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짐

검색결과 1,109건 처리시간 0.029초

전압방법(轉壓方法)이 전압효과((轉壓效果) 및 C. B. R. 값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Influence of Field Compaction Method on the Efficiency of Compaction and the C. B. R. Value)

  • 정상;강예묵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92-309
    • /
    • 1983
  • 성토(盛土)의 현장(現場)다짐에서 토질(土質)의 종류(種類), 층(層)의 두께 및 전압회수(轉壓回數)를 변화(變化)시키면서 진동(振動)과 무진동(無振動)의 전압기계(轉壓機械)로 다진 효과(效果)를 비교(比較)하기 위(爲)하여 들밀도 시험(試驗) 및 현장(現場)C.B.R.시험(試驗)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전압회수(轉壓回數)가 적을 때는 진동(振動)다짐이 무진동(無振動) 다짐 보다 다짐 효과(效果)가 크게 나타났으며 전압회수(轉壓回數)가 커지면 진동(振動)과 무진동(無振動) 다짐의 다짐률의 차(差)가 작아지는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2. 현재(現在) 사용(使用)하고 있는 대형화(大型化)된 전압장비(轉壓裝備)로 3~5회(回) 전압(轉壓)하면 A-1다짐의 기준에 도달(到達)하므로 앞으로는 대형화(大型化)된 장비(裝備)에 대비(對備)하기 위(爲)하여 D-2다짐을 기준으로 함이 바람직 하다고 생각한다. 3. 건조밀도(乾操密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C. B. R. 값이 증가(增加)되나 진동(振動)다짐의 경우가 무진동(無振動)다짐에 비(比)하여 C. B. R. 값의 증가율(增加率)이 크게 나타났다. 4. 전압회수(轉壓回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C. B. R. 값의 증가(增加)현상은 완만(緩晩)하게 나타나고 C. B. R 값은 진동(振動)다짐에서 무진동(無振動)다짐보다 약 20%정도 더 큰 값을 나타냈다. 5. C-5 시료(試料)에서는 다짐두께가 증가(增加)할수록 다짐률이 감소(減少)하여 다짐두께가 20~30cm로 변(變)할 때 다짐률은 완만(緩慢)하게 감소(減少)되었으나 30~40cm로 변(變)할 때는 다짐률이 급격(急擊)히 떨어졌으므로 전압층(轉壓層)의 두께는 30cm 이하(以下)로 함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 PDF

다양한 지반강성 평가장치를 이용한 현장 다짐도 예비 평가 (Evaluation of Various Soil Stiffness Test Equipments as Construction Control Tools)

  • 김주형;유완규;김병일;채광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636-64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지오게이지, 동평판재하시험기 그리고 간이지지력시험기 등과 같은 지반강성도를 평가할 수 있는 시험장치와 현장 다짐도 측정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평판재하시험을 다짐횟수, 함수비 그리고 다짐층 두께 등을 변화해 가면서 현장시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잠정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1) 지오게이지와 동평판재하시험기 그리고 간이지지력 시험기에서 측정된 결과는 모두 다짐도 증가에 따른 지반 강성 증가 현상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함수비에 따른 지반강성 증감 현상은 지오게이지와 간이지지력시험 결과에서만 일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동평판재하시험이나 기준 시험인 평판재하시험은 함수비 증감에 따라 지반강성 증감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 다짐충 두께 변화에 따른 지반강성도 평가시험 결과 본 시험에서 수행한 지오게이지, 동평판재하시험, 간이지지력 시험은 물론 기준시험인 평판재하시험의 경우에도 일정한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간편하고 신속한 시험이 가능한 다양한 지반강성평가 시험장치를 이용해 현장에서 다양한 조건의 지반에 대해 다짐도 평가 시험을 수행한 결과, 함수비 및 다짐두께가 일정한 경우 다짐횟수 증가에 따라 모든 시험 결과가 지반강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 다양한 지반조건에 대해 다양한 시험을 수행하여 다짐도 및 지반강성도의 연관성에 대한 자료가 축적된다면, 본 시험에서 수행한 시험방법으로도 현장 다짐도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흙의 실내(室內)다짐시험결과(試驗結果)에 대한 해석적(解析的)인 산정(算定)에 관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Interpolation Methods for the Laboratory Compaction Test Results)

