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중 사용자 상호 작용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ontents Sharing Model in Distributed Collaboration Environment (분산 협업 환경에서의 콘텐츠 공유 모델)

  • Hur, Hye-Jung;Lee, Ju-Y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5
    • /
    • pp.79-87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contents sharing model for consolidating distributed collaboration environments. We provide the combined model by integrating different features-scalable resolution display walls resource, sharing contents on local and remote, multi-user interaction, and access control. There is a benefit that every user can interact within an environment, but overlaps would occur because of multi-user interaction. To manage overlap issue, the model includes access control. Access control would interfere flow of work process. Therefore, we conduct user study to evaluate these two factors of the model.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contents sharing model makes it possible to concentrate in a work.

Interaction Framework design for virtual experiment of multi-user (다중 사용자의 가상실험을 위한 상호작용 프레임워크 설계)

  • Kim, Yeji;Xi, Yulong;Um, Kyhyun;Cho, Ky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832-833
    • /
    • 2016
  • 대부분의 가상 과학 실험 어플리케이션은 참여 인원이 한 명으로 제한된다. 이로 인해 다중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제작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중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가상 과학 실험을 위한 상호작용 엔진을 설계하고 이를 활용하여 가상의 과학 실험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Optimal Detection for NOMA Systems with Correlated Information Sources of Interactive Mobile Users (상호작용 이동통신 사용자의 상관 정보원을 가진 비직교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최적 검출)

  • Chung, Kyu-Hyu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5 no.4
    • /
    • pp.651-658
    • /
    • 2020
  • In the fifth generation (5G) mobile networks, the interactive mobile game users have increased tremendously, which induces correlated information sources (CIS). One of the promising 5G technologies is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In NOMA, the users share the channel resources, so that CIS affect each user's bit-error rate (BER) performance, which is not the case for orthogonal multiple access (OMA). In this paper, we derive the optimal receiver for NOMA with CIS, and then investigate the impact of CIS on each user's BER performance.

A Template-based Dynamic Management of PPI Networks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위한 템플릿 기반 동적 관리)

  • Park, Jong-Min;Choi, Jae-Hun;Park, Seo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289-29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관리하기 위한 템플릿 기반 동적 관리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기존의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대부분 시스템들은 각각의 단백질을 창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레퍼런스로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단백질에 상세한 정보를 가지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참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세한 정보를 얻어야 가능하다. 하지만, 방대하고 복잡한 상호작용 네트워크인 경우 분석에 많이 시간이 필요하며, 참조 데이터베이스의 레퍼런스가 변경된 경우 제대로 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템플릿 기반의 동적 관리 기법은 다양한 사용자들이 자신의 요구에 맞는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템플릿 검색을 통해 손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다중 사용자들이 서로간의 간섭없이 각자의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참조 데이터베이스의 수정된 내용이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에 지속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Entity-centered Concurrency Control Scheme for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s (분산 협동 환경을 위한 객체 중심 동시성 제어 기법)

  • 양정화;이동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224-226
    • /
    • 1999
  • 대규모 분산 협동 환경에서 다수의 참여자에게 상호 작용 성능을 지원해 주기 위한 확장성 있는 예측 기반 동시성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예측 기반 동시성 제어는 낙관적 (optimistic) 방법과 같이 참여자들에게 실시간 상호 작용 성능을 제공하고, 비관적 pessimistic) 방법과 같이 잠금(lock)이 부인될 경우가 복구가 필요없다. 본 논문에서는 소유자 예측을 위하여 객체 기반 다중 전송 그룹을 개발했다. 관심있는 객체 주변에 있는 사용자들만 그 객체 다중전송 그룹에 할당된 주소에 참여함으로써 소유권 예측을 위한 소유권 요청을 할 수 있다. 이 방식에서는 소유자는 가상 영역내의 모든 사용자 대신 이 다중 전송 그룹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로부터만 메시지를 받으므로 소유자가 받는 메시지 수는 현저히 감소되어 소유자는 요청 처리 시간이 줄어들고 따라서 보다 더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있다. 분석을 통하여 제안된 동시성 제어 방식이 대규모 가상 환경에서 갖는 효율성과 확장성을 증명한다.

  • PDF

The Avatar's Behavior and Interaction for Virtual World (가상 현실 세계에서 분신의 행동양식과 상호작용)

  • 박찬종;김정각;김동현;조맹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134-139
    • /
    • 1997
  • 가상 현실 세계에서 정보교류의 수단으로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다른 정보를 수집하는 등의 정보교류와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데에 기존의 2차원의 캐릭터보다는 3차원의 캐릭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대리인으로 분신(Avatar)을 사용하는 3차원 영상을 주제로 하는 많을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세계에서의 분신이 좀 더 현실감이 있는 자연스러운 행동과 상호작용을 보이기 위해서 사람 모습을 닮은 분신을 연구하였으며, 실세계의 자연스러운 정보들(손 동작, 몸 동작)을 분신에 적용하여 가상세계에서 분신의 행동양식과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시각, 청각, 역각등의 다중형태의 정보들을 3차원으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 시스템은 가상세계에서 분신을 생성하며 몇가지의 기본 행동을 가지고 간단한 방법과 실시간으로 분신의 움직임을 처리 할 수 있는 분신의 행동양식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하가지 시스템을 소개할 것이다. 또한 이 시스템은 다른 기종의 플랫폼(PC, W/S)간에 다중참여자를 위하여 네트윅 환경하에서 실행 될 수 있다.

