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중 목적 함수 최적화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Comparison Analysis of $\varepsilon$-Multiobjective Evolutionary Algorithm (입실론-다중 목적함수 진화 알고리즘에 대한 비교 연구)

  • 이인희;신수용;장병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41-243
    • /
    • 2004
  • 실제 응용에서 제기되는 많은 최적화 문제는 실제로 여러 개의 목적함수를 가진 최적화 문제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목적함수 최적화 문제에 적용되온 방법 중에서 다중 목적함수 진화 알고리즘은 해집합을 이용한다는 특성 및 목적함수 처리의 용이성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다중 목적함수 진화 알고리즘이라 할 수 있는 입실론-다중 목적함수에 대하여 다양한 최적화 문제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비교 분석해 보았다.

  • PDF

Multi-Objective based Updating of Finite Element Model of Bridge Using Modal Properties (교량의 모드 특성을 이용한 다중 목적함수 기반 유한요소 모델의 개선)

  • Jin, Seung-Seop;Lee, Jong-Jae;Lee, Chang-Geun;Yun, Chung-Bang;Jung, Hyung-J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27-31
    • /
    • 2011
  • 차량의 대형화 및 고속화, 그리고 기존 교량의 노후화를 고려하였을 때, 교량의 건전성 평가는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거동을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유한요소 모델의 신뢰도는 이상적인 가정과 모델링 오차, 교량의 노후화 등에 의해 실제 거동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유한요소 모델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실제 교량의 거동을 계측하여, 이를 기반으로 물리적 의미를 가지는 변수들과 지점의 조건을 수정하는 모델의 개선이 주로 행해진다. 이러한 모델 개선은 최적화 기법을 통해 수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목적함수간 가중치에 의한 모델 개선 결과의 영향과 다중 목적 함수 최적화 기법을 통해, 가중치의 영향을 줄이고, 다양한 개선 모델들을 구하는데 적용하였다. 팔곡 3교의 실제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일 다중 목적 함수 기반의 모델 개선을 수행하였다. 단일 목적 함수의 경우, 정의되는 목적함수는 주로 고유진동수와 모드 형상에 관한 차이의 가중치 합으로 표현되어 지며, 이러한 가중치에 따라, 모델 개선의 결과에 영향을 가함을 확인하였다. 다중 목적 함수 기반의 모델 개선을 통해, 구해진 모델 개선 결과를 단일 목적 함수 기반 모델 개선의 결과들과 비교하였으며, 모델 개선에 대한 다중 목적 함수 최적화 적용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Comparison of the Palate Methods for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toblem (다중 최적화 문제에서 파레토 방법들 비교 연구)

  • Ko, Young-S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d
    • /
    • pp.2639-2641
    • /
    • 2003
  • 유전자 알고리즘은 다윈의 자연선택설과 유전자의 진화 개념을 이용한 적응 탐색 알고리즘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문제의 매개 변수를 유전자와 비슷한 데이터 구조로 부호화하고, 유전 연산자를 이용하여 문제의 해답을 찾는 알고리즘이다. 최근 유전자 알고리즘은 이러한 복수개의 목적 함수를 최적화 하기 위한 다중 최적화 문제를 위한 최적화 기술로서의 관심이 크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전송 문제, 생산 공정 문제 계획 등과 같은 다목적 함수를 다루는 많은 응용 부분에 대해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다중 목적 함수용 예와 Gen과 Kim이 제안한 네트워크 신뢰도를 고려한 연결 비용과 메시지 지연을 고려한 이중 구속 통신망 설계 문제를 가지고 가중치 합과 여러 가지 파레토 방법들을 비교하고 연구 검토 하고자 한다.

