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중 생계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The Effects of Livelihood Benefits and Basic Pension Receipts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Multimediation Effects of Health Status and Community Satisfaction (생계급여와 기초연금 수급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건강상태와 지역사회만족의 다중매개효과)

  • Hyoung-Ha Lee;Mi-Jin Kim;Gwang-Ja Go;Yeo-Ra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189-19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생계급여와 기초연금 수급, 건강상태, 지역사회만족,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을 통해 노인의 우울 감소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자료는 2017년 노인실태조사 패널데이터 중 노인 본인이 직접 응답한 2,493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생계급여와 기초연금 수급은 노인의 건강상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지역사회만족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우울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인의 건강상태는 지역사회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인의 지역사회만족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노인의 생계급여와 기초연금 수급과 우울사이에서 건강상태, 지역사회만족의 다중매개효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Considering Households' Occupation and Their View towards Forest Conservation (가구 생업과 그에 따른 삼림보호 인식에 관한 고찰)

  • Panta, Menaka;Kim, Kye-Hyun;Lee, Chol-Young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1 no.3
    • /
    • pp.73-78
    • /
    • 2009
  • 100 households' survey was carried out in 2007 in Chitwan to foresee the people's livelihood and their insight into the forest conservation. This analysis revealed that households' was mainly survived with multiple livelihood categories where 98% citizens belong to food crops and 92% to livestock husbandry. The households' income shared by agriculture (crop and livestock), forest and remittance was 37% and 20% respectively. Results further showed that income distribution was somehow equal with Gini coefficient 0.25 than with the 0.37 of landholdings size. But, average per capita income of households was lower than the national standard with 33% of households below the poverty thresholds and 0.0945 poverty gap index. Similarly, 85% respondents assured for the current degraded status of forest and 83% of households for not participated in forest management activities due to low awareness in 82% households. These findings shows the forest assets could be unduly degraded in the past and forest availability which is extracting from the remaining forest is also decreasing in the area. Thus, tendency of forest dependency has been shifting to the small scale farming, other livelihood sources such as local business and services. This information could be useful in planning and decision-making process in searching of better alternative for the local livelihood as well as sustainable forest conservation strategy.

  • PDF

개인적특성과 창업환경이 10대, 20대, 30대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

  • O, Hui-Seon;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163-166
    • /
    • 2020
  • 저출산으로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했는데도 청년실업자가 늘어난 나라는 한국, 이탈리아, 그리스인데 이는 OECD국가 중 유일하다. OECD 청년고용률은 2009년 40.5%에서 2019년 43.5%로 증가했지만 순위는 30위에서 32위로 하락했다. 코로나19사태로 매출이 감소한 국내 301개사는 채용을 미루거나 포기한 비율이 전체 50.5%애 이르면서 앞으로 청년 취업 상황을 악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양질의 일자리가 증가하면 이를 통해 개인은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고 산업은 고급 인력을 바탕으로 성장구조를 만든다. 따라서 민간과 정부는 창업을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다. 청년창업대상자를 중심으로 진행하는 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청소년 비즈쿨 사업과 창업에듀, K-스타트업, 청년창업사관학교, 학생창업유망팀 300등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원 사업이 초기창업단계에 지원역량이 강화되어 있고 공급자 위주로 창업지원 사업을 운영하다보니 창업 성과는 미미하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대는 생계유지에 대한 문제와 창업자금으로 인해 창업을 망설이고 30대는 가족을 돌보는 것에 대한 부담감과 기업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창업을 기피 하는데 이는 40대이상 다른 연령층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이 연령에 따라 창업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분석하여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청년창업지원대책 기초자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청년창업대상자의 금전에 대한 태도, 창업역량, 성공한 롤모델, SNS 활용능력, 창업지원정책, 사회적지지, 인적네트워크, 해외시장 관심도가 창업의지에 어떤 상관 관계를 갖는지 비교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10대의 경우 취업과 창업을 고민하는 특성화고등학생 150명, 20대 150명, 30대 150명으로 총 450명의 데이터를 가지고 SPSS 23을 통해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고 원인을 비교해 앞으로의 정책이 창업을 독려하고 지속력을 갖기 위한 방향으로 시사점을 제안한다.

  • PDF

Regional Dynamics of Capitalism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The Case of the Rubber Industry in Laos (메콩유역권 내 자본주의의 지역적 역동성: 라오스 고무산업의 사례)

  • Andriesse, Ed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0 no.1
    • /
    • pp.73-90
    • /
    • 2015
  • This article focuses on geo-institutional differentiation and a multi-scalar analysis of emerging capitalist development in Laos. It discusses the impact of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on new institutional economic and economic geographical arrangements. It demonstrates the usefulness of the varieties of Asian capitalism approach. The rubber industry was chosen to unravel emerging but various sub-national institutional arrangements linked to higher scale levels. Rubber is a growing agribusiness industry throughout the country, led by the insatiable demand from China. Overall, this study shows that the capitalist development of the rubber industry features much geo-institutional differentiation, due to the different strategies of Chinese, Thai and Vietnamese investors. Since Laos is still in transition from a state-led economy to something else, it is impossible at this to identify the exact number capitalisms. Yet, the evidence on rubber clearly lays bare the presence of multiple institutional arrangements. Without more inclusiveness, however, the implications for regional development are worrying. Exclusive arrangements will most likely lead to more uneven regional development and higher regional inequality. To refine theories on sub-national varieties of capitalism in developing countries it is instructive to consider more explicitly the notion of regional personal capitalisms and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national and regional states and relationships between capital accumulation and livelihood analy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