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중 검출기 CT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거대 낭포성 폐기종의 진단 3례 (Imaging Diagnosis using Computed Tomography in Three Dogs with Giant Bullous Emphysema)

  • 최수영;오이세;강종일;이인;송유미;정우창;이기자;최호정;이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1-245
    • /
    • 2014
  • 12년령의 미니어쳐 핀셔 1 마리와 각각 8년령, 10년령의 말티즈 2 마리가 호흡곤란을 주증으로 내원하여 흉부 방사선 촬영과 다중검출기 컴퓨터단층촬영을 실시하였다. 컴퓨터단층촬영 시, 호흡의 고정을 위하여 양압환기를 실시하여 무호흡을 유발하였다. 3 증례의 컴퓨터단층영상에서 폐의 과확장된 거대한 낭포성 가스 종괴가 확인되었으며, 종괴에 의한 전종격동 및 심장의 변위가 확인되어, 거대 낭포성 폐기종으로 진단하였다. 거대 낭포성 폐기종은 낭포성 가스 종괴가 동측 흉강의 1/3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다중검출기 컴퓨터단층촬영을 통한 진단으로 유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협착을 유발하는 중심 기관지 병변들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시각화 및 정량화: 임상화보 (CT Findings of Central Airway Lesions Causing Airway Stenosis-Visualization and Quantification: A Pictorial Essay)

  • 최명진;강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6호
    • /
    • pp.1441-1476
    • /
    • 2021
  • 기관-기관지분지는 폐와 전신에 산소 공급을 위한 공기의 통로이며, 다양한 병적 상태들이 이러한 해부학적 부위를 침범할 수 있다. 다중 검출 전산화단층촬영은 다양한 기도 질환들의 진단을 위한 발견 및 특성화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상 기관지경 검사나 자동 폐분석과 같은 후처리를 통해 영상 영상검사의 활용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본 임상 화보에서는 벽비후와 기관 내 결절의 형태로 나타나는 다양한 기관지 병변들의 다중 검출 전산화단층촬영에서의 소견 및 고차원적 영상 시각화와 분석 영상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형적 및 비전형적 충수염의 다중검출기컴퓨터단층촬영 소견: 임상화보 (Multi-Detector CT Findings of Typical and Atypical Appendicitis: A Pictorial Essay)

  • 윤나리;원유동;이수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5호
    • /
    • pp.1047-1065
    • /
    • 2023
  • 다중검출기컴퓨터단층촬영(multi-detector CT; 이하 MDCT)은 높은 정확도를 가진 진단도구로서 충수염과 그 합병증을 평가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MDCT 소견에 근거한 충수염의 진단은 영상 소견이 전형적인 모습과 일치하지 않을 때 어려울 수 있다. 비전형적인 충수염에는 충수 및 맹장의 위치이상을 동반하는 경우, 합병증이 나타난 경우 그리고 충수염을 모방하거나 유발하는 병리학적 소견을 동반한 경우 등 다양한 스펙트럼의 질환이 포함된다. 본 임상화보는 비전형적이고 복잡한 충수염 및 충수염과 유사한 상태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위치이상, 드문 합병증 및 종양, 반응성 충수염, 충수게실염, IgG4 연관 질환을 포함한 병리학적 이상의 관점에서 설명했다. 본 임상화보를 통해 독자들은 다양한 스펙트럼의 비전형적 충수염 MDCT 소견에 더 익숙해질 수 있다.

안면부 골절 수술 전후 다중검출기 전산화 단층촬영의 효용성 비교 (Comparison of the Usefulness of MDCT (Multidetective Computed Tomogram) in Facial Bone Fractures)

  • 홍윤기;김형택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19권1호
    • /
    • pp.28-34
    • /
    • 2006
  • Purpose: In maxillofacial surgery, proper preoperative diagnosis is very important in achieving good postoperative results. Although conventional CT scans are useful for visual representations of fractures, they cannot provide direct guidance for reconstructing facial bone fractures. However, the recent technology of multislice scanning has brought many clinical benefits to CT images. Direct correlations can be made between preoperative imaging data and operative planning.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conventional CT and multidetective three-dimensional CT(3D MDCT) measurements in craniofacial deformities. Methods: From January 2005 to November 2005, MDCT scans of 41 patient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m with conventional CT scans. The 3D MDCT images were assessed and reviewed by using a simple scoring system. Results: The 3D MDCT scans offered easy interpretation, facilitated surgical planning, and clarified postoperative results in malar complex fractures, mandibular fractures, and extensive maxillofacial fractures and cranioplasty. However, 3D MDCT images were not superior to conventional CT scans in the diagnosis of blowout fractures. Conclusion: In spite of its limitations, the 3D MDCT provided additional and more comprehensive information than the conventional CT for preoperative assessment of craniofacial deformities. Therefore, the 3D MDCT can be a useful tool for diagnosis and systematic treatment planning in craniofacial skeletal deformities.

