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음절 단어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1초

다음절 단어재인에 있어서 음운적 활성화 (Phonological Activation in Multi-syllabic Word Recognition)

  • 이창환;남기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4년도 제16회 한글.언어.인지 한술대회
    • /
    • pp.225-228
    • /
    • 2004
  • 영어단어 중에는 글자 열에 소리가 나지 않는 묵음자를 가진 단어들이 있다(예 : $\underline{k}nowledge$). 이러한 단어들은 같은 위치의 글자 열에 소리가 나는 글자를 가진 단어들(예 :available)과 수행을 비교하여 다음절 단어 재인에 있어서 음운 정보의 역할을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파일럿 연구의 성격을 가진 본 연구의 결과, 어휘판단 과제에서 묵음자가 삭제된 단어 (예 : _nowledge)의 수행이 소리음이 삭제된 단어 (예 :_vailable)의 수행보다 빨랐다. 어휘접근을 반영하는 어휘판단과제에서의 이러한 결과는 다음절 단어재인에 있어서 음운 재부호화가 일어날 수 있는 개연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 PDF

합성음성평가를 위한 다음절 무의미단어 생성과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Multi-syllable Nonsense Wordset for the Assessment of Synthetic Speech)

  • 조철우;김경태;이용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1-58
    • /
    • 1994
  • 인간과 기계의 가장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의 형태인 음성을 통한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여러가지 음성합성, 인식기법들이 제안되고 실용화되고 있다. 특히 음성합성의 경우는 실용화가 상당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가기법에 관하여는 아직도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의미 단어에 의한 합성음 평가법에 사용할 수 있는 다음절 무의미 단어군 작성법을 제안하고 실제로 구현되어 있는 규칙합성기를 제안된 단어군에 의해 평가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제안된 단어군 작성방식은 음소단위 명료도 및 음소환경에 관한 평가를 행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한국어 다(多)음절 단어재인에서의 어휘접근단위 (Unit of Lexical Access in Korean Polysyllabic Word Recognition)

  • 임형욱;임희석;권유안;남기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4년도 제16회 한글.언어.인지 한술대회
    • /
    • pp.229-231
    • /
    • 2004
  • 본 연구는 다(多)음절 한국어 단어재인에서의 어휘접근단위(unit of lexical access)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Taft(1987)가 영어 어휘접근단위를 알아보고자 했을 때 사용한 실험 패러다임을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반응시간에서는 조건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BOSS 조건의 반응시간이 짧은 경향성을 보였고, 반응률에 있어서도 BOSS를 지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물론, 반응 오류가 많은 등 Taft(1987)의 패러다임을 한국어에 적용하기에 부적절했던 점이 있었지만, 적어도 다음절 단어 어휘접근 시 BOSS가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은 알아 볼 수 있었다.

  • PDF

한국어 문장음성합성 시스템의 평가를 위한 다음절 무의미단어의 생성 및 평가에 관한 연구 (GENERATION OF MULTI-SYLLABLE NONSENSE WORDS FOR THE ASSESSMENT OF KOREAN TEXT-TO SPEECH SYSTEM)

  • 조철우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4년도 제11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워크샵 논문집 (SCAS 11권 1호)
    • /
    • pp.338-341
    • /
    • 199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generate a multisyllable onsense wordest for the purpose of synthetic speech assessment and applies th ewordest to assess one commercial text-to-speech system. Some results about the experiment is suggested and it is verified that the generated nonsense wordset can be used to assess the intelligibility of the synthesizer in phoneme level or in phonemic environmental level.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verified that such multi-syllable nonsense wordset can be useful for the assessment of synthesized speech.

