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이아그리드 구조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8초

초고층 다이아그리드 노드의 최적설계과정 (Optimization Design Process of Diagrid Node for Tall buildings)

  • 김상대;배재훈;주영규;김영주;김도현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211-220
    • /
    • 2011
  • 다이아그리드 구조시스템은 현재 초고층의 하나의 트렌드로써 미적일뿐 아니라 구조적으로 효율적인 시스템이다. 그러나 이러한 효율적인 다이아그리드가 실제적으로 시공이 어려운 데에는 접합부의 문제가 가장 크다. 접합부는 시공상 어려울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비용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다이아그리드 구조를 채택하지 못하고 계획단계에서 그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다이아그리드 노드의 구조적인 물량을 절약하면서 구조적으로 효율적인 다이아 그리드 접합부 모델을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서 제안하고 이를 실험에 직접 적용을 시켜 봄으로써 그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테이퍼드 다이아그리드 초고층 구조물의 형상 최적설계기법 개발 (A Development of a Shape Optimization Design Techniques for the Diagrid Tapered Tall-Building)

  • 한상을;이한주;유종혜;정소영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49-35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파라메트릭 기법을 이용한 최적설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근 들어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는 비정형 초고층 구조물의 최적 다이아그리드 각도를 찾는 것에 대해 연구하였다. 다이아그리드는 비정형 초고층 구조물을 구성하는 대각방향의 부재로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 시스템으로써 다이아그리드의 각도를 최적화 하여 비정형 초고층 구조물의 최대강성을 찾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예제로 비정형 형상인 원통형 구조물과 테이퍼드 원형 구조물에 다이아그리드 최적설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변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다이아그리드의 최적각도를 검토하였다.

원형강관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의 중저층 건축구조물 적용 타당성 평가 (Feasibility Evaluation of CHS Diagrid Systems for Low/Mid-Rise Building Structure)

  • 감삼도;김태진;곽진이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9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84-8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초고층 건축물에 많이 활용되어지는 기둥-가새 시스템인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을 활용하여 중저층 건축물에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시스템은 튜브구조의 형태로 횡력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며 중력하중과 황하중을 기초와 지반에 안전하게 하중을 전달한다. 다이아그리드는 경사기둥과 보를 반복적으로 삼각형 형태로 배치되어 중력하중을 받을 경우 수직부재는 압축력을 보는 인장력을 받게 된다. 경사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접합부는 H-형강으로 설계 시 제작이 복잡하고 외관이 좋지 않다. 하지만 원형강관을 사용 할 경우 복합하지 않은 형태로 설계가 가능하고 외관이 우수하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원형강관은 개방형 단면 부재에 비해 압축좌굴과 비틀림에 대한 성능 등이 우수하여 구조적인 성능이 우수하다. 원형강관을 이용하여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이 고층 건축물 뿐만 아니라 중저층 건축물에도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원형강관 접합부 설계는 한계상태설계법이 사용 된 KBC2008(안)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 PDF

Diagrid 구조시스템의 기술 현황 분석 (State-of-the-Art of Diagrid Structural Systems)

  • 한경수;정인용;주영규;김상대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36-3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다이아그리드 구조시스템의 기술 현황 동향을 파악, 분석하고 향후발전과제를 제시하였다. 비정형 건물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구조 시스템인 다이아그리드의 개념 및 원리를 설명하고 높이, 유형, 지역별로 건물 적용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의 연구 동향을 변수별로 정리하여 추가적인 연구개발 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Diagrid BRB의 실험적 구조성능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for Structural Performance of Diagrid BRB Structural System)

  • 이종혁;주영규;김영주;김상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61-269
    • /
    • 2010
  • 현재 보다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구조 시스템으로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이 있다.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은 접합부 설계 및 시공의 어려움과 가새 부재 좌굴에 의해 내진성능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보안하기 위해 비좌굴 가새를 이용한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이아그리드 시스템과 다이아그리드 BRB 시스템의 골조 실험을 통해 초기 강성, 연성 능력과 에너지 소산능력을 평가였다. 반복가력실험 결과 Diagrid BRB의 초기 강성과 연성능력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BRB 항복 이후에도 지속적인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soTruss® 그리드를 적용한 건물구조시스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uilding Structural System with IsoTruss® Grid)

