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채널 음향 압축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Multi-Channel Speech Surveillance System (다채널 음성 감시 시스템 개발)

  • 김성수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442-445
    • /
    • 1998
  • TMS320C31 DSP를 사용하여 다채널 음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압축/저장 및 재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각각의 전화선으로부터 입력되는 DAM성신호는 실시간으로 VSELP 음성 부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8Kbps 의 전송률로 압축된다 압축 음성 데이터는 host computer 로 전송되어 각각의 채널별로 HDD 나 MOD 같은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진다. PC microsoft windows95 환경에서 동작하는 호스트프로그램은 압축 음성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나 광자기 디스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압축 음성 데이터는쉽게 검색하여 재생이 가능하다.

  • PDF

A Novel Multi-Channel Hearing Aid Algorithm with SMR(signal-to-masking ratio) Improvement (신호 대 마스킹 비 개선을 통한 다채널 보청 알고리즘)

  • 김헌중;홍민철;차형태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8
    • /
    • pp.12-21
    • /
    • 200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hearing aid algorithm for sensorinural hearing loss restoration with multi-channel(band) dynamic range compression and psychoacoustics. In this way, we can present a normal perception condition to the impaired listener. The proposed algorithm make loudness scaling function achieve proper loudness level, and analysis masking property for the signal will be perceived to impaired listener, and then, restore normal spectral contrast using SMR(signal-to-masking ratio) defined by distance between the level of each frequency and masking threshold.

  • PDF

Serial Transmission of Audio Signals for Multi-channel Speaker Systems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을 위한 오디오 신호지 직렬 전송)

  • Kwon, Oh-Kyun;Song, Moon-Vin;Lee, Seung-Won;Lee, Young-Won;Chung, Yun-M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7
    • /
    • pp.387-394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transmission technique of audio signals for the serial connection of the speakers of multiple-channel audio systems. Analog audio signals from a multi-channel audio system are converted into digital signals with signal processing steps and transferred to each speaker through a serial line. The signal processing steps contain data compression and packet generation in association with audio signal characteristics. Each speaker gets its corresponding digital audio signals from the transmitted packets and converts the signals into analog audio signals to make sounds with the speaker All the proposed functions in this paper are modeled in VHDL. implemented with FPGA chips, and tested for actual multi-channel audio systems.

The Development of audio codec using binaural cue coding technologies (Binaural Cue Coding 기술을 이용한 오디오 코덱 구현)

  • Seo Jeongil;Kang Kyeongok;Lee Byonghwa;Hahn Minso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37-140
    • /
    • 2004
  • 낮은 대역폭에서 다채널 다객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위해 새롭게 제안된 Spatial Audio Coding 기술은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다운믹싱하고 나머지 채널은 음향공간상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들로 압축하여 표현하는 파라메트릭 압축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Spatial Audio Coding 기술중의 하나인 BCC 기술을 이용하여 스테레오 오디오 코덱을 구현하고, 주관듣기평가 실험을 통하여 AAC와 비슷한 성능을 나타내면서도 높은 압축율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Adaptive Feedback Cancellation Algorithm for Multichannel Digital Hearing Aid (다채널 디지털 보청기에 적용 가능한 Adaptive Feedback Cancellation 알고리즘 구현)

  • Jeon, Shin-Hyuk;Ji, You-Na;Park, Young-Cheol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0 no.1
    • /
    • pp.102-110
    • /
    • 2017
  • In this paper, we have implemented an real-time adaptive feedback cancellation(AFC) algorithm that can be applied to multi-channel digital hearing aid. Multichannel digital hearing aid typically use the FFT filterbank based Wide Dynamic Range Compression(WDRC) algorithm to compensate for hearing loss. The implemented real-time acoustic feedback cancellation algorithm has one integrated structure using the same FFT filter bank with WDRC, which can be beneficial in terms of computation affecting the hearing aid battery life. In addition, when the AFC fails to operate due to nonlinear input and output, the reduction gain is applied to improve robustness in practical environment. The implemented algorithm can be further improved by adding various signal processing algorithm such as speech enhancement.

DSP Applications on Broadcast Technology (방송기술에서 디지털 신호처리 응용)

  • 김기수;윤대희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 no.1
    • /
    • pp.61-74
    • /
    • 1996
  • 디지탈 오디오 방송(DAB)과 디지털 텔레비전(DTV), 고선명 텔레비전(HDTV) 방송의 실용화가 다가오면서 대용량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주관적인 왜곡없이 압축, 복원할 수 있는 고음질 오디오 부호화 방식이 방송음향 기술전반에 응용되고 있다[1][2]. 또한 방송 채널에 있어서도 기존의 스테레오에서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으로 진전하면서 가상 현실, 입체음향 등에 필수적인 음장재생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3][4]. 위와 같은 기술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처리 기술의 발전이 가져온 결과로 미래의 방송기술을 변화시키고 있다. 본 고에서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의 응용 분야를 살펴보고 새로운 기술을 소개하기로 한다.