폐질환 조기 검출을 위한 결합 히스토그램 기반의 통계적 특징 인자에 대한 연구 (Study of Joint Histogram Based Statistical Features for Early Detection of Lung Disease)

  • 원철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59-26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폐질환 조기 검출을 위하여 Broncho vascular, Emphysema, Ground Glass Reticular, Ground Glass, Honeycomb, Normal의 6가지 폐조직에 대한 새로운 분류기법을 제안하였다. 단순 베이즈 분류기와 아다부스트 학습 기법을 도입하여 459개의 결합 히스토그램 특징인자로부터 유효한 특징인자를 선별함으로써 폐조직을 분류하였다. 다중 해상도 해석, 체적 LBP 및 CT 휘도를 기반으로 하는 결합 히스토그램 특징인자는 정확도, 민감도, 특이도 결과에서 기존의 3D AMFM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제안한 특징인자와 3D AMFM 특징인자의 정확도는 각각 90.1%과 85.3%로서 제안한 특징인자의 우수한 분류 성능을 확인하였다.

다중검출 나선형 CT로 진단한 기관지 이물 흡인 (Bronchial foreign body aspiration diagnosed with MDCT)

  • 조혜경;조기영;조성윤;손세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8호
    • /
    • pp.781-784
    • /
    • 2007
  • 이물 흡인은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 흔히 발생하는 사고이다. 진단이 늦거나 기도 내에 이물이 오래 머물게 되면 질식의 위험뿐만 아니라 폐렴, 무기폐, 또는 기관지 확장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한다. 또한 세기관지염이나 크루프, 천식 등으로 잘못 진단하고 치료하는 경우가 많이 있게 된다. 저자들은 초기에 세기관지염으로 진단되었다가 기관지 이물 흡인으로 확진되어 치료한 증례를 통해, 자세한 병력청취와 세밀한 진찰소견에 의해 이물 흡인을 강력히 의심하는 것이 진단에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였다. 이 때, 흉부 방사선 이상 소견이 미약하더라도 무시해서는 아니되며 이상 소견이 뚜렷하지 않다면 시간차를 두고 반복 검사를 하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 된다. 이물 흡인의 확진에는 다중검출 나선형 CT 검사가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64 다중 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관전류 자동노출조절 기법을 이용한 두개부 방사선량 감소 정도 평가 (Reducing of Craniofacial Radiation Dose Us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 Technique in the 64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 성열훈;김영옥;최보영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2호
    • /
    • pp.137-144
    • /
    • 2010
  • 64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에서 두개부의 과도한 선량이 문제가 되어 고정관류기법과 관전류 자동노출조절(automatic exposure control, AEC) 기법을 이용하여 선량 감소 정도를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한 장비는 Siemens사의 SOMATOM Definition 64 multi-detector CT를 이용했으며, Whole body phantom (KUPBU-50, Kyoto Kagaku CO. Ltd)의 두개부를 사용했다. 실험 protocol은 helical scan 방식을 적용하여 120 kVp, rotation time은 1 sec, slice thickness와 increment는 각각 5 mm, FOV는 250 mm, matrix size는 $512{\times}512$, collimation은 $64{\times}0.625\;mm$, pitch는 1로 조사하였다. 선량감소효과의 측정방법은 관전류를 350 mAs로 고정한 방법과 AEC 기법을 적용한 방법으로 나누어 평가하였으며, 영상품질은 CT number의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영상의 잡음을 측정하였다. 이 때 두개부(craniofacial bone)는 머리덮개뼈(calvaria) 끝부분에서 눈썹활(superciliary ridge)까지를 1구역, 논썹활 아래부터 코가시점(acanthion)까지를 2구역, 그리고 코가시점 아래부터 턱(mentum)끝까지를 3구역으로 정의하여 측정하였다. 고정관류기법에서 구역별로 CTDIvol은 57.7 mGy였으며, DLP는 $640.2\;mGy{\cdot}cm$로 동일하였다. AEC 기법을 적용한 1구역은 CTDIvol: 30.7 mGy, DLP: $340.7\;mGy{\cdot}cm$, 2구역은 CTDIvol: 46.5 mGy, DLP: $515.0\;mGy{\cdot}cm$, 그리고 3구역은 CTDIvol: 30.3 mGy, DLP: $337.0\;mGy{\cdot}cm$으로 나타났다. 영상품질을 나타내는 CT number의 표준편차는 1구역에서 고정 관류기법은 2.6, AEC 기법은 3.0, 2구역에서 고정 관류기법은 3.1, AEC 기법은 3.4, 3구역에서 고정 관류기법은 2.7, AEC 기법은 3.2으로 측정되었다. 64 MDCT에서의 AEC 기법은 기존의 고정관류법에 비해 안구, 이하선 그리고 갑상선 부위에 대해 큰 선량 감소효과가 나타났으며, 두개부의 방사선량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유용한 기법으로 사료된다.

