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학문적 주제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7초

DDC의 학제적 주제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Interdisciplinary Subjects in DDC)

  • 김비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33-351
    • /
    • 2011
  • 점차 학문의 경계가 약화되고 학제적 또는 다학문적인 주제가 증가함에 따라 지금까지의 분류방법만으로 이들 주제를 표현하는데 분류체계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학제적 주제의 분류개선을 위해 본 연구는 분류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현행 DDC의 분류지침을 평가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분과학문 간의 통합수준에 따라 주제의 유형을 '학제적 주제'와 '다학문적 주제'로 구분하여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분류기호의 부여 및 배열의 일관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분류지침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호의 표현력을 높이기 위한 분석합성식 기법의 적용방안이 검토되었다.

구성주의 지리교육의 실천적 구성을 위한 현장 연구 II (An Action Research for the practical construction of the constuctivist geographic education II)

  • 송언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1-160
    • /
    • 2001
  • 본 논문은 지리교육의 통합을 위한 논리적 토대와 준거틀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통합의 구성원리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새로운 지리교육이 삶과 삶의 터전을 위한 것이라면, 지리교육은 삶의 통합적인 모습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 2) 지리교육과정의 통합은 지역을 중심으로, 그 속의 지리적 현상을 주제로 간학문적.초학문적 통합의 장점이 조화된 통합 방식이 가장 적절하다. 3) 지역 중심의 주제를 통한 통합지리교육의 주목적은 학습자들이 자신들의 삶의 터전 속에 내재된 지리적 의미를 찾아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며, 부차적으로 이 과정에서 관련된 지리적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4) 통합지리교육은 지역화 지리교과서 편찬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 PDF

주제 중심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s a Thematic Approach)

  • 박만구;장혜원;김은혜;조두경;김윤선;유대현;남미선;김주숙;박원규;탁병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1호
    • /
    • pp.79-9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주제 중심의 수학교과서를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여 차후 수학교과서 개발에 유의미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학문적(multi-disciplinary), 간학문적(inter-disciplinary), 탈학문적(extra-disciplinary) 융합의 형태로, '건강한 삶', '지속가능한 삶', '더불어 사는 삶'이라는 주제 중심의 수학교과서를 개발하였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각 주제별 2개 반, 총 6반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한 삶', '지속가능한 삶' 주제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의 성취도 평균이 높았으나 '더불어 사는 삶' 주제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의 성취도 평균이 낮았다. 반면 주제 중심 문항 점수의 경우, '건강한 삶', '지속가능한 삶'에서는 실험반의 점수가 비교반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더불어 사는 삶'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수학 태도 검사 결과는 세 주제에서 사전, 사후 모두 실험반의 평균이 비교반보다 높았다. 그리고 주제 중심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정규교육과정에 포함시키려는 노력, 교사를 위한 자료의 제공, 융통성 있는 사용 등을 위한 연구가 지속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Exploring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Acceptance of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이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63-7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동향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국내 학술데이터베이스에서 연구 주제와 관련된 키워드 검색을 이용하여 현재 시점까지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 결과 총 36개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내용 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여 발표 연도, 학문 분야, 연구 주제, 연구 방법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0년 관련 연구가 처음 수행된 이후로 해당 주제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문 분야별로는 교육학 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주제와 관련하여서는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주제의 비중이 높았으며, 양적 연구 방법이 절대적으로 우세하게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연구에서 연구 주제, 학문 분야 및 방법론에 있어 범위를 넓히기 위한 학문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한국 교육복지 연구 동향 (Trends in Education Welfare Research in Korea)

  • 진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0-269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 교육복지 연구를 분석하여 학문적 위치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방향과 함의를 얻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석사,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총 596편의 연구 주제, 대상, 방법에 대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복지 연구가 사회복지학 뿐 아니라 교육학 등 인접 학문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제도화 관련 연구는 감소하는 반면에 전문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대상은 중고생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양적 연구방법이 주도적이나 질적 연구의 비율이 전반적인 사회복지의 연구 동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제언으로는 다학문적 접근의 필요성과 특정 주제에 지나치게 편중되지 않는 주제의 다양성과 포괄성을 제시하였다.

