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중 배관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Local Deformation Based Design Concept for Multi-layered Pipeline (국부 변형을 고려한 다중관 설계 기법)

  • Won, Jong-Hwa;Kim, Moon-Kyum;Kim, Kyu-Wo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570-57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배관의 국부변형을 고려하여 각 배관의 특성으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는 최대 응력 발생지점에 대한 평가 및 설계기법을 제안한다. 다중관은 일반적으로 배관의 매설 조건이 불안정한 곳이나 배관의 내부 유체의 유출 모니터링 및 난방관 등의 보온을 목적으로 사용되나, 다중관의 거동에 대한 거동 및 설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법은 탄성범위에서 거동하는 연성관을 대상으로 하며 외관의 형상 및 외부 하중에 의하여 예상되는 국부 변형을 설계 인자로 고려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인 원형관의 경우 관의 하단부에서 가장 큰 국부 변형 반경을 나타나며, 국내외에서 사용하고 있는 정사각 콘크리트 보호공의 경우 관의 상측, 하측부($45+90n^{\circ}$)에서 가장 큰 반경을 관찰할 수 있다. 이는 내압이 작용하는 구조물에 대하여 낮은 압력에도 항복에 이르는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설계 시 반영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 PDF

Development of an On-line Intelligent Embedded System for Detection the Leakage of Pipeline (실시간 누수 감지 가능한 매립형 지능형 배관 진단 시스템)

  • Lee, Changgil;Kim, Tae-Heon;Chang, Hajoo;Park, Seunghee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94-94
    • /
    • 2011
  • 배관 구조물에서는 내부 미세 균열에서부터 국부 좌굴, 볼트 풀림, 피로 균열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손상이 복합적으로 발생 가능하다. 이러한 복합 손상은 배관 구조물의 누수, 누유 등의 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단일 스케일 계측 시스템으로부터 복합 손상에 의한 실시간 누수를 진단하기는 매우 어렵다. 본 연구 단계에서는 누수를 야기하는 복합 손상을 효율적으로 진단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압전센서를 이용한 자가 계측 회로 기반의 다중 스케일 계측 시스템을 구조물의 복합 손상 진단에 적용하였다. 자가 계측 회로 기반 다중 스케일 계측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형태의 신호를 계측한다. 첫 번째 스케일은 임피던스 계측으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구조 응답을 계측하며, 두 번째 스케일은 유도 초음파 계측으로부터 단일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구조물의 응답을 계측한다. 복합 손상을 손상 유형별로 분류하기 위하여 E/M 임피던스(Electro-mechanical impedance)및 유도 초음파(Guided wave) 계측으로부터 추출한 특성을 이용하여 2차원 손상지수를 계산하고 이를 지도학습 기반 패턴인식 기법(Supervised learning based pattern recognition) 중 확률론적 신경망 기법(Probabilistic Neural Network, PNN)에 적용한다. 제안된 기법의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파이프 구조물에 인위적으로 다중 손상을 생성시켜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기법이 실제 배관 구조물에 성공적으로 적용된다면 손상 부재의 거동 및 구조물 성능의 손상에 대한 영향을 효율적으로 진단하고 평가함으로써 배관 구조물의 효과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Study on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for Behavior of Multi-layerd Pipeline Subjected to Blasting Vibration (지중 다중 관의 발파 진동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 및 수치해석적 연구)

  • Kim, Moon-Kyum;Won, Jong-Hwa;Noh, Gi-Seok;Cho, Seok-Ho;Kim, Kyung-Mi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417-420
    • /
    • 2010
  • 지중매설관은 경우에 따라 긴 수송거리를 보이기 때문에 부식 및 충격에 의한 파손 등에 대한 모니터링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조건을 극복하기 위하여 복합관 및 다중관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파진동원에서 고정된 이격거리, 매설심도에서 배관 상단에 특정 진동속도를 발생시키는 발파 하중을 고려하여, 이격거리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장약량에 따른 이격거리와 발파효율을 측정하였다. 실험값과 수치해석 값의 오차는 발파지점에서 가까울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발파지점과 마주보는 방향이 반대방향보다 크게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Signal Correction for Multiple Defects in MFL Type Nondestructive Testing System (MFL 비파괴 검사 시스템에서 다중 결함에 의한 신호 왜곡과 신호 보정에 관한 연구)

  • Park, Jeng Hoon;Kim, Hui Min;Park, Gwan Soo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26 no.1
    • /
    • pp.24-30
    • /
    • 2016
  • MFL (Magnetic flux leakage) type nondestructive testing has been used for inspection of underground gas pipelines to find metal defects by detecting magnetic leakage signal. Because the underground gas pipeline is exposed by environment such as high pressure with great humidity, external defects are easily formed on the surface of pipelines and they are being grouped respectively. These adjacent defects cause the signal distortion of leakage flux so that it is hard to estimate the shape information of defects. In this paper, we performed to study of the signal distortion and compensating method for multiple defects in MFL type nondestructive testing system by using 3D FEM simulation. This paper proposes the basic algorithm of defect signal analysis on multiple defects on the surface of 30 inch diameter pipeline.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Phased Array Guided Waves (위상배열 유도초음파 검사의 이론적 고찰)

  • Lee, Jae-Sun;Cho, Youn-Ho;Achenbach, Jan D.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1 no.4
    • /
    • pp.367-373
    • /
    • 2011
  • Guided waves inspection techniques that are different with inspection technique by bulk waves are widely used in pipe line evaluation due to advantages of long distance inspection. However, most of pipe lines at industrial fields are buried and/or coated. In this case, due to the attenuation effect from soil and/or coating material, there are a lot of difficulty on inspection by conventional ultrasonic technique. In this paper, guided waves propagating patterns are calculated with respect to excitation mode by Normal Mode Expansion(NME). Guided waves patterns based on excited by single transducer and guided wave focusing technique have employed to analyze focusing pattern on a pipe. A longitudinal mode and high order flexural modes are used with various number of transducers to determine sensitivity. Guided waves energy excited by multi transducer with focusing algorithm was successfully focused at a desired point.

