheduling in Small-Scale Building Construction with Owner-CM Delivery Method)

  • 김선규;김준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96-104
    • /
    • 2019
  • 최근 대도시 주변 중심으로 새로운 택지지구를 개발하거나, 오래전에 개발된 주거지를 새로운 택지로 재개발하는 사업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택지지구의 대지에는 건축주가 직접 건물을 지을 수 있는데, 건축주가 직접 집을 짓는 방식을 건축주 직영공사라고 한다. 건축주 직영공사에서 건축주가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CM)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면, 직영공사를 CM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공사수행방식을 건축주(Owner)-CM방식이라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소규모 건축공사의 수행방식이 건축주-CM방식인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는 건축주가 CM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인근에 개발된 단독주택단지내에 거의 동일한 시기에 직영공사로 지어진 유사한 규모의 상가주택들을 대상으로 공정관리 실제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건축주-CM방식으로 수행된 소규모 건축공사의 공정관리 사례로부터 소규모 건축공사에서의 공정관리 성공요인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공정관리 성공요인들은 향후 자신의 집을 직접 짓고자 하는 건축주들에게 의미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토지이용을 고려한 주차분석존(Parking Analysis Zone) 기반 주차 공급 및 운영 계획 모형 (PAZ-based Parking Supply and Operation Planning Model Considering Land Use)

  • 유정훈;허겸;류인곤;전교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659-669
    • /
    • 2022
  • 최근 주차문제는 구도심의 주택지역에서만이 아니라 계획도시인 신도시의 점포겸용 단독주택지, 근린생활시설, 상업지역 주변 등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차문제를 신도시 지구계획 단계에서 검토하여 신도시 건설 전에 주차문제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주차문제는 공급기반과 운영기반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원인에 따른 해결전략을 공급 및 운영측면에서 검토하여 효과성과 적용용이성의 정도에 따라 해결전략 적용 절차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차문제 검토 단위를 보다 세분화하는 PAZ (Parking Analysis Zone)를 분석 기초 단위로 제안하였으며, 하남 교산지구 토지이용계획을 기본으로 공급기반 주차난 우려지역을 검토하고, 하남 교산지구에 맞게 수립된 적용 절차에 따라 해당 PAZ별 주차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성시가지 단독주택지의 주거환경 만족도와 거주이동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Residential Choice: The Case of A Residential Area in the Built-up Area)

  • 임준홍;김한수;이철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5-22
    • /
    • 2003
  • The regeneration of built-up area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necessary measures for the effectiveness of urban growth management. In this vein, this study explores how to limit the number of people who leaves the built-up areas and to restore the area with the resident. For this, a residential area of the built-up area is analyzed in terms of why people in that area are moving out of the area and who fills in it after all. This study founds that narrow roads in a residential area and the changes in land use from residential purposes to commercial are major forces that push the people in the built-up area. In addition, the lack of welfare facilities, the pavement of roads, and pedestrian roads. education. crime. the lack of interaction between neighbors, and the quality of housing are all emerged contributing the loss of people in the built-up areas. It is recommended that all the factors here should be restored in an appropriate way. Another finding is that those who fill in the built-up area are largely over 50, self-employed, comparably wealthy, and having their own families. Hence, it is advised that the built-up area would be rearranged in order to attract those type of people in there.

도심주거지에 나타나는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에 대한 고찰 - 용산구 용산동2가 해방촌을 중심으로 - (Examination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n Urban Residential Area, Haebangchon)

  • 심주영;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2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화 과정에서 간과되었던 우리의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Urban Gardening)를 재발견하는 과정으로, 자생적 도심주거지 해방촌에서 나타나는 도시정원가꾸기의 이해와 장소적 특성 고찰을 통해 현대적 의미의 도시정원이 단독주택지 주민들의 삶과 연계하여 물리적 환경 개선과 지역 주민들간 관계 형성을 견고하게 하는 매개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지인 해방촌(解放村)은 자생적으로 형성된 단독주택지지역으로, 1940년대 후반 도시빈민의 임시 정착지로 형성되었으나 '60년대 주거지 양성화와 '70년대~'90년대 자력 재개발사업에 의한 현지 개량을 거치면서 서울 도심의 대표적인 서민 주거지로 자리 잡았다. 특히 이 지역은 용산 미군부대와 남산으로 둘러싸여 섬처럼 존재하는 지리적 여건을 지니며 주거지 개발의 붐에서 비켜 있었으므로 다른 도심주거지에 비해 물리적 환경변화가 적고 주민들 역시 오랜 시간동안 지역에서 거주해온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을 바탕으로 해방촌을 크게 3개의 권역으로 나누고, 도시 조직과 주거형태 변화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 도시정원가꾸기의 특징과 일상문화를 면밀히 관찰하였다. 서울민의 대중적 삶이 적층되어 있는 해방촌의 도시정원가꾸기는 근 현대 주거사의 변천과 생활상 변화에 따라 다양한 공간과 속성으로 변용, 진화해 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들 장소는 고밀화 된 주거지에서 발현된 자연-정원에 대한 주민들에 욕망의 표현이며, 가꾸기를 통해 드러나는 참여의 장, 실천적 행위의 장소이다. 지역 주민들의 삶의 양식이 누적된 독특한 일상생활문화로서 지역 고유의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주거와 마당-정원의 원형적 관계가 남아있는 단독주택지에서 도시정원은 반사적 공간의 공공적 공유가 발생하는 특성이 나타나며, 중층적 공간 구조 사이에서 창조적인 공간 사용을 발견한다. 협소한 대지의 효율적 공간 활용으로 나타나는 도시정원은 지역 주민들의 교류를 촉발하는 역할로서 마이크로 규모의 녹지 공간일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만들어진 정원의 도시 이미지를 형성한다. 도시정원에 대한 관심은 도시에서의 먹거리 생산이라는 역할을 넘어 건강과 취미, 교육, 공동체 회복 등 도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측면과 닿아 있다.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는 사소한 다수가 발휘하는 고유한 역량과 독특한 특성에 대한 재발견으로 일상생활문화로서의 공간 활용과 장소에 내재된 가능성, 가치의 중요성을 다시금 상기한다.

