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닥나무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axonomic study of Broussonetia (Moraceae) in Korea (한국산 닥나무속(Broussonetia, 뽕나무과)의 분류학적 연구)

  • Yun, Kyeong-Won;Kim, Muyeol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9 no.2
    • /
    • pp.80-85
    • /
    • 2009
  • Three Korean Broussonetia species (Moraceae) were reexamin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The plants which has been used for making traditional paper Hanji in Korea are considered hybrid species between B. kazinoki and B. papyrifera, its natural habitat was firstly discovered in Is. Gageo (Jeonnam Province). Thus it is newly described as B. ${\times}$ hanjiana M. Kim. Its Korean name is changed into Daknamu instead of Kkujidaknamu. Therefore, Korean name for B. kazinoki is also changed into Aegidaknamu instead of Daknamu. Dioecious plants of Broussonetia kazinoki which were found in Is. Gageo are named as B. kazinoki for. koreana M. Kim (Gageo-Aegidaknamu).

Molecular Phylogenetic and Dendrological Study of Paper-mulberry (B. kazinoki) in Gyeongsang-do Region (경상도지역 닥나무의 수목학 및 분자계통학적 연구)

  • Go, In Hee;Jo, Ah Hyeon;Jang, Kyung Ju;Park, Kyu Tae;Park, Sun Mi;Park, Seon Joo;Jeong, Seon Hwa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68-68
    • /
    • 2019
  • 닥나무(Paper mulberry)는 뽕나무과(Moraceae) 닥나무속(Broussonetia)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중국, 일본, 한국 등에 자생하며 Hutchinson(1967)에 의하면 닥나무 속은 열대, 아열대, 난대지방에서 자라는 낙엽성 관목으로 세계적으로 약 6종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닥나무의 품종을 구분하는 것은 수목학적 관점으로 잎의 성상, 줄기의 색과 무늬 유무로 구분한다. 그러나 상기의 수목학적 특징은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Siebold)와 꾸지나무[Broussonetia papyrifera (L.) L'Her. ex Vent.]가 유사하여 오동정의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경상도지역에서는 닥나무를 참닥나무, 머구닥나무, 개닥나무 3가지의 향명으로 구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도지역 9개체 닥나무를 대상으로 수목학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식물종의 기준을 명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엽록체 속의 matK, trnL-F, ndhF, 3개 마커와 핵에 존재하는 ITS, 총 4개 마커의 염기서열을 생산하였고 상기 구간에서 얻어진 염기서열 비교분석 및 계통학적 분류를 통해 유연관계를 파악하였다. 수목학적 관점으로는 품종을 명확하게 구분하기가 어려웠으며 분자계통학적 연구로 모든 시료는 닥나무와 꾸지나무의 교잡종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전통한지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닥나무류 식물자원의 분류체계의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 PDF

Effect of Fruit or Powder from the Fruit of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on Tenderness and Palatability of Jangchorim (닥나무 열매의 알갱이와 분말첨가가 장조림의 맛과 연화에 미치는 영향)

  • 윤숙자;김나영;장명숙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1 no.4
    • /
    • pp.330-336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the fruit and powder (0, 5, 10, 15, 20%) from the fruit of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on the tenderness and palatability of Jangchorim. When up to 20% of the fruit of paper mulberry contributes to 6.2∼7.0% decreasing rate in shear force while its powder, a 10.2∼18.4% reduction rate. An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fruits of paper mulberry added, regardless of its types, cooking loss was somewhat decreased, redness of surface of cooked beef and free amino acid content extractes in the liquid part of Jangchorim was generally increased. Na, K, P, Ca, and Mg was so forth in quantity order. In sensory characteristics, the 15% fruit of paper mulberry additive group and the 10% additive group in the its powder type showed the most favorable response.

  • PDF

Characteristics as Pulp and Papermaking Resources of Paper-mulberry (B. kazinoki) woods in Jeolla-do Region with Identically Genetic Marker (유전형질이 동일한 전라도지역 닥나무의 펄프제지 자원으로써의 특성)

  • Jo, Ah Hyeon;Go, In Hee;Jang, Kyung Ju;Park, Kyu Tae;Park, Sun Mi;Park, Seon Joo;Jeong, Seon Hwa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67-67
    • /
    • 2019
  • 뽕나무과(Moraceae) 닥나무속(Broussonetia)의 품종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으로는 잎의 성상이나 암꽃의 포길이, 엽신의 폭과 같은 수목학 분수학적 관점으로 특징을 파악하기 때문에 구분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Siebold)와 꾸지나무[Broussonetia papyrifera (L.) $L^{\prime}H{\acute{e}}r.$ ex Vent.]의 수목학적 특징이 유사하여 오동정의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닥나무의 향명은 다양하게 불리지만 그 분류기준은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총 4개 마커(ITS, matK, trnL-F, ndhF)의 염기서열 분석과 분자계통학적 분류를 통해 닥나무와 꾸지나무의 교잡종으로 확인된 전라도지역 닥나무 8개체에 대하여 펄프제지 자원으로써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8개체 인피섬유의 형태학적 특징인 섬유장, 섬유폭, 섬유 내강(Lumen)폭을 통해 Runkel ratio, Slenderness ratio, Flexibility coefficient, Rigidity coefficient를 도출하고 종이의 기계적 강도, 내절도와의 상관관계, 섬유와 섬유간의 결합력 등을 예측하였다. 상기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전형질이 동일한 전라도지역 닥나무의 형태학적 특성을 통해 펄프제지 공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분석 하였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다양한 품질의 종이를 제조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 PDF