  • PDF

Pro-Logic Audio의 소개

  • 이상근;조재문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3 no.1
    • /
    • pp.20-27
    • /
    • 1998
  • 종래에는 2개의 오디오 채널을 이용한 음향의 재생방법이 널리 퍼져 있었으나 다채널 음향의 재생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다중 채널의 오디오를 전송하고 재생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이 중에서 2개 채널의 전송으로 4개 채널의 출력을 얻을 수 있는 돌비랩(Dolby Laboratories)의 프로로직(Prologic) 오디오가 많은 대중적인 관심을 끌었다. 이 기술은 전송측에서 2 개채널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전송하지만 수신측에 있는 디코더에서는 4 개 채널의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압축 기법으로서 대중적으로 많은 시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Prologic 오디오 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제품에 연결하는 방법을 찾는 것은 앞으로 성장하게 될 다중채널 재생 방법에 성공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필요한 일이다. 본 논고에서는 다중 채널 재생 기법의 하나인 Prologic 에 관한 기술과 이와는 별도의 압축기법인 AC-3 와의 비교를 통해서 Prologic 오디오 기술의 특징을 기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프로로직의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적인 관점에서 필요한 로직과 그 로직을 구현하기 위한 칩의 설계에 대해서도 간략히 기술하기로 한다.

  • PDF

Improved MPEG-Audio Coding Method (MPEG 오디오 부호화 바업의 성능 향상)

  • 신종인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6c
    • /
    • pp.183-187
    • /
    • 1994
  • ISO/MPEG 에서는 스테레오 신호만을 부호화할 수 있는 MPEG-1 오디오 부호화 방법을 5.1 채널의 다채널 신호로 확장한 MPEG-2 오디오 방법을 제안하였다. 압축해야 될 신호가 증가하면서 MPEG에서는 채널 내의 부호화 방법으로는 MPEG-1에서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고, 부가적으로 채널 간의 부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MPEG-1과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호화 방법을 다방면에 걸쳐서 연구하여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PEG 오디오 부호화 방법을 두가지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MPEG에서 제안한 오디오 부호화 알고리듬을 개선하여 음질과 비트율에 있어 향상시키는 것으로 각 서브밴드의 비트 할당 방법과 시간 영역에서의 마스킹 효과 등을 사용한 심리음향 모델 등의 개선 방법이 제안되었다. 두 번째 방법은 부호화기의 계산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심리음향 모델이나 비트 할당시의 계산과정에 있어 반복적인 과정은 시간 여역에서의 중복성을 이용하여 계산량에 대한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Implementation of Multichannel Digital Hearing Aid Algorithm Development Platform using Simulink (Simulink 기반 다채널 디지털 보청기 알고리즘 개발 플랫폼 구현)

  • Byun, Jun;Min, Ji-hwan;Cha, Tae-hwan;Ji, You-na;Park, Young-cheol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9 no.2
    • /
    • pp.205-212
    • /
    • 2016
  • In this paper, we implement the development platform of multichannel digital hearing aid algorithm using Simulink provided by Matlab. The digital hearing aids are considered medical devices designed to compensate for hearing loss, they need to be correctly selected, to help a person who has difficulty in hearing. The development platform that implemented in this paper, includes WOLA filterbank for analysis/synthesis of input signal, Wide dynamic range compression for hearing loss compensation and adaptive filter for feedback cancellation. Using the development platform, algorithm parameters for each block can be set depending on the hearing aid user. Thus it is possible to test the algorithm before the machine language. As a result, the time for algorithm development can be saved and performance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can be optimized.

Multi-Channel Audio Coding Technologies (멀티채널 오디오 (MPEG-2) 부호화 기술)

  • Hong, J.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0 no.3 s.37
    • /
    • pp.15-27
    • /
    • 1995
  • 멀티미디어에서 비디오의 품질이 향상되고, 디지털 텔레비젼 (ADTV)이나 고선명 텔레비젼(HDTV) 등의 개발에 의해 화면 크기가 증가하면서 이에 어울리는 실감있는 오디오의 전송 및 재생이 요구된다. 따라서 멀티채널 오디오의 도입과 더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낮은 비트율로 고품질의 멀티채널 오디오를 제공하기 위한 부호화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최근에 인간의 청각 특성을 고려한 심리음향 모델을 이용한 멀티채널 오디오의 압축 부호화 기술이 MPEG-2 오디오의 국제 표준으로 제정되었다. MPEG-2 오디오 표준은 MPEG-1 오디오 표준을 기초로 하여 현장감을 필요로 하는 오디오를 위해 기본 스테레오 채널외에 중앙채널, 서라운드 채널, 그리고 저주파 효과채널을 부가한 방식으로 다채널, 음성다중 등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본고에서는 MPEG-2 오디오 표준의 계층 II를 중심으로 한 표준의 특징, 알고리즘, 데이터 구조, 그리고 응용분야 등에 대해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