  • 이호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69-175
    • /
    • 1992
  • 흙의 실내(室內)다짐시험(試驗)에서 최대건조밀도(最大乾操密度)와 최적함수비(最適含水比)를 결정(決定)하기 위하여 각국의 공업규격 등에 따라 다짐곡선(曲線)을 작도(作圖)하여 도상(圖上)에서 측정하고 있는 바 이에 소요되는 준비절차(節次)와 시간을 절약하고 수치계산으로 구할 수 있는 즉 Lagrange의 보간공식을 이용(利用)한 함수비(含水比)-건조밀도(乾燥密度) 관계식으로 다짐결과를 산정(算定)하는 본 연구의 방법이 다짐시공관리(施工管理)에 적용될 수 있는가 객관적으로 비교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종래의 방법으로 다짐결과가 결정(決定)되어 있는 기보고(旣報告)된 다짐시험실례(試驗實例)의 측정치에 대하여 다짐결과를 산정(算定) 및 비교고찰(比較考察)한 결과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고 확인 되었으나 산정값의 정도(精度)는 차이를 나타내어 함수비의 변화폭에 따른 차이 등을 확인하여 정도에 대한 문제점을 종합 고찰하고자 2종의 시료에 대하여 함수비의 변화폭을 2% 정도로 유지하여 시험한 결과 두가지 방법에 의한 산정값이 더욱 접근하였으며 시험례(試驗例)를 포함한 비교에서 최대건조밀도(最大乾燥密度) 및 최적함수비(最適含水比) 산정(算定)값의 차이가 각각 $0.01g/cm^3$(0.5%) 및 0.4% 미만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시공의 허용범위 및 다짐곡선상에서 측정할 수 있는 범위 이내라고 보아 정도(精度)에도 문제점이 없다고 판단되었다. 그러나 다짐곡선에서 시학적(視學的)으로 다짐상태를 비교(比較)할 수 있는 등의 전부를 만족할 수는 없어 종래의 방법과 병용하는 간이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포장용 롤러전압콘크리트의 다짐도와 압축강도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Compaction Ratio of Roller-Compacted Concrete Pavement)

  • 정건우;송시훈;이승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6호
    • /
    • pp.1117-1123
    • /
    • 2016
  • 롤러전압콘크리트포장 공법은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 공법의 재료 특성 및 아스팔트 포장의 시공특성을 공유하는 포장 방식이다. 일반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우수한 구조적 성능을 유지하면서, 아스팔트 시공 장비를 사용하여 간소한 시공절차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롤러전압콘크리트포장 공법은 수화반응과 롤러다짐에 의한 골재 맞물림 효과로 일반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보다 적은 시멘트량을 사용하여도 충분한 강도를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과 동등한 강도 특성을 발휘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RCCP의 다짐도와 압축강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도출하고자 한다. 롤러전압콘크리트의 다짐에너지를 변화시키면서 다양한 다짐도를 갖는 시편을 제작하였다. 다짐도는 시편의 건조단위중량과 최대건조단위중량의 비로 정의하였으며, 다양한 다짐도로 성형된 시편의 28일 압축강도를 평가하였고, 다짐도에 따른 강도비의 관계를 도출 하였다. 따라서 롤러전압콘크리트 공법의 국내 현장적용을 위한 다짐도에 따른 강도비의 중요성을 부각하여 현장 다짐도 관리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치해석적 방법에 의한 저회혼합다짐말뚝의 침하저감비에 관한 연구 (Numerical Study of Settlement Reduction Ratio for the Bottom Ash Mixture Compaction Pile)