Natur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Wikstroemia trichotoma and W. ganpi, Thymelaeaceae (산닥나무(Wikstroemia trichotoma), 거문도닥나무(W. ganpi) 자생지 생육환경 및 입지환경 특성)

  • Yonghwan Son;Hyun-Jun Kim;Sun-Young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60-60
    • /
    • 2022
  •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산닥나무속(Wikstroemia) 식물은 산닥나무[Wikstroemia trichotoma (Thunb.) Makino], 거문도닥나무[W. ganpi (Siebold & Zucc.) Maxim.] 2종이 분포하고 있다. 산닥나무는 낮은 산지의 그늘진 계곡에서 주로 자생하며, 거문도닥나무는 임연부에서 주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자생지는 기후변화, 남획 등을 이유로 과거에 비하여 축소되어 유전자원의 현지 내·외 보전이 적극적으로 권장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지닥나무, 산닥나무, 거문도닥나무의 생육환경 특성을 파악하여 보존 및 증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확인된 자생지는 3지역 7개소로 산닥나무는 순천지역, 영암지역, 거문도닥나무는 고흥지역에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닥나무는 해발고도 72-248 m, 사면 방위는 북사면, 동사면, 경사는 30-55°의 급경사지에서 주로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방형구(10×10 m) 내 개체수는 8-20 개체가 확인되었다. 거문도닥나무는 해발고도 65-76 m, 사면방위는 동사면, 경사는 20-60°, 개체수는 15-25 개체가 확인되었다. 군집분석은 지표종 분석을 통해 가장 유의한 2개 군집으로 나뉘었으며, 산닥나무는 소나무 군집(Pinus densiflora Sieblod & Zucc.), 거문도닥나무는 곰솔(Pinus thunbergii Parl.) 군집으로 확인되었다. 군집의 안전성, 다양성을 나타내는 척도인 종다양성,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및 우점도지수는 소나무 군집 1.2303, 1.2788, 0.9621, 0.0389, 곰솔 군집이 1.1821, 1.2359, 0.9552, 0.0448로 확인되었다.

  • PDF

Effect of Extract or Crude Enzyme Extracted from the Fruit of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on Tenderness and Palatability of Jangchorim (닥나무 열매(緖寶子)의 농축액과 조효소가 장조림의 맛과 연화에 미치는 영향)

  • 윤숙자;장명숙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3 no.5
    • /
    • pp.617-62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the extract (0, 2, 4, 6, 8%) and crude enzyme (0, 0.05, 0.1, 0.5, 1%) extracted from the fruits of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on the tenderness and palatability of Jangchorim. Addition of up to 8% of the extract diminished the shear force by 4.8∼27%, while the addition of up to 1% of the crude enzyme begot 7.8∼34.2% decrease. Also, as the addition of the fruits of paper mulberry increased, the cooking loss was somewhat decreased, an the redness of cooked beef surface and free amino acid content in the liquid part of Jangchorim were generally increased. The contents of the mineral were in the order of Na, K, P, Ca, and Mg when crude enzyme was added. In sensory evaluation, the 4% crude extract from the fruit of paper mulberry and 0.1% addition in its crude enzyme showed the most favorable response.

  • PDF

The properties of Proteolytic Enzymes from the Fruit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닥나무 열매(楮實子)에서 추출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윤숙자;오평수;장명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2 no.6
    • /
    • pp.803-806
    • /
    • 1993
  • The properties of proteolytic enzymes from the fruit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were investigated. The protease activity of the enzymes from the fruit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was 1.6 unit.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of the enzymes were $60^{\circ}C$ and 7.0, respectively. The enzymes were stable at pH values from 6 to 8 for 1 hr. at $37^{\circ}C$ of incubation and also retained all activity after incubation for 1 hr. at $60^{\circ}C$. The enzyme preparations showed strong activities toward hemoglobin and collagen.