  • PDF

일반 청자의 아동 발화 단음절에 대한 교차 지각 분석 (Cross-sectional perception studies of children's monosyllabic word by naive listeners)

  • 하승희;소정민;윤태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1호
    • /
    • pp.21-28
    • /
    • 2022
  • 자음의 정확도와 습득 시기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들은 상당히 많은 반면, 유아 혹은 아동의 발화를 대상으로 한 비전문가 혹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지각 실험은 상당히 빈약한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공백을 채우기 위해 2세에서 6세 사이의 아동들이 자신들에게 친숙하다고 판단되는 단음절 단어를 발화하게 하여, 이 단음절 단어를 자극으로 사용하여 일반 성인화자들을 대상으로 교차 지각 실험을 수행되었다. CVC 형태의 단음절 단어들은 2-6세 사이의 아동들의 발화에서 추출되었으며, 전체 20명으로 구성된 성인 화자들을 5 그룹으로 나누어, 아동 발화를 들리는 대로 받아 적게 하는 과업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다음의 3가지 조건을 상정하여 분석하였다: (1) VC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초성 자음만 아동의 조음과 성인의 화자가 일치하는 조건, (2) 종성은 고려하지 않으면서 CV 형태만 조음과 지각이 일치하는 조건, 그리고 (3) CVC 형태인 단어 전체의 조음과 지각이 일치하는 조건.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단어 전체의 일치도가 가장 낮았으며, 초성만 고려했을 때의 일치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일반적인 경향은 아동들의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아동의 발화와 성인의 지각 반응 사이에 일치도가 높아졌다. 하지만 아동 자음의 습득 연령이 빠르면 2세부터 시작되어 5세 정도면 거의 완성된다고 보고한 전문가들의 진단과는 달리, 일반 성인 화자들은 아동의 발화에 대해서 적어도 5세 정도는 되어야 75% 정도의 일치도를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의 언어 발달 과정에서 관찰되는 일반 성인들의 지각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즉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아동의 말소리 습득과 관련하여 전문가의 정확한 판단과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혹은 전문가가 아닌 일반 성인의 지각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아동 발달 과정에서 5세 전의 아동들에게서 다소 알아듣기 힘든 단어나 자음이 관찰되더라도, 이는 말소리 지연이나 언어 장애와 관련된 현상은 아니라, 아동의 말소리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성인이 가지는 지각의 한계일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소프트컴퓨팅 기법을 이용한 다음절 단어의 음성인식 (Speech Recognition of Multi-Syllable Words Using Soft Computing Techniques)

  • 이종수;윤지원
    • 정보저장시스템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8-24
    • /
    • 2010
  • The performance of the speech recognition mainly depends on uncertain factors such as speaker's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effects.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speech recognition of a number of multi-syllable isolated Korean words using soft computing techniques such as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fuzzy inference system, and fuzzy neural network. Feature patterns for the speech recognition are analyzed with 12th order thirty frames that are normalized by the linear predictive coding and Cepstrums. Using four models of speech recognizer, actual experiments for both single-speakers and multiple-speakers are conducted. Through this study, the recognizers of combined fuzzy logic and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and fuzzy neural network show the better performance in identifying the speech recognition.

한국어 다음절 단어의 초성, 중성, 종성단위의 음절간 조건부 확률 (Conditional Probability of a 'Choseong', a 'Jungseong', and a 'Jongseong' Between Syllables in Multi-Syllable Korean Words)

  • 이재홍;이재학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28B권9호
    • /
    • pp.692-703
    • /
    • 1991
  • A Korean word is composed of syllables. A Korean syllable is regarded as a random variable according to its probabilistic property in occurrence. A Korean syllable is divided into 'choseong', 'jungseong', and 'jongseong' which are regarded as random variables. We can consider teh conditional probatility of syllable as an index which represents the occurrence correlation between syllables in Korean words. Since the number of syllables is enormous, we use the conditional probability of a' choseong', a 'jungseong', and a 'jongseong' between syllables as an index which represents the occurrence correlation between syllables in Korean words. The length distribution of Korean woeds is computed according to frequency and to kind. Form the cumulative frequency of a Korean syllable computed from multi-syllable Korean woeds, all probabilities and conditiona probabilities are computed for the three random variables. The conditional probabilities of 'choseong'- 'choseong', 'jungseong'- 'jungseong', 'jongseong'-'jongseong', 'jongseong'-'choseong' between adjacent syllables in multi-syllable Korean woeds are computed.

