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중 전압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82초

AT 포워드 다중공진형 컨버터의 모델링 해석 (The Modeling Analysis of the AT Forward Multi-Resonant Converter)

  • 김창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6-14
    • /
    • 2000
  • 고효율 다중공진형 컨버터는 스위칭 손질을 다중공진 회로를 이용하여 감소시킬 수 있기 때운에 고주파에서 동작이 가능하다. 이려한 고주파 스위칭 동작은 컨버터에 높은 전력 밀도를 제공한다. 그러나 공진 스위치애 걸리는 전압 스트레스는 입력전압의 4~5배 정도여서, 높은 정격의 소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소자의 온-저항으로 인한 전도 손실을 증가시킨다. 본 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해 제안했던 전압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AT 포워드 MRC는 모델링 해석파 이를 이용한 등가 모드 해석을 하였다. AT 포워드 MRC는 2개의 다중 공전 스위치의 동작 순서에 따라 8개의 등가 모델링이 가능하다. 이 컨버터의 동작 원리는 입력 48[V], 출력 5[V]/50[W]의 실험세트와 P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되었으며, 측정된 최대 전압 스트레스는 입력전압의 2.9 배인 170[V]였고 최대 효율은 81.66i%로 측정되었다.

  • PDF

다중 이종구조를 가진 전자 수송층을 사용한 녹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메카니즘

  • 박수형;추동철;김태환;진유영;서지현;김영관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423-423
    • /
    • 2010
  • 유기발광소자의 제작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와 조명 분야에서 많은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유기발광소자의 발광효율은 발광층내에서 전자와 정공의 비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전자 수송층과 정공 수송층내에서 전하의 이동도를 제어하는 구조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 수송층으로 tris(8-hydroxyquinoline)aluminum ($Alq_3$)와 4,7-diphenyl-1,10-phenanthroline (BPhen)의 다중 이종구조를 사용하여 제작된 녹색 유기발광소자의 전기적 성질과 광학적 성질을 연구하였다. $Alq_3$와 BPhen 다중 이종구조의 위치와 이종구조 개수의 변화에 따라 전자의 변하는 전송특성으로 인하여 변화되는 발광특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유기발광소자의 구동전압은 $Alq_3$/BPhen 이종구조의 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Alq_3$와 BPhen 내에서 전자의 이동도가 다르기 때문에 $Alq_3$/BPhen 이종계면에 전자가 축적되어 공간전하를 형성하므로 계면에서 내부전계가 형성되어 구동전압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Alq_3$/BPhen 이종계면에서 축적된 전자들로 인하여 형성된 내부 전계로 인해 저전압에서 누설 정공의 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다중 이종구조로 된 전자 수송층을 포함한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효율은 구동전압이 증가할수록 안정화 되었다. 이는 이종계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이종계면에서 축적되는 전자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고전압에서 효율감소율이 작아졌다. $Alq_3$/BPhen 다중 이종구조를 가진 전자 수송층내에서 전자의 전송 메카니즘에 대한 이해는 유기발광소자의 발광효율이 안정화된 구조를 설계하는데 중요한 실험적 결과를 제공한다.

  • PDF

계통연계형 인버터를 위한 비례다중공진제어 기반의 케스케이드 전류-전압 제어기 설계 (P+ Multi Resonant Control based Cascaded Current-Voltage Controller Design for Grid-Connected Inverter)

  • 임경배;김동환;최재호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5-136
    • /
    • 2014
  • 본 논문은 계통연계형 인버터를 위한 비례공진제어 기반의 케스케이드전류-전압 제어기 설계에 대해 다루고있다. 인버터가 계통연계모드로 동작할 때 인버터는 계통의 보조 전력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류원으로 정의된다. 이때 LCL 필터가 연결된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출력 LC 단에 비선형 지역적 부하가 연결될 경우 기존의 단일 전류 제어기만으로는 비선형 부하로 인한 고조파 왜곡에 대처하기 힘들고 독립운전모드와의 모드절환시 매끄러운 과도 특성을 보장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례다중공진제어기를 활용한 내부 출력 전압, 외부 출력 전류 루프로 구성된 케스케이드 전류-전압 제어기를 제안하였고 제안된 방식이 고조파 보상과 모드 절환시의 매끄러운 과도 특성에 효력을 보임을 PSIM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결정형 光전압/전류센서의 高안정성을 위한 고찰 (Various Considerations in Designing Stable Electrooptic Voltage and Magnetooptic Current Sensors)

  • 이경식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1991년도 광학 및 양자전자학 워크샵
    • /
    • pp.103-108
    • /
    • 1991
  • 결정형 光 전압/전류 센서에 있어서 내부다중반사(Multiple internal Reflection), 북굴절 및 물성의 온도의존성이 어떻게 불안정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으며, 이들 요인들을 피해서 센서의 안정성을 높힐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하였다. 구성된 光 전압/전류센서의 간단한 동작도 보았다.

