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학제성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1초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의 선천성 영구치 치아결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genitally Missing Permanent Teeth in Wonju Severance Christian Hospital)

  • 나채현;김지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5-46
    • /
    • 2023
  • 선천성 치아결손은 구강 내에서 가장 호발하는 치아 이상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2011년 3월 11일부터 2021년 5월 31일까지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촬영한 7 - 15세 환자들 1865명에 대한 선천성 치아결손의 발생빈도, 분포 및 대칭성에 대해 조사 및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1 - 2개의 선천성 치아결손을 가지고 있었으며, 주로 제2소구치와 측절치에서 발생하였다. 선천성 치아결손은 상악에 비해 하악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고, 좌/우측 간에는 유의한 발생빈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선천성 치아결손은 치아에 따라 좌/우측 및 상/하악 대칭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선천성 치아결손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조기 구강검진과 방사선 검사가 요구되며, 다학제 진료를 통한 적절한 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재래닭의 의안연구 (A study on a medical chart about native chicken)

  • 이강현;지중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617-623
    • /
    • 2014
  • 본 연구는 전통의학문헌에 나타난 재래닭 관련 의안을 분석하여 재래닭의 약리작용 성분을 정리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민간치료 자료의 처방과 기존의 한의서에 기술된 다양한 재래 닭 처방과의 상이성 및 공통점을 찾아 분석하여 과학적 검증이 가능한 내용에 대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분석된 내용을 구분 정리하여 DB를 구축하고, 전통의서에 수재된 처방, 한약, 생약 및 특수 치료 방법에 대한 유용성 평가를 통하여 닭 관련 제품개발과 다양한 기능성 식품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국가 지식자원의 지속적인 확충과 전문인력 양성 및 지식문화 관련사업의 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을 육성하고자 한다. 재래닭 관련 처방지식에 대한 검색 및 정보 관리체계의 정형화가 난해하므로 규격화, 개념화, 형식화한 전통의학 재래닭 처방지식 DB를 구축하여 다학제간의 연구시스템을 통한 고의학 서적의 약학적 유용성을 평가하고 대체의학이나 기능성 식품개발의 실용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거점 공공병원의 폐렴 적정성 평가 지표 개선을 위한 융복합 실행연구 (An Action Convergence Research to Improve Evaluation Index of Pneumonia Adequacy in Regional Public Hospital)

  • 최은영;박연임;강승주;김자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19-27
    • /
    • 2023
  • 본 연구는 지역거점 공공병원의 폐렴 적정성 평가 지표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행연구이다. 이 연구는 N시에 소재한 지역거점 공공병원에 근무하는 내과의사 1명, 간호사 8명, 전산실 직원 1명, 간호학 교수 1명이 참여하였으며 2021년 3월부터 10월까지 이루어졌다. Zuber-Skerritt & Fletcher의 개념모형을 바탕으로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계획, 실행, 평가, 성찰의 단계를 2 cycle 로 운영하면서 2분기와 3분기에 효과평가를 하였으며 폐렴 적정성 평가지표를 효과평가의 도구로 사용하였다. 2019년 폐렴 적정성 평가지표와 비교하여 2021년에는 모든 지표가 기준목표에 100% 도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보다 질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학제간 참여와 협조 아래 실행연구를 통한 의료 질 개선 활동을 적용하고 임상현장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뇌신경 III-XII의 정상 자기공명영상 소견 (Normal Anatomy of Cranial Nerves III-XII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 김형진;성민정;김이경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501-529
    • /
    • 2020
  •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때문에 뇌신경 질환의 신경영상검사는 항상 어려운 과제이다. 최근 자기공명영상(이하 MRI) 기법의 발달로 많은 경우에서 뇌신경 질환의 원인이 규명되고 있으며, 신경영상의학 의사들은 다학제 팀의 핵심적 팀원으로서 다양한 뇌신경 질환의 원활한 진단을 위하여 MRI에서 관찰되는 뇌신경의 세밀한 해부학적 구조를 잘 알아야 한다. 이 종설에서는 말초성 뇌신경 III-XII에 대해 뇌간으로부터 두개 밖까지 해부학적으로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구역별로 분류하여 각 구역에서 보이는 뇌신경의 정상 해부학 및 MRI 소견을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각 구역에서 가장 적합한 MRI 기법에 관하여도 기술하고자 한다.