21세기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for Expansion of Learning Ability in the 21st Century)

  • 정재훈;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67-174
    • /
    • 2013
  • 본 연구는 21세기에 필요한 핵심적인 학습 능력을 연구하고 미래 사회 국가 발전에 필요한 핵심 인력을 양성하는데 있다. '21세기 학습 능력 프로젝트'는 학습자의 학습 능력과 개인 회적으로 가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기존 지식과 학문을 다학문적, 통합적으로 접근 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도 학습 능력 배양을 위한 다양한 교과 간 통합 교육과정의 시도가 있었으나 각 교과의 내용과 특성의 차이를 충분히 이해하여 효과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교사가 부족하고 현장에서 쉽게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1세기에 필요한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해 학문의 지식을 통합하는 다학문적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위해 교육과정 실태를 분석 연구하고 그 결과로 초 중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다학문 맞춤형 학문 통합 모형을 제안한다.

학제간 과학철학 연구의 두 방향: 간학문 STS와 다학문 STS (Two Ways of Doing Cross-disciplinary Philosophy of Science Research: Inter-disciplinary STS and Multi-disciplineary STS)

  • 이상욱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1-21
    • /
    • 2005
  • '과학기술학'과 '과학, 기술, 사회'의 두 가지로 번역되는 STS는 최근 국내외에서 과학 기술철학, 과학기술역사학, 과학기술사회학, 과학기술정책학 등의 여러 분과 학문의 연합체로서가 아니라 나름대로의 학문적 정체성을 가진 독자적인 연구분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런 상황에서 과학철학이 과학기술학으로 이해된 STS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학제간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방식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우선 과학기술학 연구는 학제간 연구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양식에 따라 분과 통합적 지적 협력인 간학문적 연구와 주제중심적 지적 협력인 다학문적 연구로 나뉘어 질 수 있음을 지적한다. 그 후 구체적인 예를 통해 과학철학이 이 두 분야 모두에 생산적으로 참여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21세기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다학문적 맞춤형 교육과정 모형 연구 (A Study of Multidisciplinary Customized Curriculum Model for 21st Century Learning Ability Extension)

  • 정재훈;김선회;남동수;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97-206
    • /
    • 2012
  • 본 연구는 21세기에 필요한 핵심적인 학습 능력을 연구하고 미래사회 국가 발전에 필요한 핵심 인력을 양성하는데 있다. '21세기 학습 능력 프로젝트'는 학습자의 학습 능력과 개인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기존 지식과 학문을 다학문적,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도 학습 능력 배양을 위한 다양한 교과 간 통합 교육과정의 시도가 있었으나 각 교과의 내용과 특성의 차이를 충분히 이해하여 효과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교사가 부족하고 현장에서 쉽게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1세기에 필요한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해 학문의 지식을 통합하는 다학문적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교육과정 실태를 분석 연구하고 그 결과로 초 중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다학문 맞춤형 학문 통합 모형을 제안한다.

통합주제를 중심으로 한 중학교 수준의 통합과학 내용 구성 방안 (Content Organization of Middle School Integrated Science Focusing on the Integrated Theme)

  • 최미화;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4-216
    • /
    • 1999
  • 이 연구에서는 자연계에 폭넓게 적용되는 기본 개념들을 몇 가지로 단순화시키고, 이것을 통합주제라고 정의하였다. 이것은 자연계를 관통하는 포괄적 개념 혹은 통합적 시각이라 할 수 있다.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계(系), 상호작용, 조화와 균형, 구조와 기능, 그리고 순환의 다섯 가지 개념을 통합주제로 설정하고, 각 통합주제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설정된 통합주제의 성격에 부합하는 내용을 구성하여 각 영역별로 학습 주제와 학습 목표를 진술하였다. 제시된 통합과학 내용 구성은 그 형태에 있어서 간학문적 통합, 혹은 다학문적 통합이라 할 수 있으며, 현행 중학과학보다 통합의 심도가 깊다. 그리고 통합주제의 성격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춰 구성한 것으로 기존의 4영역 안배 원칙에서 벗어났다. 이와 같은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방안은 현재 우리 나라의 과학 교육과정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의미가 있다.

  • PDF

마음인문학의 학문적 성격과 도야적 탐구 (The Characteristics of Maum Humanities Understanding in Concept of 'Building')

  • 안관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2호
    • /
    • pp.153-164
    • /
    • 2011
  • 인문학은 인간의 삶과 행위 일반에 관한 학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인간의 삶과 소통하지 못하고 있는 사회관계망사회에서 인문학의 실천적 역할과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다만 이 작업을 인문학의 전 영역에 걸쳐서 행하기보다는 '마음'이라는 주제 영역에 한정하여, 그 학문적 성격을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마음인문학의 학문적 성격을 규명하고, 나아가서 마음인문학이 왜 도야적 관점에서 교육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는 지를, 그리고 마음인문학의 실천 과제는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