  • 김태헌;김영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737-742
    • /
    • 2017
  • 본 최근 기존의 모습과는 다른 고층건물의 형태가 대도시에서 랜드마크로서 주목을 끌고 있으며 혁신적인 건물형태에 대한 탐색은 건축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의 구조체에 활용되고 있는 $Isotruss^{(R)}$ 그리드를 건물의 외주골조에 적용하여 구조적 성능을 검토하였다. 구조적 거동을 비교하기 위해 다이아그리드 구조시스템을 준거로 하였다. 동일한 규모의 16층, 32층, 48층 건물을 두가지의 구조시스템으로 설계하였다. 아이소트러스 그리드 구조 부재의 선정은 예비적 설계단계로 생각하여 다이아그리드의 강성에 기준한 설계방법을 이용하였다. 경사기둥의 각도로 아이소트러스 구조는 $59^{\circ}$, 다이아그리드 구조는 $68.2^{\circ}$로 하였다. 횡강성, 철골량, 외부골조의 횡력 부담비율, 기둥의 축력 강도비, 고유 진동수를 비교하였다. 6개의 건물 모델을 해석한 결과 두 구조시스템의 구조적 성능은 유사하나 외주골조의 횡하중 분담율이 아이소트러스 그리드 구조가 93.3%로 다이아그리드 구조의 88.7% 보다 약간 커서 코어 기둥의 배치에 있어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아이소트러스 그리드 시스템은 입면형태가 독특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구조시스템과 동등한 구조적 성능을 보유한 것으로 보인다.

웨브 연속형 다이아그리드 노드의 이력 특성 (Seismic Behavior of Web-Continuous Diagrid Nodes)

  • 정인용;김영주;주영규;김상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75-384
    • /
    • 2009
  • 효과적인 횡력저항 시스템중에 하나인 다이아그리드 구조 시스템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다이아그리드 노드의 바람 및 지진에 대한 구조성능을 해석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특히 용접특성의 반영이 어려운데, 이 연구에서는 횡하중을 받는 다이아그리드 노드의 구조적 거동을 알아보기 위해 실제부재의 5분의 1로 축소한 모형을 이용해 실험을 수행했다. 주요 부위의 용접방법, 설계상세등 5가지 변수에 대하여 총 네 개의 실험체를 제작했다. 한쪽 가새부재에는 압축력을, 다른 쪽 가새부재에는 인장력을 가하는 반복가력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 결과 주요 파괴 원인은 인장력과 부가모멘트에 의한 파괴와 인장력만에 의한 용접부의 파단으로 나뉜다. 용접방법과 설계상세에 따른 초기강성, 항복강도의 차이는 없었다. 용접방법에 따른 파괴 형상의 차이가 있었으며 설계상세는 에너지 흡수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반복하중에 대한 웨브전이형 다이아그리드 노드의 구조적 특성 (Resistance of Web-Separated Diagrid Nodes Subjected to Cyclic Loading)

  • 김영주;정인용;주영규;김상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57-266
    • /
    • 2009
  • 다이아그리드 노드의 지진 및 바람에 의한 반복하중에 대한 구조성능을 해석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용접특성의 반영이 어려워서 한계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횡하중을 받는 다이아그리드 노드의 구조거동을 알아보기 위해 다이아그리드의 노드부를 축소한 모형을 이용해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체는 총 5개이며 실험의 변수는 각 부분의 용접방법, 측면스티프너와 가새 웨브의 겹침길이이다. 한쪽 대각가새에는 인장력을, 다른쪽 대각가새에는 압축력을 가하는 반복가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주요 파괴 원인은 축력과, 방향이 상이한 두 힘의 합력으로 인한 부가적 모멘트에 의한 작용으로 나타났다. 인장력에 의해서 가새 부재의 플랜지가 파단하였고, 압축력에 의해서 가새 플랜지의 국부좌굴이 일어났다. 또한 겹침길이와 용접타입은 초기 강성, 항복 내력 및 에너지 흡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고층 다이아 그리드 구조의 실험적 내진성능계수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Factors for Tall Diagrid Structure)

  • 배재훈;주영규;김영주;김상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75-85
    • /
    • 2010
  • 최근 초고층 건물에 구조적인 측면을 고려한 Freeform Structure라는 개념이 등장하고 있다. 이 형태는 Diagrid, Cantilevered, Tilted로 대변될 수 있는데 특히 다이아 그리드 시스템은 횡저항에 하중의 흐름을 가새 프레임을 따라 분산시킴으로써 효율적인 거동을 보이기 때문에 그만큼 부재를 경량화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Diagrid 구조시스템의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반응수정계수에 대한 신뢰성 있는 자료가 없기 때문에 우수한 내진성능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기타구조 등으로 설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대형 실험을 통해 Diagrid 구조의 반응수정계수를 실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