디자인 논문에 대한 통계적 기법 활용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Focu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 이경미;백진경;유연식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99-110
    • /
    • 2003
  •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현대적 개념의 디자인은 제품 개발에 있어서 디자이너 개인의 감각에 의존하기보다는 소비자와의 요구와 제품에 대한 반응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는 인터랙션 디자인의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사회학, 인문학, 공학, 경영학 등 여러 학문분야의 속성을 공유하는 다학제 적 특징을 지닌 응용학문으로 인식되면서 학문으로서의 연구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디자인 분야는 인접학문에서 자주 사용되던 통계적 기법들의 사용빈도가 늘어가고 있다. 통계적 기법의 활용은 논문을 좀 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것으로 만드는 근간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디자인 학문 역시 논문에서 통계적 기법의 활용 빈도가 늘어나리라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연구 논문에서 사용된 통계적 기법의 적정성 여부를 평가하여 디자인 학 분야의 연구활동에 참고하고자 한다. 디자인 학회는 1980년에 창간호를 발간한 후 2002년까지 48권 이상의 디자인학회지인 $\boxDr$디자인학연구$\boxUl$ 를 발간해오고 있다. 디자인에 관한 학문의 기초의 근간을 마련하고 있는 $\boxDr$디자인학연구$\boxUl$ 지에 실진 논문들을 대상으로 활용된 통계적 기법의 종류와 적절하게 사용되었는지의 타당성 평가를 실시하고자한다. 이를 통해 $\boxDr$디자인학연구$\boxUl$ 지가 깊이 있는 연구의 장이 되고, 논문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한국 국제이해교육의 평가와 과제 (Evaluation and Future Tasks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n Korea)

  • 김현덕
    • 비교교육연구
    • /
    • 제18권4호
    • /
    • pp.57-81
    • /
    • 2008
  •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의 상호의존성이 증가하면서 미국 및 유럽의 국가들을 중심으로 발전해온 국제이해교육은 한국의 경우 90년대 문민정부가 표방한 세계화 정책에 의해 주목을 받았고, 2000년대 들어와 학문적 논의가 시작되어온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갖고 있다. 국가적 관심을 받고 활성화 된지 10여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그 동안 우리나라 국제이해교육의 발전과정을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제이해교육은 유네스코 중심의 틀에서 벗어나 주도세력이 좀 더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국제이해교육의 학제적 성격을 보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협력하여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의 수립도 필요하다. 국제이해교육의 내용적 측면에서는 국제이해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세계의 상호의존성, 세계적인 시각, 문화간 이해가 보다 더 강조될 필요가 있으며, 인권존중, 평화로운 세계, 지속가능한 발전 등의 영역은 세계이슈라는 한 개의 영역으로 통합되어 상호연계성을 갖고 국제이해교육의 관점에서 접근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안을 기초로 국제이해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논의하였고,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사회가 다문화사회화 되면서 최근 교육적 논의의 초점이 되고 있는 다문화교육과의 상호관계에 대한 고찰과 함께 이 두 교육분야의 상호 협력방안을 모색하였다.

임상간호사를 위한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erson-Centered Nursing Educational Program for Clinical Nurses)

  • 유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65-375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위한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대표적인 교수체제설계인 ADDIE 모형에 기초하여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고, 실험 전 동질성 검정은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검정은 repeated measures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전 사후 효과 차이에 대한 분석은 paired t-test로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자기인식, 대인관계능력, 동료지지 및 간호직무만족은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로 확인되었다.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을 이직이 높은 부서나 저 연차 임상간호사의 간호교육 중재로 활용할 것과 개인에서 조직으로 확대 적용하여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다학제 간 협력을 기반으로 한 대상자 간호를 수행하는 데 있어 간호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시도되기를 제안한다.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상호작용 치료시스템의 디자인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Interactive Therapy System for Children with Autism)

