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이아그리드형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 Development of a Shape Optimization Design Techniques for the Diagrid Tapered Tall-Building (테이퍼드 다이아그리드 초고층 구조물의 형상 최적설계기법 개발)

  • Han, Sang-Eul;Lee, Han-Joo;Ryu, Jong-Hye;Jeong, So-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3 no.3
    • /
    • pp.349-356
    • /
    • 2011
  • In this paper, the optimal diagrid angle of atypical tall buildings has been found using diagrid optimization technique which is based on parametric algorithm. A diagrid is a diagonal grid which can be seen among atypical tall buildings and structures which effectively resist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loads. Therefore, it is also the objective of this studyto find the maximum stiffness of atypical tall buildings by optimizing diagrid angle. Moreover, this study touches on both cylindrical and tapered off cylindrical structures, as shown in the examples to check the compatibility of optimum diagrid angle, which effectively resists horizontal deformation on top by optimization algorithm.

Feasibility Evaluation of CHS Diagrid Systems for Low/Mid-Rise Building Structure (원형강관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의 중저층 건축구조물 적용 타당성 평가)

  • Gam, Sam-Do;Kim, Tae-Jin;Kwak, Jin-I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84-8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초고층 건축물에 많이 활용되어지는 기둥-가새 시스템인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을 활용하여 중저층 건축물에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시스템은 튜브구조의 형태로 횡력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며 중력하중과 황하중을 기초와 지반에 안전하게 하중을 전달한다. 다이아그리드는 경사기둥과 보를 반복적으로 삼각형 형태로 배치되어 중력하중을 받을 경우 수직부재는 압축력을 보는 인장력을 받게 된다. 경사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접합부는 H-형강으로 설계 시 제작이 복잡하고 외관이 좋지 않다. 하지만 원형강관을 사용 할 경우 복합하지 않은 형태로 설계가 가능하고 외관이 우수하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원형강관은 개방형 단면 부재에 비해 압축좌굴과 비틀림에 대한 성능 등이 우수하여 구조적인 성능이 우수하다. 원형강관을 이용하여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이 고층 건축물 뿐만 아니라 중저층 건축물에도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원형강관 접합부 설계는 한계상태설계법이 사용 된 KBC2008(안)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 PDF

Seismic Behavior of Web-Continuous Diagrid Nodes (웨브 연속형 다이아그리드 노드의 이력 특성)

  • Jeong, In Yong;Kim, Young Ju;Ju, Young K;Kim, Sang D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1 no.4
    • /
    • pp.375-384
    • /
    • 2009
  • The application of the diagrid structural system has increased of late, but cyclic loadings such as winds and earthquakes cannot be fully understood through only an analytical study due to the difficulty of considering its welding property. In this study, diagrid nodes that had been scaled down to 1/5 of their full sizes were tested to find out their structural behavior under seismic or wind loads. Four specimens were used with five parameters, including the welding method and the design details. Cyclic loading tests were carried out, where a tensile load was applied to one brace member and a compression load to the other. The major failure modes in the tests were only failure of bending with tensile stress and tension failure. The welding method and the design details had no effect on the initial stiffness and yielding stress but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failure mode and energy dissipation, respectively.

A study on Development of Stress Tolerant Structural System in the Frame of Greenhouses (내재해성이 우수한 비닐하우스골조 구조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Shim, Jong-Seok;Lee, Choon-Ho
    •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 Interior Association
    • /
    • v.12 no.1
    • /
    • pp.5-13
    • /
    • 2012
  • The frame of pipe greenhouses in Korea have been collapsed increasingly due to very weak in structure caused by the heavy snow and strong wind. In order to reduce the collapse of green houses, it is urgent to develop the new structural system in stress tolerant greenhouses. Therefore, this paper performed the structural analysis of greenhouse frame in accordance with snow loads and wind loads. Three type models in structural frame configuration of greenhouses, that is, existing type, diagrid type, and honeycomb type are selected. It was classfied the section shape of structural frames in greenhouses into arch style, standard style, and diagonal standard style. As a result of this paper, it was verified that the structural system of diagrid type is better than that of existing type against snow loads and wind loads in the frame of greenhouses.