  • 주익찬;김구영;도종남;조현수;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53-58
    • /
    • 2012
  •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인 점성토 지반이나 느슨한 사질토 지반을 개량하기 위하여 모래다짐말뚝(SCP)공법 또는 쇄석다짐말뚝(GCP)공법이 쓰여지고 있다. 하지만 모래다짐공법은 모래의 수급부족과 모래채취로 인한 환경파괴와 같은 문제점이 있으며, 쇄석다짐공법은 쇄석다짐재료의 클로깅으로 인하여 배수재의 투수계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모래와 공학적 성질이 유사한 화력발전소 부산물인 저회를 모래의 대체 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회혼합다짐말뚝에 대한 기초적 연구로써 조립재료 및 치환율에 따른 조립재료 혼합다짐말뚝의 거동특성을 수치해석적으로 규명하였다. 특히, 말뚝중심부로부터 거리에 따른 침하저감비(SRR)를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조립재료에 따른 혼합다짐말뚝의 침하저감비 변화값은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며 치환율에 따라 복합지반의 강성이 증대하여 침하저감비는 감소하는 형태를 보였다. 특히, 치환율 20~40%의 범위에서는 일반적으로 침하저감비의 증가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치환율 40% 이상에서는 증가치가 서서히 감소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연약지반과 유사한 지반에 혼합다짐말뚝 적용 시 경제성을 고려하였을 때, 30~40%의 치환율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치해석적 다짐 작용 연구: 공극률과 퇴적층 두께 변화에 미치는 영향 (Numerical analysis of sedimentary compaction: Implications for porosity and layer thickness variation)

  • 김예슬;이창열;이은영
    • 지질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631-640
    • /
    • 2018
  • 퇴적층의 두께와 형성 기간을 분석하는 것은 퇴적분지의 발달사를 이해하기 위한 분지 해석과 모델링 연구에서 중요하다. 분지 발달 과정에서 퇴적층은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다짐 작용에 의해 두께가 감소하고, 이 두께 변화는 깊이에 따른 공극률 변화 경향(다짐 작용 경향)을 통해 계산이 가능하다.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퇴적암상인 사암, 셰일, 탄산염암의 깊이에 따른 공극률 변화 자료를 기반으로, 암상에 따른 다짐 작용 경향의 범위를 지수 함수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그리고 다짐 작용이 퇴적층의 공극률과 두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적 방법을 이용해 평가하였다. 사암은 초기 공극률의 범위가 좁고 깊이 증가에 따른 공극률 감소 경향이 비교적 일정하여, 다짐 작용에 의한 층두께의 변화 범위가 작다. 셰일은 약 2,000 m 깊이까지 공극률이 빠르게 감소한 후, 급격히 낮아진 감소율을 보이며 이는 퇴적층의 두께 변화에도 반영된다. 탄산염암은 초기 공극률의 범위가 넓고, 깊이 증가에 따른 공극률 감소 양상의 차이가 커서, 결과적으로 다짐 작용에 의해 감소한 퇴적층 두께 차이의 범위도 크게 나타난다. 이 수치 해석적 다짐 작용 연구의 정량적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각 암상들의 다짐 작용에 따른 공극률과 층두께 감소의 특징들은 퇴적분지의 생성과 발달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퇴적층 두께 복원과 침강사 그리고 지열 작용 분석에 영향을 끼치며, 이는 다짐 작용 경향이 분지 모델링 연구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적절한 적용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폐기물매립장 선별토사 활용을 위한 다짐공법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Compaction Method in Order to Utilize the Waste Landfill Selected Soils)