  • PDF

Applicability Analysis on Estimation of Spectral Induced Polarization Parameters Based on Multi-objective Optimization (다중목적함수 최적화에 기초한 광대역 유도분극 변수 예측 적용성 분석)

  • Kim, Bitnarae;Jeong, Ju Yeon;Min, Baehyun;Nam, Myung Ji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5 no.3
    • /
    • pp.99-108
    • /
    • 2022
  • Among induced polarization (IP) methods, spectral IP (SIP) uses alternating current as a transmission source to measure amplitudes and phase of complex electrical resistivity at each source frequency, which disperse with respect to source frequencies. The frequency dependence, which can be explained by a relaxation model such as Cole-Cole model or equivalent models, is analyzed to estimate SIP parameters from dispersion curves of complex resistivity employing multi-objective optimization (MOO). The estimation uses a generic algorithm to optimize two objective functions minimizing data misfits of amplitude and phase based on Cole-Cole model, which is most widely used to explain IP relaxation effects. The MOO-based estimation properly recovered Cole-Cole model parameters for synthetic examples but hardly fitted for the real laboratory measures ones, which have relatively smaller values of phases (less than about 10 mrad). Discrepancies between scales for data misfits of amplitude and phase, used as parameters of MOO method, and it is in necessity to employ other methods such as machine learning, which can deal with the discrepancies, to estimate SIP parameters from dispersion curves of complex resistivity.

Microarray Probe Design with Multiobjective Evolutionary Algorithm (다중목적함수 진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마이크로어레이 프로브 디자인)

  • Lee, In-Hee;Shin, Soo-Yong;Cho, Young-Min;Yang, Kyung-Ae;Zhang, Byoung-Tak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5 no.8
    • /
    • pp.501-511
    • /
    • 2008
  • Probe design is one of the essential tasks in successful DNA microarray experiments. The requirements for probes vary as the purpose or type of microarray experiments. In general, most previous works use the simple filtering approach with the fixed threshold value for each requirement. Here, we formulate the probe design as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roblem with the two objectives and solve it using ${\epsilon}$-multiobjective evolutionary algorithm. The suggested approach was applied in designing probes for 19 types of Human Papillomavirus and 52 genes in Arabidopsis Calmodulin multigene family and successfully produced more target specific probes compared to well known probe design tools such as OligoArray and OligoWiz.

A New Surrogate-Assisted Multi-Objective Optimization Algorithm (대리 모델을 이용한 새로운 다중목적함수 최적화 알고리즘)

  • Lim, Dong-Kuk;Yeo, Han-Kyeol;Jung, Hyun-Ky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882-88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설계변수와 목적함수를 동시에 고려해야하는 전기기기 설계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대리 모델을 이용한 새로운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적은 함수호출 횟수만으로도 정확하고 고르게 분포한 Pareto front set을 구현 할 수 있어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하는 전기기기 설계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뛰어난 성능을 기존 알고리즘들과의 비교를 통해 입증하였다.

  • PDF

Sparse and low-rank feature selection for multi-label learning

  • Lim, Hyunki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7
    • /
    • pp.1-7
    • /
    • 202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eature selection technique for multi-label classification. Many existing feature selection techniques have selected features by calculating the relation between features and labels such as a mutual information scale. However, since the mutual information measure requires a joint probability,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joint probability from an actual premise feature set. Therefore,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only a few features can be calculated and only local optimization is possible. Away from this regional optimization problem, we propose a feature selection technique that constructs a low-rank space in the entire given feature space and selects features with sparsity. To this end, we designed a regression-based objective function using Nuclear norm, and proposed an algorithm of gradient descent method to solve the optimization problem of this objective fun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multi-label classification experiments on four data and three multi-label classification performance, the proposed methodology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feature selection technique. In addition, it was showed by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performance change is insensitive even to the parameter value change of the proposed objective function.

