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양한 도메인/분야 기능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소비자 도메인 스마트그리드 ICT 기술

  • Park, Wan-Gi;Lee, Il-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2
    • /
    • pp.51-58
    • /
    • 2013
  • 글로벌 기후변화 및 에너지 고갈 문제가 전(全) 지구적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다양한 그린 에너지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기존 주력 기술분야와 정보통신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 기술은 이러한 패러다임에서 탄생한 기술 분야이며, 녹색 기술의 대표적인 기술 사례로 분류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개념이 국내에 도입된 이후 기술 개발 성과 실증과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자 시작되었던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구축 사업도 금년 5월을 기점으로 완료될 예정이다.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구축을 통해 소비자 도메인에서의 다양한 에너지관리 솔루션 구축 방법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는 기회도 되었으나 표준화 기반의 상호운용성이 확보되지 않아 컨소시엄 간의 시스템 연동이 어려운 문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그리드는 보다 강건하고 신뢰성 있는 전력시스템의 현대화 및 지능화를 위하여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전력공급자와 소비자 사이의 양방향 전력 및 정보의 실시간 교환 특성을 활용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도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011년 9/15 순환정전 사태는 전력공급 정책과 더불어 전력 소비자에 대한 관리 기능도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크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중요성을 가지는 소비자 분야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그리드 ICT 기술에 대하여 일부 주요 사항을 발췌하여 정리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그리드의 전체적인 현황, 소비자 도메인에서의 스마트그리드 요소기술 및 ICT 기술의 핵심이 되는 소비자 도메인에서 사용되는 통신 기술을 중심으로 소비자 도메인 ICT 기술에 대하여 정리해 보고자 한다.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with ChatGPT: Harnessing AI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지하수 수량 및 수질 관리를 위한 ChatGPT의 활용)

  • Eungyu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12
    • /
    • 2023
  • 지하수자원 관리의 정량적 및 정성적 측면에 있어, 최첨단 인공지능 언어 모델인 ChatGPT의 혁신적인 기능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지하수 자료에 대한 분석과 도출된 문제의 중요도에 따른 목표를 설정, 그리고 지하수 관리 전략 개발에 있어서의 ChatGPT 활용 방법을 논의할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사례로, 지하수자원 관리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들의 개발과 고도화에 ChatGPT가 기여하는 방식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개별 도구들은 지하수자원 관리 결정에 있어 더 나은 예측 및 평가를 제공하여, 지하수 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ChatGPT의 문제 발견 및 해결책 제안 능력에 대해서도 다룰 것이다. 이를 통해 지하수 관리에 있어서의 다양한 문제를 식별하고, 이해당사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ChatGPT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및 문제에 대한 솔루션 접근 방식을 활용한 브레인스토밍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일반 인공지능(AGI)의 개발에 근접하면서 지하수 관리의 자동화 및 가속화 그리고 산업 및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고찰해 볼 것이다. 이를 위하여,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 기술이 더욱 고도화되고 향상되면서, 지하수 관리 및 관련 분야에서의 의사결정, 계획 수립, 그리고 모니터링과 같은 작업들이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하여 토의할 것이다. 본 발표는 지하수 자원 관리 분야에서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 기반 접근법의 가치를 보여주며, 복잡한 지하수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첨단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강조할 것이다. 또한, AGI가 등장할 때까지 여전히 요구되는 지하수 분야 도메인 지식과 전문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다. 지하수 관리자들의 도메인 지식과 전문적 기술은 인공지능 기반 도구와 결합되어 보다 정확한 분석, 예측 및 해결책 도출을 가속화하며 정교화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지하수 관리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들의 인공지능 기술활용은 지속가능한 지하수의 첨단 관리 효과적 달성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 PDF

Intelligent Workbench for Korean Concept-Net Construction (한국어 개념망 구축을 위한 지능형 워크벤치)

  • Hur Jeong;Choi Mi-Ran;Jang Myu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472-474
    • /
    • 2005
  • 개념망은 상당히 도메인에 의존적인 언어자원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메인이 다른 분야에 적용하고자 한다면, 많은 수정이 요구된다. 그러나 개념망의 편집은 언어 이해 능력이 뛰어난 언어학자들 조차도 상당히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대부분의 시간소요는 개념망의 전체적인 계층구조를 스캐닝하는 작업과 특정 노드를 검색하는 작업에 의한 것이다. 기 구축된 개념망을 분석하면 계층관계에 있는 어휘들간의 일관된 규칙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어휘들의 뜻풀이와 상위어간의 관계성, 복합명사와 상위어간의 관계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상위어 추천 기능을 구현하였다. 상위어 추천 기능의 시간 절감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실험자 2인을 대상으로 개념망 구축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상위어 추천 기능이 있는 지능형 워크벤치를 이용할 경우 개념망 작업 시간은 약 $65\%$정도로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지능형 워크벤치는 다양한 도메인에서 요구되는 개념망 구축의 시간 비용 절감에 크게 기절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utomatic Inference Algorithm selection for Real-time Intelligence Service (실시간 지능화 서비스를 위한 추론 알고리즘 선별 기법)

  • Lee, Jung-June;Kim, Kyung-Tae;Cho, Young-Joo;Youn, He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71-72
    • /
    • 2016
  • 베이지안 알고리즘은 추론 분야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기본적인 베이지안 네트워크 이론만으로는 다양한 도메인에 적합한 추론 기능을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도메인의 특성에 맞는 알고리즘이 적용된 다양한 추론 기법들이 연구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지능화 서비스를 위하여 특정 도메인 영역에 대하여 자동으로 적합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알고리즘을 선별하는 기법을 제안한며, 해당 기법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수학적인 모델링과 추론 알고리즘 선택 기법에 대해 서술한다.