  • 남홍기;이승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8호
    • /
    • pp.29-4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bigcirc}{\bigcirc}$시 비위생매립장 정비사업 시행시 발생하는 특수한 선별토사를 부지 복원토로 활용하기 위한 다짐방안으로 현장상황과 선별토사의 토질조사 자료, 다짐시험 특성을 분석하여 동다짐공법을 적용하였다. 동다짐 전 후에 수행한 표준관입시험(SPT)에서 N치는 12~18 범위로 동다짐 전보다 평균 89% 증가하였으며, 평판재하시험(PBT)의 허용지지력은 $150{\sim}227kN/m^2$ 범위로 다짐 전에 비해 최소 80%이상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기존의 준설 및 폐기물 매립지에 적용된 동다짐 효과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통 건축물 석회다짐층 보수 시공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Questions and Solutions on Repair of Lime-Soil Consolidation in Traditional Buildings)

  • 김진만;곽은구;서만철;조헌영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2년도 제15회 발표논문집
    • /
    • pp.21-31
    • /
    • 2002
  • 고건축물에서 구조재, 결합재, 방수재, 마감재 등의 용도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된 강회다짐 재료에 관한 사용기록을 정리하고 문화재 보수 및 복원시 현장에서 느끼는 강회다짐재의 사용상 문제점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언한다. 1) 생석회를 현장에서 피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품질의 균일성에 관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강회다짐용 재료로 순도 높은 소석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강회시공시 발생하는 품질의 불균일성을 고려하여 균일한 혼합을 위한 믹서, 계량시의 오차를 줄이기 위한 Premix형태의 강회다짐재 및 다짐작업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짐기계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3) 지붕 강회다짐충의 해체 및 시공시 추가적인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절한 가설구조물의 사용을 의무화 하여야 한다. 4) 문화재 수리 표준 품셈과 문화재 수리 표준 시방서에 규정된 재료 및 시공절차에 관한 내용을 구체적이고 명확히 규정할 필요성이 있다.

  • PDF

중력 데이터 해석과 드론원격정보를 이용한 지반의 다짐도 평가 (Evaluation of Soil Compaction Using Gravity Field Interpretation and UAV-based Remote Sensing Information)

  • 김성욱;최승찬;최은경;이영재;고대홍;이규환
    • 지질공학
    • /
    • 제31권3호
    • /
    • pp.283-293
    • /
    • 2021
  • 고해상 드론 기반의 지형 정보와 중력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짐지반의 모양과 균질성을 분석하였다. 지형과 수문 모형에서 계산된 지형요소 중 곡률은 다짐과정에서 발생한 지형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보여 주었으며 이를 통해 불균질 다짐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지형 정보의 적정 해상도는 10 cm 정도였다. 성토지반의 공간적인 밀도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중력장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완전 부게이상의 변화로부터 불균질 다짐 영역과 지하 밀도구조 모델링을 통해 다짐도 차이에 의한 불균질 영역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로부터 지형요소와 중력장 해석법은 다짐된 지반의 균질성을 평가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 강서지역 유통 콩나물 및 숙주나물중 카벤다짐 잔류실태 조사 및 위해성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Carbendazim Residues in Soybean Sprout and Mungbean Sprout from Markets in Western Seoul)

  • 황래홍;박성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48-353
    • /
    • 2019
  • LC/MS/MS를 이용하여 2019년 1월부터 6월까지 서울 강서지역에 유통하는 콩나물 및 숙주나물 82건에 대한 카벤다짐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숙주나물에서는 카벤다짐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콩나물에서는 59건중 6건에서 카벤다짐이 검출되어 10.2% 의 검출율을 나타내었다. 카벤다짐이 검출된 콩나물 6건중 5건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여 검출건수 대비 83.3%의 부적율을 나타내었다. 검출된 카벤다짐의 농도는 최소 0.012 mg/kg, 최대 0.104 mg/kg, 평균 0.063 mg/kg 이었으며 6건중 5건이 재래시장에서 유통되는 비포장 제품이었다. 카벤다짐이 검출된 6건의 원료수입국은 수입산이 3건, 출처불명이 3건 이었으며 국내산으로 표시된 제품은 없었다. 카벤다짐이 검출된 콩나물에 대한 위해성 평가결과 %ADI 값이 1 이하로 인체에 미치는 위해도는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