  • 최민영;이현진;이장한
    • 감성과학
    • /
    • 제13권4호
    • /
    • pp.777-788
    • /
    • 2010
  • 발달장애아동은 사회적 의사소통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이른 시기의 진단과 의학적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발달장애아동들은 공공 복지기관과 전문 의료시스템의 부족으로 인하여 의학적 치료에 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적은 수의 아동만을 대상으로 해야 되는 일대일 면접치료방법의 특이성으로 인하여 발달장애 아동은 장소, 시간, 비용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상호작용의 기술과 보조기술,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으며, 본 논문은 이러한 상호작용 디자인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더 나아가 치료시스템의 구체적 디자인개발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학제간 협업, 빠른 프로보타입 개발, 전문가와 사용자 평가중심의 프로세스, 가상현실 기술, 시나리오 중심의 디자인을 주요 개발 방법론으로 적용하여, 상호작용치료시스템(ITS)의 구체적 사례를 개발하였다. 또한 상호작용치료시스템(ITS)을 치료기관과 협력하여 실제 임상실험에 적용함으로서 이러한 상호작용 다자인의 효용성과 타당성, 활용방안 등을 검증하였다.

  • PDF

신약개발에서의 AI 기술 활용 현황과 미래 (Present Status and Future of AI-based Drug Discovery)

  • 정명희;권원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1797-1808
    • /
    • 2021
  •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기술 중 가장 핵심적인 기술로 꼽히고 있는 인공지능은 다양한 분야에 접목되면서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져오고 있다. 바이오 분야 역시 예외는 아니어서 컴퓨터, 전기·전자, 기계 등 타 학문과 융합되면서 방대한 데이터 기반의 AI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신약개발에서 AI 기술 도입은 신약개발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효능 및 품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신약개발은 다학제 분야가 접목된 융합 분야이고 개발 과정 단계별로 결과의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어 실용적 수준의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화학, 생물학, 독성학, 약동학 등 전문지식의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AI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신약개발은 크게 주어진 질병에 대한 타겟 물질 발굴 및 검증, 히트 및 선도물질 발굴, 도출된 화합물에 대한 합성 가능성 및 효능 등에 대한 평가(Scoring)를 거쳐 최적의 신약 후보 물질을 발굴하고 마지막으로 전임상과 임상 과정의 단계를 거친다. 이때 AI 기술은 모든 단계에서 적용될 수 있고 단계마다 특화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약개발을 위해 적용되고 있는 AI 기술 현황과 현재 기술의 한계를 살펴보고 향후 신약개발에서 AI 기술의 발전 방향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에서의 리빙랩 적용 사례 분석 (Analysis of Living Lab Cases in R&D Initiatives for Solving Societal Problems and Challenges)

  • 성지은;정서화;한규영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77-217
    • /
    • 2018
  • 이 글은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에서 진행된 리빙랩 활동을 검토하고 그 의의와 과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사례는 2014년에서 2015년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한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 중 대표 사례인 '안저카메라 기술개발'과 '보행자 자동감지 시스템 개발'을 대상으로 한다. 분석 결과 두 사례 모두 리빙랩 방법론을 활용하여 기술개발부터 실용화 단계까지 사용자 참여형 연구개발 구조로 설계되었다. 즉 리빙랩은 최종 사용자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최종 수요를 구체화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 실증할 수 있는 있는 하부구조로 기술-제품-서비스를 진화시키는 시스템으로 작동하였다. 1차 시도된 단계이나, 그 과정에서 최종 수혜자인 국민의 관점을 반영하면서 R&D 성과를 확산시키고 새롭게 일하는 방식을 만드는 계기를 만들어내고 있다. 향후 리빙랩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명확한 문제 인식과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최종사용자, 매개사용자, 기업, 시민사회 등 관련 주체의 적극적인 참여 및 조직화를 필요로 한다. 현재 리빙랩 활동은 소수의 전문가가 의제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리빙랩 실험과 함께 시행착오를 통한 학습 체계의 구축이 중요한 과제이다. 또한 현장지향성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일반시민 담당 공무원을 포함한 과학기술자, 정책 전문가, 현장 활동가 등을 포함하는 다학제 초학제 연구팀의 구성과 운영이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