  • PDF

Propagation of Endangered Species,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via in vitro Bud Culture (멸종위기종 두메닥나무(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의 줄기 기내배양을 통한 식물체 생산)

  • Chu, Yerin;Park, Sanghee;Cheong, Eun J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9 no.2
    • /
    • pp.189-194
    • /
    • 2020
  •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is native to Korea and is distributedin Kangwon-do, Jeollabuk do, and Gyeongsang-do. This economically valuable species has experienced a dramatic decrease in natural habitat due to climate change and is difficult to cultivat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a mass propagation method for D. pseudomezereum through in vitro culture and genetic resource preservation.WPM medium was better than the MS medium for shoot growth. As a result, we compared the shoot number and length of apical (W/AP) and non-apical shoots (W0/AP) with BA and GA3 treatments in WPM medium. Their shoots and length grew well in both BA 8ìM + GA38ìM-treated apical shoot and without-apical shoot. NAA did not effectively induce rooting of the in vitro plantlet.

SEM 및 AFM을 이용한 한지의 특성 분석

  • 최태호;조남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41-141
    • /
    • 2000
  • 한지의 제조에 있어서 부원료인 점질물은 초지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 주된 역 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점질물은 섬유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종이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양지와는 달리 박엽지의 제조가 편리하고, 종이의 경도를 증가시키며, 습지의 처리를 용이하 게 하며, 점성으로 인하여 섬유의 침전올 방지하고, 종이의 광택을 향상시키는 둥 매우 중요 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한지 제조시 이러한 식물성 점제의 미묘한 작용은 현재 대다수의 한지 제조 공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합성점제인 PAM이나 PEO 등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에 서는 기대하기 어려운 작용이라 여겨진다. 이와 같은 사실에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천 연점질물인 황촉규근의 점질물과 합성점제인 PAM 및 우리 나라에서 전혀 사용되지 않고 있는 나무수국 내수피의 점질물을 이용하여 한지를 제조하고 이들 한지의 특성을 SEM 및 A AFM(Atomic Force Microscop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각각의 점질물로 제조한 한지를 SEM으로 관찰한 결과 닥나무 인피섬유의 최외층에 투명막이 존재하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투명막은 닥나무나 뽕나무 인피섬유에 만 존재하고 삼지닥나무나 산닥나무 둥과 같은 기타 인피섬유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한지 의 원료 섬유의 식별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또한 이러한 투명막은 섬유간 결합을 증 대시켜 한지의 강도 발현에 기여한다고 사료된다. 천연점질물인 황촉규근과 나무수국 점 질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한지를 SEM 및 SEM-EDX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황촉규근 점질물로 제조한 한지에는 상당량의 전분입자가 폰재하고 있었으며 나무수국 점질물로 제 조한 한지에는 침상의 수산칼슐 결정이 상당량 존재하고 있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한지 제조시 사용된 점질물의 식별에 중요한 요소라 사료된다. 한지의 원료인 닥나무 인피펄프와 침엽수 미표백 크라프트 펄프를 AFM을 이용하여 분석 한 결과, 닥나무 인피펄프의 마이크로피브릴 폭은 5-10nm로 Sw-UKP의 마이크로피브릴 폭 lO-20nm보다 매우 가늘고, 치밀한 세포벽 구조를 하고 있었다. 닥나무 인피펄프의 이러 한 세포벽 구조 및 마이크로피브렬의 형태가 Sw-UKP보다 높은 섬유강도를 나타내는 원인 이라 사료된다. 각각의 점질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한지의 섬유표면을 AFM을 이용하여 관 찰한 결과, 원료펄프의 표면관찰에서와는 달리 초지시 사용된 점질물이 섬유표면을 피복하 고 있어 명확한 형태의 마이크로피브렬을 관찰할 수 가 없었다. 따라서 점질물의 이러한 역 할이 한지의 강도 및 보존성 향상에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 PDF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Polymer Microspheres Containing Broussonetia Kazinoki Root Extract (닥나무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분자 마이크로입자 제조 및 평가)

  • Lim, Hyung Jun;Lee, Jin Young;Kim, Han Byul;Kim, Do-Hoon;Shin, Song Seok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39 no.2
    • /
    • pp.89-96
    • /
    • 2013
  • This study demonstrate that polymeric microspheres composed of poly (ethylene adipate) (PEA) and 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can encapsulate and remarkably stabilize Broussonetia kazinoki root extract. We compared the long-term stability and the activity of Broussonetia kazinoki root extract in polymeric microspheres fabricated with different polymer ratio of PEA and PMMA. PMMA was incorporated to the PEA microsphere in order to reinforce the physical strength of microsphere, and there was no noticeable negative effect on the activity of Broussonetia kazinoki root extract. Optical microscope (OM), polarized microscope (P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results showed that PMMA incorporated microspheres were very spherical and had smoothsurface. On the other hand, PEA microspheres showed relatively irregular morphology due to the low physical strength of microspheres. Moreover, the mushroom tyrosinase activities were measured for testing the inhibitory activity of Broussonetia kazinoki root extract encapsulated in polymeric microspheres, and these microspheres showed the effective suppression of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Consequently, polymeric microspheres produced in this study may be beneficial for the research of improving stability and protecting labile substances incorporated into the polymeric microsphe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