  • PDF

체적 홀로그램을 이용한 전압측정 센서 (Voltage Measurement Sensor using Volume Hologram)

  • 김수길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11권6호
    • /
    • pp.31-36
    • /
    • 1997
  • 다중모드 광섬유에서 나오는 빛을 기준파로 하여 체적홀로그램을 기록하고, 이것을 전압인가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는 광섬유의 스펙클 패턴으로 복원할 때 측정된 빛의 세기를 통해 PZT에 인가된 전압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실험을 통해 입증하였다.

  • PDF

선형 레귤레이터 제어기의 부하전류 정보를 이용한 다중출력 전원공급장치에서의 대기전력 저감회로 구현 (For the multiple-output switching mode power supply implementation standby mode using the controller of secondary linear regulator)

  • 이종현;정안열;박종후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14-515
    • /
    • 2010
  • 본 논문은 다중출력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경부하 상태에서 2차측의 부하 전압안정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선형 전압조정기의 제어기 내 부하전류정보를 이용하여, 대기모드를 구현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 시켰다. 제안된 회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고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고 20W급 하드웨어 프로토타입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 PDF

13.56MHz RFID 리더 안테나의 자계 필드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gnetic Field Improvement for 13.56MHz RFID Reader Antenna)

  • 김혁진;양운근;유흥준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호
    • /
    • pp.1-8
    • /
    • 2006
  • 새로운 형태의 RER(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용 안테나 구조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RFB 리더용 안테나는 단일 루프 안테나를 사용한다. 리더용 단일 루프 안테나는 통상 트랜스폰더에 비하여 큰 사이즈를 가지며 이와 같은 경우 루프 안테나의 가운데 부분에는 자계 필드가 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병렬 루프 안테나를 제안하고, 단일 루프 안테나와 직렬 루프 안테나 그리고 병렬 루프 안테나를 전산모의실험 및 측정하였다. 전산모의실험 결과 안테나의 중앙부분에서 단일 루프 안테나의 경우 약 0.40A/m, 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고, 직렬 급전 다중 루프 안테나의 경우 약 0.68A/m 로 단일 루프 안테나에 비해 약간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병렬 급전 다중 루프 안테나의 경우 약 1.98A/m 로 단일 루프 안테나와 직렬 급전 다중 루프 안테나에 비해 상당히 높은 자계 필드를 보였다. 구현한 각각의 안테나에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여 20Vp-p의 입력 전압을 인가하고, 무선인식 카드의 경우와 유사하게 비교하기 위해 넓이가 $79mm{\time}48mm$ 인 측정용 태고에 유도된 전압을 각 안테나의 중앙부분에서 거리를 증가시키면서 측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병렬 급전 다중 루프 안테나는 안테나의 중앙부분에서 유도전압이 약 4.04V 로서 단일 루프 안테나의 약 0.76V, 직렬 급전 다중 루프 안테나의 약 1.45V 보다 높은 유도 전압을 보였다. 실험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제안된 병렬급전 다중 루프 안테나는 유도되는 전압이 상대적으로 높아 가독거리가 증가 될 수 있다.

병렬 컨버터 운용을 위한 개체 기반의 전압회복 기술 (Agent-Based Voltage Restoration Technique for Parallel-Connected Converters)

  • 최우인;조보형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4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9-310
    • /
    • 2014
  • 분산형 전원 시스템과 마이크로그리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수의 병렬 컨버터의 제어가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가장 보편화된 분산 전원의 제어 방법 중 하나는 드룹 방식을 이용한 분산형 제어이다. 다중 전원이 연결된 버스의 전압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드룹 제어에 의한 전압 변동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개체 기반의 전압 회복 기술은 모듈 간 통신을 최소화하는 한편 자율적 운용 특성을 유지한다. 시뮬레이션 및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한 방법을 검증하였다.

  • PDF

다중 분산부하 전압강하산정 프로그램 연구 (A Study of the Voltage drops computation program on multi-distributed random loads)

  • 강차녕;권세혁;조성필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42
    • /
    • 2006
  • 전선에서 전압강하는 열 손실을 의미한다. 이 열은 절연체의 특성을 변화시켜 절연성능을 저하시키게 되고 나아가 누전, 감전, 정전 및 화재 등의 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전압강하에 대한 최적화 설계는 전기설비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저압의 전기설비인 가로등, 빌딩, 지하철역사 등 공공의 안전확보가 요구되는 다중 분산부하계통에서의 전압강하가 전기배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안전성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한 전압강하산정 프로그램 및 최적화 방안을 연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저 EMI 및 고품질 출력전압을 위한 멀티레벨 컨버터 (Multi-level Converter for Low EMI and High Quality Output Voltage)

  • 이상훈;이민중;박성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015-2021
    • /
    • 2008
  • 최근 태양광 발전시스템 등 낮은 전압을 발생하는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높은 승압효과를 얻기 위한 멀티레벨 인버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C/DC의 출력전압 리플 저감을 위한 새로운 구조의 다중레벨 DC/DC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된 컨버터는 Buck컨버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다중전압을 발생하는 구조를 취함으로 기존의 Buck 컨버터에 비하여 출력 전압의 리플을 저감할 수 있었다. 또한 FPGA 기반 멀티레벨 인버터용 스위칭 함수를 구현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