미매각 토지의 원인진단 및 가치제고 사업지구 선정 방안 (Characteristics of Unsold Land and Sites Needing Value Enhancement)

  • 정연우;이상준;성장환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3호
    • /
    • pp.259-270
    • /
    • 2013
  • 본 논문은 가치제고 대안의 적용 여건을 감안한 미매각 토지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내리고, 공사 사업지구의 미매각 토지 현황과 원인을 진단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매각 토지의 개념을 용지 매각을 위한 판매비 지출시점 이후부터 사업 준공까지 판매되지 못한 토지로서, 사업시행자의 자체사용분이 아닌 지자체 민간 등을 대상으로 판매를 지속하는 토지 중 부분적으로 계획변경이 가능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둘째, 2012년 기준으로 진행중인 226개 사업지구의 미매각 현황을 분석하였다. 전체 유상면적 $195km^2$의 74.8%에 해당하는 $146km^2$가 미매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지별로는 공동택지($38km^2$), 산업용지($21km^2$), 단독택지($16.4km^2$), 상업업무용지($12.5km^2$), 교육청사($10.2km^2$)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치제고 사업지구를 선정하고 해당 지구의 미매각 현상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평균 미매각 비율 이상인 사업지구를 대상으로 실무자 및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수도권 6개, 지방권 2개 사업지구를 최종 선정하였다. 8개 사업지구의 용지별 매각현황을 분석한 결과, 주로 중대형 공동주택과 도시지원시설용지, 블록형 단독 및 연립주택용지 매각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8개 사업지구는 공통적으로 경기변동, 시장수요변화 등 외부적 측면과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경직된 계획기준 등 내부적 측면의 원인을 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구시 기반시설양호 주택지의 주민의식과 환경 개선 방향 (How to Improve the Environments of Detached Housing Areas with Moderate-quality Infrastructure Effectively in a Case of Daegu City)

  • 조득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11-122
    • /
    • 2010
  • A regional planning is central to addressing various urban problems surrounding the detached housing areas of a metropolitan city of Daegu. The problems are related with decrease in population, socio-economic issues of redevelopment and a sustainable society, the various housing market and housing rights, and a need to explore a desirable alternative to enhance the civil needs when renovating General Residential Zon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a possible method of residents led environmental improvement by surveying the residents' consciousness in low-density residential areas. The residents wish to have a residential parking permit program to be set up in place and financial support for old independent houses and finally for lampposts and CCTV to be installed by the administrative assistants. The 75.7 per cent residents who inhabit in the low-density residential areas wish that a residential environmental improvement plan is required and the population at 65.9 per cent could consider a need for the citizens to participate in the residential improvement. 70.3 per cent answered that a consultative group of inhabitants is needed to be built, while 40.5 per cent expressed that they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that group in case the group is set up. The possibility of productive residential improvement via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low-density residential areas is high, as long as small various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are created, a resident-consultative group formed, and finally a residential improvement plan is addressed in a comprehensive way.

분류식 하수지역의 초기 유출수 오염저감을 위한 용도지구별 적지 분석 (Zoning Suitability Analysis to Reduce First-flush Runoff Contamination in a Separated Sewer System)

  • 박인혁;하성룡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2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강우 시 발생하는 초기 유출수의 오염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용도지구별 최적지를 분석하여, 용도지구를 재구성하고, 이에 따라 배출되는 오염물의 저감효과를 도시수문모형을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이를 위해 지표에 축적되어 있는 비점오염원의 양을 조사하였으며 대상지역의 강우유출수를 조사하였다. 조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초기 유출수 오염저감을 위한 입지조건을 설정하고 각 인자별 적지를 분석하였다. 각 인자별 가중치 설정을 위해 AHP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산출된 가중치와 입지조건별 적지 점수를 연산하여 최종 적지를 분석하고 도시수문모형을 통해 저감효과를 모의하였다. 적지분석 결과, 단독주택지와 아파트 지역은 현재 용도지구와 흡사한 지역에 적지가 분석되었다. 학교지역은 현재의 상업지역의 중심지가 적지로 분석되었고 공원지역은 소규모 공원의 적지가 추가되었다. 상업지역은 대상지의 가장 안쪽의 지역이 적지로 분석되었다. 용도지구 변경에 따른 저감효과 모의 결과, 초기유출수의 BOD 농도가 최대 91.2%에서 최저 0.09% 감소하였다. SS의 농도는 최대 72.74%에서 최저 0.31%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