State-of-the-art Node of Freeform Structure (프리폼 구조의 노드 기술 현황 분석)

  • Lee, Kyoung Ju;Oh, Jin Tak;Kim, Sang Dae;Ju, Young Kyu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53-153
    • /
    • 2011
  • 현대 건축은 기능적이고 합리적이었지만 획일적이었던 박스형 건축에서 탈피해 형태와 공간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특별한 건축물의 실현을 위해 각 나라의 기술력은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고, 보다 더 독특한 건축물에 대한 관심은 비정형 건축물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비정형 건축물에 적합한 구조로써 프리폼(Free-Form) 구조가 있다. 프리폼 구조로 입체골조(Double Layered Structure)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최근 유리로 되어 투명하고 기하학적 모양의 건축물을 추구함에 따라 평면골조(Single Layered Structure)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평면골조는 축력 지배형과 모멘트 지배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프리폼 구조의 구성 요소 중 가장 취약하고 중요한 부분은 노드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리폼 구조 중 가장 큰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평면골조 모멘트 지배형의 노드에 대한 국내외 기술 분석을 통해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입체골조는 하나의 노드에 여러개의 부재가 3차원으로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골조 시스템에 비해 노드부가 복잡하지만, 건축물의 외관을 유리로 하여 투명하게 하고 비틀리고 구부러진 구조물에 대한 건축적 요구가 많아짐에 따라 평면골조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건물의 구조적, 기하학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드 시스템이 개발 중이며, 가해지는 하중의 특성에 따라 축력 지배형과 모멘트 지배형으로 구분하여 노드의 양상을 분류할 수 있다. 축력 지배형의 대표적인 시스템은 다이아그리드(Diagrid)이다. 축력 지배형 프리폼 구조의 노드는 전체 구조물의 하중을 축력으로 받아 모두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크기가 크고 가새가 2~4개층에 걸쳐서 설치되기 때문에 중량이다. 모멘트 지배형 노드를 갖는 프리폼 구조의 형태는 대부분 지붕 구조로써 지붕 자체의 하중만을 견디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노드부와 노드에 붙는 부재들이 가볍기 때문에 사람이 들 수 있고 노드의 크기가 작아 시공성이 좋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노드의 형태는 힘의 흐름과 쓰임에 따라 다양하다. 평면골조 모멘트 지배형의 노드는 접합방식에 따라 Splice node connection과 End-Face node connection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Splice node connection은 각 부재의 종축으로 노드와 구조부재 사이에 이음재를 두어 연결하고, 연결 형태에 따라 전단력을 전달할 수 있는 1~2개의 접촉면이 생긴다. 전단응력을 받는 볼트로 이음재를 이어 조립하거나 용접으로 접합할 수 있다. 대표 노드로, SBP-1, SBP-2와 POLO-1 등이 있다. End-Face node connection은 각 연결된 부재의 단부와 노드 사이의 연결면은 종축방향의 수직이고, 인장응력을 받는 볼트를 사용하거나 용접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대표 노드로 SBP-4, WABI-1, MERO-1(Cylinder), MERO-2(Block), MERO-4(Double Dish) 등이 있다. 본 기술 현황 분석을 통해 현재 개발된 노드를 분류하고 가장 관심이 높은 Single Layer 모멘트 지배형 노드를 비교, 분석하였다. 최근 건물의 경향을 반영한 프리폼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노드의 개발은 국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그 기술이 개방되어 있지 않다. 국내에서는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에 새로운 노드를 적용하고 고려대학교에서 모멘트 지배형 노드를 개발하는 등 발전 가능성을 보이고 있지만 국외 사례들에 비하면 아직 초기 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용접을 지양하고 공장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며, 프로젝트 별로 상이한 노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요구를 효과적으로 수용하는 구조 효율성을 향상시킨 노드 상세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