  • PDF

영어 학습자의 중간 언어 단어 수준 강세 비교 (Comparison of Word Level Stress Features between Korean, English and the Interlanguage of Korean Learners of English)

  • 이윤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378-390
    • /
    • 2020
  • 영어 강세는 발화된 영어 단어를 이해하는 데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잘못된 강세의 위치는 의사소통의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강세가 없는 것으로 알려진 한국어를 모국어로 둔 영어 학습자는 영어 운율체계를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한국어가 단어 수준에서 이러한 강세를 실현하는 것이 영어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중간언어가 이 두 언어와 어떻게 다른지 연구하였다. 다음 절로 이루어진 4개의 영어 외래어와 그들의 영어 원어 4개가 실험단어로 사용되었다. 10명의 영어 원어민이 영어 원어를 읽었으며 10명의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먼저 영어 외래어를 한국어로 그리고 나중에는 영어 원어를 영어로 읽었다. 120개의 발화 샘플을 분석한 결과 한국어에는 모든 강세 자질로 (즉, 조음 길이, 조음 크기, 조음의 높이) 실현되는 두드러진 음절이 없었다. 반면에 영어는 모든 강세 자질에 의해 일관되게 실현되는 상대적으로 두드러진 음절을 가지고 있었다. 흥미롭게도 영어 강세 실현에 있어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중간언어는 모국어보다도 영어와 비슷한 특징을 보여 주었다.

해외인턴쉽의 영어능력 발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verseas Internships on Development of English Competence)

  • 차미양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99-104
    • /
    • 2019
  • 본 연구는 해외인턴쉽의 외국어능력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15주간 해외인턴쉽 프로그램에 참여한 10명의 한국대학생들이 작성한 영작문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참여학생들은 인턴쉽 전후로 영작문 하나씩을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해 두 영작문의 구성요소 및 어휘 사용면의 변화들을 분석하였고, 이어 통계분석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에 의하면, 참가자들이 인턴쉽 이후에 더 많은 수의 문장들을 사용하였고, 문장들이 더 길어졌으며, 아울러 더 복잡한 구조의 문장을 생성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어휘의 유창성과 사용능력이 증가하였고 문장 내에 다음절의 다양한 유형의 단어들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해외인턴쉽이 외국어능력 향상에 유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꾀하는 중소기업들은 생산성, 품질 등 산업적 능력 제고뿐만 아니라 해외인턴쉽과 같은 훈련프로그램을 통해 인적자원의 글로벌 역량도 강화할 필요가 있겠다.

영어 약모음 /ə/ 교수에 있어서 명시적 Form-Focused Instruction의 효과 연구 (The Effectiveness of Explicit Form-Focused Instruction in Teaching the Schwa /ə/)

  • 이윤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01-113
    • /
    • 2020
  • 본 연구는 명시적 형태 중심 교수법(FFI)이 영어 약모음 /ə/을 교실 상황에서 EFL 학생에게 교수하는 데 있어 얼마나 효과적인지 조사하였다. 25명의 고등학교 여학생이 13명은 실험집단에 12명은 통제집단으로 나뉘어 참여하였다. 또한, 미국인 여성 한 명도 비교 기준점을 위한 음성자료를 제공하였다. 실험집단 참여자는 한 달 반 동안 연구자의 발음과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해주는 인터넷 프로그램의 발음을 따라 하고, 개인별로 피드백을 받았다. 처치 전, 후 참여자들은 14개의 2음절 이상 다음절 실험단어와 그 단어가 포함된 문장을 읽었으며 읽은 문장은 음성자료로 녹음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대응 표본 t 검증과 비모수 Wilcoxon signed-rank 검증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실험군 참여자들은 사전 실험보다 사후 실험에서 영어 약모음을 약 40% 짧게 조음하였다. 하지만 모음 조음 공간에서 혀의 위치를 나타내는 F1/F2 formant에서 실험 참여자의 F1/F2 formant 분포형태는 이 연구의 기준점인 539 Hz (F1) × 1797 Hz (F2)와 상이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반복적인 따라 하기와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명시적인 형태 중심 교수법(FFI)이 영어 발음 교수에 일부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