Multiobjective Evolutionary Algorithm for DNA Sequence Design (DNA 서 열 디자인을 위 한 다중 목적 함수 진화 알고리즘)

  • 김동민;신수용;장병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316-318
    • /
    • 2002
  • DNA 컴퓨팅은 차세대 컴퓨팅 방법으로서 주목받고 있으나, 실제 생화학 분자인 DNA의 특성에 의한 오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근래에 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DNA 컴퓨팅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방법으로서 실험에 사용될 DNA서열의 생성 단계에서 그 오류의 가능성을 예측하고 이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DNA서열의 적합도를 측정할 함수를 적절하게 정의할 경우 서열 생성 문제가 수치 최적화 문제로 쉽게 환원될 수 있음에 주목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실제 실험에서 발현되는DNA의 다양한 특징을 반영하고 그 최적화를 위하여 다중 목적 함수 진화 알고리즘을 적용하고자 시도하였다. 구현된 알고리즘은 진화의 각 단계마다 우열을 판별할 수 없는 여러개의 서열 묶음을 효과적으로 찾아내었다.

  • PDF

A Study on Determination of Weight Coefficients of Coordinated Multi-reservoir Operating Model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인공 신경망 기법을 활용한 댐 군 최적 연계 운영모형 (CoMOM)의 가중치 선정에 관한 연구)

  • Kim, Jae-Hee;Kim, Sheung-Kown;Lee, Jae-Sung;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00-404
    • /
    • 2008
  • 댐 군 연계운영을 위한 기존의 많은 최적화 모형은 경제성에 기반을 둔 단일 목적 함수를 가정함으로써 현실과는 동떨어진 결과를 도출하곤 하였다. 따라서 보다 현실적인 최적화 모형이 되기 위해서는 실제 운영과정을 모사할 수 있도록 적절한 초기 가중치를 부여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상충되는 목적간의 절충안으로 파레토 프런티어(Pareto-frontier)를 제시할 수 있는 다중목적 의사결정 기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댐 군 연계 운영을 위한 최적화 모형으로 소개된 CoMOM(Coordinated Multi-reservoir Operating Model)의 다중목적함수에 적합한 초기 가중치를 도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화 모형에 적합한 가중치를 결정함에 있어 댐의 초기저수량과 미래의 예상 유입량과 같은 수문 조건을 감안할 필요가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것은 초기저수량과 미래에 예상되는 유입량이 작을 경우 가급적 저수에 중점을 두고, 그 반대일 경우는 발전방류에 주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사실에서 추정해 볼 수 있는 가정이다. 따라서 댐의 초기 저수량 조건과 유입량 시나리오의 다양한 수문 조건별로 가장 적합한 가중치를 찾아본 후, 수문 조건을 입력요소로, 최적 가중치를 출력요소로 갖는 신경망 모형을 활용해서 수문 조건에 적합한 가중치를 예측할 수 있는 절차를 제안한다. 이 과정에서 최적 가중치를 도출하는 것이 관건이 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전승목 (2008)등이 제안한 DEA기반 순위결정 절차를 활용해서 최선의 파레토 최적해와 이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찾아 이를 신경망 모형의 출력요소 값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신경망 모형은 임의의 수문 상황에 대해 이에 적합한 CoMOM의 초기 가중치를 결정해 줌으로써 CoMOM과 같은 최적화 모형의 가중치 선정에 따르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Optimization of the Number of Active Antennas for Energy-Efficiency in the MIMO Broadcast Channel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하향링크 채널에서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기지국 활성 안테나 수 최적화 기법)

  • Choi, Seungkyu;Kim, Dohoon;Lee, Chungy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5
    • /
    • pp.29-34
    • /
    • 2014
  • We introduce a number of antenna optimization problem for the zero-forcing beamforming (ZFBF) scheme to enhance energy-efficiency (EE) of the multiple-input-multiple-output broadcast channel. For proposed optimization problem, we assume an instantaneous channel gain of the ZFBF scheme as an average channel gain, given by $N_a-K+1$, in order to reduce a computational complexity of finding the number of active antennas $N_a$. Then, we convert a fractional-form objective function into a subtractive-form, and find a solution of $N_a$ and the maximum EE by an iterative proces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maximum EE value obtained by proposed algorithm is almost identical to the optimal EE value by the exhaustive search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