심박동수 및 관상동맥 석회화가 64 절편 다중검출기 심장 CT의 관상동맥 질환 진단일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eart Rate and Coronary Calcification on the Diagnostic Accuracy of 64-slice Multidetector Cardiac CT in Coronary Artery Disease)

  • 강영한;박종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39-347
    • /
    • 2009
  • 연구목적: 64 절편 MDCT를 이용한 심장 CT의 진단일치도를 알아보고, 심박동수와 관상동맥 석회화가 진단일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여 심장 CT 검사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심장 CT와 관상동맥 조영술을 함께 시행한 178명(남자 84명, 여자 94명)을 대상으로 심장 CT에서 관상동맥 협착과 심박동수, 석회화 수치를 측정하였고, 관상동맥조영술에서 좌전하행동맥, 좌회선동맥, 우관상동맥의 유의한 협착($\geq50%$)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관상동맥 조영술의 결과를 표준으로 심장 CT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kappa index($\kappa$)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환자별 협착의 정도를 평가한 결과 심장 CT의 정확도는 96.6%였다. 혈관별로는 LAD, LCX, RCA 각각 86.5%, 84.3%, 92.1%로 높은 진단일치도를 보였다. 체질량지수와 혈압은 심장 CT의 진단일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심박동수는 60/min 미만에서 정확도 90.1%, $\kappa$값 0.78이었고, 70/min 이상에서는 정확도가 75.8%, $\kappa$값 0.52이었다. 관상동맥 석회화지수 100 미만에서는 정확도가 91.3%, $\kappa$값 0.81이었고, 석회화지수 400 이상에서는 정확도 68.6%, $\kappa$값 0.33으로 떨어졌다. 결론: 64 절편 MDCT를 이용한 심장 CT는 관상동맥 조영술과 거의 비슷한 진단일치도를 나타냈다. 하지만 심박동수 70/min 이상, 관상동맥 석회화지수 400 이상에서는 진단일치도가 저하되었기 때문에 심장 CT 검사 시 심박동수와 관상동맥 석회화지수를 확인하여 검사하여야 하고, 심박동수가 70/min 이상이면 베타차단제를 사용하여 심박동수를 조절하여야 한다.

뇌 동맥류 진단에 있어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과 다중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의 유용성 비교 (The Comparison of Usefulness between MDCT Angiography and DSA in the Diagnosis of Intracranial Aneurysm)

  • 강현수;서선열;한동균;권수일;심수정;조삼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2권4호
    • /
    • pp.184-189
    • /
    • 2011
  • 본 연구는 뇌동맥류로 진단받은 환자 중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DSA)과 다중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MDCT Angiography)의 영상을 비교하여 MDCT 혈관조영술에 대한 뇌동맥류의 선별검사로써 그 유영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병원에서 DSA을 시행한 후 뇌동맥류로 진단 받은 환자 중 MDCT 혈관조영술을 함께 시행한 19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DSA과 MDCT 혈관조영 장치의 영상에서 뇌동맥류의 유무를 분석하였고, 동맥류의 길이를 경부의 크기로 나누어 1보다 크면 경부가 좁은 협경 동맥류, 1보다 작으면 경부가 넓은 광경 동맥류로 분류하여 협경, 혹은 광경 동맥류인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DSA과 비교한 MDCT 혈관조영술의 뇌동맥류에 대한 민감도는 97.4%로 분석되었고, 협경 혹은 광경 동맥류의 일치도는 90.2%, MDCT 혈관조영술에서 뇌동맥류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가 2.5%로 경부의 평균 크기는 2.4 mm였다. 이를 통해 뇌동맥류 선별검사를 위하여 비침습적인 MDCT 혈관조영술은 침습적인 DSA에 비하여 높은 민감도를 보여 매우 유용한 검사로 기대된다.

외국의 컴퓨터 단층촬영 장치의 방어시설 문헌 조사 (Reviews of Radiation Protection and Shielding for Computed Tomography in Foreign Countries)

  • 장건호;양달모;성동욱;이광용;김혁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9권4호
    • /
    • pp.276-284
    • /
    • 2008
  • 전 세계적으로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Computed Tomography, CT)의 임상 적용이 환자의 질병의 조기 진단에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 빈도 또한 매년 급증하고 있다. 새로운 종류의 CT 장치들이 병변을 조기 진단하기 위하여 개발되고 있다. 이 방사선 발생 장치에 의한 환자나 작업 종사자들의 방사선 피폭이 불가피 할 수도 있다. 국내에서는 CT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방사선 방어나 방사선 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의 CT 사용시설에 대한 방사선 방어 시설과 사용 기준에 대한 규정 마련에 토대를 이루기 위하여 외국에서의 CT 장비에 대한 방사선 방어 및 방사선 차폐에 대한 규정을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구글 검색을 이용한 특정 키워드 검색과 방사선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특정 웹사이트를 직접 검색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검색결과 캐나다, 미국, 영국 등의 국가에서 국가의 실정에 맞는 가이드라인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아직 이중 에너지 CT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도 국내 실정에 적합한 CT 장비에서의 방사선 방어, 차폐, 환자나 작업종사자 및 일반인에 대한 방사선 피폭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설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