  • PDF

3D Interactive Virtual Space System based on VRML and EAI (VRML과 EAI를 이용한 3D 상호작용 가상공간시스템)

  • 염창근;박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49-15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월드와이드웹상에서 3차원 인터페이스를 기술하는 표준 사양인 VRML과 자바의 EAI(External Authoring Interface)를 통하여 사용자 간에 발생하는 상호작용들을 동기화 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제시한 방법에서는 별도의 독립적인 응용프로그램을 작성하거나 동기화를 위하여 확장된 VRML을 사용할 필요없이 웹브라우저와 바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방대한 웹문서와 연계가 쉬우므로 범용적인 자료구축이 가능하다. 하지만, 가장 최근의 VRML97에서조차도 VRML이 제시하는 가상공간 다중 사용자 환경의 지원은 아직 미비하다. 더 이상 단순히 3차원 월드를 탐험하는 시기는 지났으며, 같은 공간상에서 혼자가 아닌 여럿이 함께 하는 다중 사용자 환경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에 자바의 네트웍 기능과 가상공간의 외부에서 동적으로 월드를 제어할 수 있는 EAI를 이용하여 부족했던 다중 사용자 환경을 지원함으로써 가상 공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가상 공간에서 일어나는 이벤트는 단지 동일 브라우저에서만 유효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할 때는 이벤트를 원격지의 이벤트와 연동하기 위하여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사용자 상호작용 시스템에 있어서 이러한 이벤트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아바타의 행동양식(avatar's behavior)이라 할 수 있다. 가상 공간에서 일어나는 이벤트의 대부분이 사용자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들이다. 즉, 아바타의 행위에 따라서 사용자 서로 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나게 되며 이들 이벤트를 서로 동기화 함으로써 실시간 3차원 상호작용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렇게 구현된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렇게 구현된 시스템은 전자 상거래, 가상 쇼핑몰, 가상 전시화, 또는 3차원 게임이나 가상교육 시스템과 같은 웹기반 응용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다.물을 보존·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도서관의 기능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학정보화의 센터로서의 도서관과 공공기록물 전문 담당자로서의 대학아카이브즈가 함께 하여 대학의 공식적인 직무 관련 업무를 원활하게 지원하고, 그럼으로써 양 기관의 위상을 높이는 상승효과를 낼 수 있다.하여는, 인쇄된 일차적 정보자료의 검색방법등을 개선하고, 나아가서는 법령과 판례정보를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며,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요구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잇는 도서관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가장 중요한 것은 법과대학과 사법연수원에서 법학 연구방법에 관한 강좌를 개설하여 각종 법률정보원의 활용 내지 도서관 이용방법에 관하여 교육하는 것이다.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boxDr$한국어사전$\boxUl$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크기에 의존하며, 또한 이러한 영향은 $(Ti_{1-x}AI_{x})N$ 피막에 존재하는 AI의 함량이 높고, 초기에 증착된 막의 업자 크기가 작을 수록 클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따라 경관의 미학적 평가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할수 있지만 엄밀히 생각하여 보면 이러한 예의 경우도 최락의 총체적인 외형은 마찬가지로 $\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ulcorner$순응

  • PDF

Interactive Multi-Resolution Display Using a Projector Mounted Mobile Robot in the Intelligent Space (지능화 공간에서 프로젝터가 탑재된 로봇을 이용한 대화형 다중해상도 디스플레이)

  • Lee, Jeong-Eom;Kim, Gon-Soo;Park, Ji-Young;Kim, M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369-370
    • /
    • 2012
  •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대형 화면을 투사할 경우, 밝기와 해상도 등으로 인하여 세세한 시각 정보 전달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에 설치된 프로젝터가 투영한 낮은 해상도의 대형 화면에서 사용자의 관심 영역을 하이라이트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관심 영역을 제스쳐 인식을 통해 파악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지능화 공간과 증강된 시각정보를 투영할 수 있는 프로젝터가 탑재된 모바일 로봇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화 공간 내에서 프로젝터가 탑재된 로봇을 이용하여 상호작용이 가능한 다중해상도 디스플레이 방식을 기술하고, 실험을 통하여 이 시스템의 가능성 및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Development of a Interactive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using Invisible Interaction Surface Generation (비가시성 인터랙션 표면 생성을 통한 인터랙티브 입체영상 시연 시스템 개발)

  • Lee, Dong-Hoon;Yang, Hwang-Kyu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6 no.3
    • /
    • pp.371-379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velopment methodology of interactive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In our case, we consider a multiple touch recognition technique as the interaction method. That's because we want to guarantee multiple user access and interaction to the content without any restriction. In this case, however, some restrictions are occurred on account of the distance between display and participants. For this reason, this paper propose an invisible interaction surfaces which are generated in the air. This surface is utilized as interaction medium instead of the display wall. We also present an effective way to generate and edit interactive stereoscopic images based on Game Engine.

Effect of Interactivity on Cognitive-affective-behavioral User Responses: Focusing on Korean and Chinese Mobile Users (상호작용성이 사용자의 인지-정의-행위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중국 모바일 사용자를 중심으로)

  • Um, Myoung-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6
    • /
    • pp.135-150
    • /
    • 2016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perceived interactivity between the mobile messenger application and its user gives rise to user's enjoyment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Perceived interactivity was assumed to b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control, share, and responsiveness in light of the previous studies.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interactivity, enjoyment, and usage intention are hypothesized on the basis of the pleasure-arousal-dominance emotional state model,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481 mobile messenger users i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test hypothe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were conducted. As a result, perceived interactivity concerning connectedness and responsiveness not only positively affected enjoyment, but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sage intention. However, while control positively influenced usage intention, it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enjoyment.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enjoyment and usage intention. Incidentally,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users. The findings would provid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mobile messenger corporations on causal effects of perceived interactivity and the differences of the path coefficients between in Korea and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