Application of Fiber Optic Sensors for Monitoring Deflection and Deformation of a Pipeline (배관 변형 및 처짐 감시를 위한 광섬유 센서의 활용)

  • Lee, Jin-Hyuk;Kim, Dae-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6 no.6
    • /
    • pp.460-465
    • /
    • 2016
  • Long pipe structures are usually installed in fixtures located with regular intervals or laid underground. Therefore, deflection and deformation could easily occur due to their weight or ground activity. A shape monitoring technique can be used effectively to evaluate the integrity of the pipe structures. Fiber Bragg grating (FBG) sensors, which have an advantage of multiplexing could be used to measure strains at multiple-points of a long structure.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integrity of a pipeline, a shape estimation technique based on strain information was proposed. Furthermore, differ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echnique. Thus, the proposed shape estimation technique can represent the shape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specimen using the FBGs. Moreover, calculated deflection of the pipeline using the estimation technique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actual deflection of the pipeline.

Finite Element Based Multi-Scale Ductile Failure Simulation of Full-Scale Pipes with a Circumferential Crack in a Low Carbon Steel (유한요소기반 다중스케일 연성파손모사 기법을 이용한 원주방향 균열이 존재하는 탄소강 실배관의 파손예측 및 검증)

  • Han, Jae-Jun;Bae, Kyung-Dong;Kim, Yun-Jae;Kim, Jong-Hyun;Kim, Nak-Hy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8 no.7
    • /
    • pp.727-734
    • /
    • 2014
  • This paper describes multi-scale based ductile fracture simulation using finite element (FE) damage analysis. The maximum and crack initiation loads of cracked components were predicted using proposed virtual testing method. To apply the local approach criteria for ductile fracture, stress-modified fracture strain model was adopted as the damage criteria with modified calibration technique that only requires tensile and fracture toughness test data. Element-size-dependent critical damage model is also introduced to apply the proposed ductile fracture simulation to large-scale components.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tests on SA333 Gr. 6 full-scale pipes at $288^{\circ}C$, performed by the Battelle Memorial Institute.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es on Buried Three-layered Pipeline Subjected to Soil Surface Vibration Compaction Loads (매설 삼중 보온관에 작용하는 진동 다짐 하중의 수치해석적 적용 및 현장 실험 비교, 분석)

  • Kim, Moon-Kyum;Won, Jong-Hwa;Kim, Jeong-Jae;Choi, Bong-Hyuc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421-424
    • /
    • 2010
  • 최근 노후한 기존 구조물의 교체 및 건물 증축으로 인하여, 도심지 내 공사 현장 및 주변 지반에 매설된 지중 배관은 차량 이동 하중 및 건설 장비 하중 등의 진동에 노출이 되어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장비하중이 매설배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예측하기 위하여 실증 실험 결과를 토대로 모델을 검증하고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최대 발생 응력은 외관은 $270^{\circ}$에서, 내관은 $180^{\circ}$에서 발생 하였으며, 이는 폴리우레탄 보온재의 하중 분산 효과로 설명 할 수 있다.

  • PDF

수처리 선진화 사업-옥내급수관 갱생으로 녹물 제거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12 s.209
    • /
    • pp.34-43
    • /
    • 2007
  • 환경부는 산하 수처리선진화사업단에서 수돗물 수질개선대책의 일환으로 연구개발한 옥내급수관 진단, 세척 및 갱생기술을 적용, 서울시와 공동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서울 둔촌동 주공아파트 2개동 80세대를 대상으로 약 1억2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지난 8월 말부터 시행, 수돗물 녹물발생 방지를 위한 갱생기술의 완성도를 검증·확인한다는 것. 기존 옥내급수관 갱생기술은 평균 관직경 15mm인 소형관에 대한 정밀시공이 어려워 녹이 재발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수도관 내부의 녹 제거 및 관 내부 표면이 균일토록 코팅할 뿐 아니라 시공 후 마이크로 로봇을 이용, 관 내부 촬영 및 절연도 체크를 통해 코팅 완성도를 확인, 녹 재발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번 기술이 검증되면 환경부는 선박배관, 빌딩, 냉각수배관, 소화용배관, 산업용배관 등에도 확대 적용하고 해외진출을 통해 물산업 육성 아이템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 2005년 수도법을 개정, 건축연면적 6만$m^2$이상 다중이용건축물과 연면적5,000$m^2$이상 국.공립 공공시설은 준공 5년 후부터 매년 수질검사를 실시, 결과에 따라 수도관을 세척·갱생 또는 교체토록 올해 1월부터 의무화 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