  • PDF

BPEL Engine Generator for adding New Functions to BPEL based on Attribute Grammar and Aspect-Oriented Programming (속성문법과 관점지향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한 BPEL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BPEL 엔진 생성기)

  • Kwak, Dongkyu;Kim, Jongho;Choi, Jaeyoung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4 no.5
    • /
    • pp.209-218
    • /
    • 2015
  • BPEL is used in various domains since it can describe the flow of works according to conditions and rules, and it can call web services in service-oriented computing environments. However, new functions that are not provided by BPEL grammar are required in specific domains. Generally, when new functions are required, the domain-specific language should be newly defined and developed, which requires high development cost. In this regard, a new function needs to be defined and added instead of developing domain-specific language with the new functions added. However, such methods only allow an addition of a single function, and it is difficult to design and add new functions according to the needs. This paper defines XAS4B document, which extends the BPEL grammar function through XML schema in order to add new functions, and proposes BPEL engine generator that generates BPEL engine with the new functions added by processing the document. The XAS4B document enables the creation of a new grammar added to BPEL using XML schema. It also shows the process of adding new functions to BPEL engine using AspectJ, JAVA implementation of aspect-oriented programming. The proposed system can add new functions using AspectJ without modifying BPEL engine. This allows the provision of new functions at low cost in various domains.

Development of Ubiquitous Sensor Network Applications based on Software Product Line Approach (프로덕트 라인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 Kim, Young-Hee;Lee, Woo-Jin;Choi, Il-Woo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4A no.7
    • /
    • pp.399-408
    • /
    • 2007
  • Currently various techniques for efficiently developing sensor network applications are developed. However, these techniques provide the method for developing only single sensor network application easily and rapidly. Since sensor network applications control various sensor nodes based on core components of operating system, the technique to develop applications by defining common functionalities of various applications and selecting variable functionalities according to the work flow of specific application is efficient. Accordingly,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that identifies commonality of sensor network application domain and supports option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variability of application by applying product line approach to developing sensor network application. Through the experimental study, we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 network application domain compared with general business domain for product line development. Also, we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by presenting that core assets designed using the proposed variability feature model and VEADL are reused according to the functionalities of each sensor node.

Dialogue System for User Customized Lecture Recommendation (사용자 맞춤형 강의 추천을 위한 대화 시스템 연구)

  • Choi, Yerin;Yeen, Yeen-heui;Kim, D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10a
    • /
    • pp.84-86
    • /
    • 2022
  • Task-oriented chatbots prevail in various filed with the artificial intelligent dialogue system. The need for chatbots in customer services is growing, especially in education businesses given that there are many user inquiries and consultation requests. However, current dialogue systems only function as simple reactions or predetermined and frequently used actions. Meanwhile, the research about customized recommendation system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is very active with a wide variety of educational content. Although a dialogue system and a recommendation system is a core element in this domain, i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being conducted separately. Therefore, we present a study on a recommendation system that can recommend user-customized lectures combined with a dialogue system. With this combination, our system can respond to additional functions beyond these limitations. Through our research, we expect that work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will be improved by applying chatbots in education domains that are becoming more diversified and personalized.

  • PDF

Multiple Facets of Sox Gene (SOX 유전자의 다양성)

  • 홍경원;김희수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4 no.4
    • /
    • pp.716-725
    • /
    • 2004
  • Sox protein family, a transcription factor, has been found in whole animal kingdom, and contains a sequence-specific DNA binding domain called high mobility group domain (HMG). The Sox protein family based on the amino acid sequence of HMG domain was classified into 10 groups. Each group of Sox family shows significant conservation from nematode to human. The HMG domain affect to various developmental cell differentiation through binding to enhancer and regulating other transcription factors. Recently, many molecular biologists focus their research on the illustration of Sox-related disease, evolution and phylogeny. Especially, stem cell research with Sox gene family is indispensable field for understanding of their biological functions. The understanding of Sox genes may contribute to understand their role in human genetic disease and whole animal evolution.

A Study on Lightweight Device Authentication/Authorization Scheme in Smart Home Network (스마트 홈네트워크에서 경량화된 디바이스 인증/인가 기술에 관한 연구)

  • Moon, Jong-Sik;Lee, I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1108-1111
    • /
    • 2008
  • 홈네트워크 기술은 통신과 방송 융합,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빠른 이동 등 IT 전반적인 환경에서 빠른 변화와 함께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해야함으로,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이 융합되어 IT 분야 통합과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디바이스 인증기능을 추가하여 유효한 디바이스를 통해서만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게 하는 한 단계 강화된 보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이를 위해 먼저 보안 고려 사항을 선행하여 점검해야 한다. 또한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로의 진화는 다양한 서비스 도메인에서 홈디바이스 이동이 증가될 것이며, 홈디바이스간의 협업에 의한 새로운 홈서비스가 증가할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의 진화에 따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안전한 이동과 seamless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경량화된 홈디바이스 인증/인가 기술이필요하다. 따라서 홈네트워크 구성 요소들의 여러 가지 사항들을 고려하여, 댁내와 댁외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하고 효율성있는 경량화된 디바이스 인증 및 인가 기술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