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양성 지수

Search Result 1,627,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Evaluation of Meteorological Drought Through Severity of Daily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일단위 표준강수지수의 심도를 활용한 기상학적 가뭄 평가)

  • Kwon, Minsung;Jun, Kyung Soo;Hwang, Man Ha;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02-602
    • /
    • 2015
  • 가뭄에 대한 정의와 구분이 다양하게 존재하나 일반적으로 기상학적 가뭄으로부터 농업적 가뭄, 수문학적 가뭄, 사회경제학적 가뭄으로 전이되므로 강수량의 부족이 가뭄의 첫 번째 원인인 것은 자명하다. 최근까지 여러 가지 기상학적 가뭄지수가 개발되어 다양한 목적으로 세계 곳곳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그 중 적용사례가 가장 많은 것은 표준강수지수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이다. 월단위로 계산되어지는 SPI는 우리나라와 같이 강수의 변동성이 큰 지역에서는 그 활용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최근에는 일 단위 SPI를 산정하여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일단위 SPI는 가뭄기간 동안 가뭄단계가 'Extreme drought'에서 'Moderate drought'로 약해질 경우 가뭄 지속기간이 가장 긴 'Moderate drought' 단계에서 가뭄피해 및 체감하는 고통이 가장 클수 있어, 가뭄에 대응하거나 대국민 가뭄정보 전달에 한계가 있다. 가뭄에 대응하거나 가뭄정보 전달을 위해서는 가뭄이 지속되는 동안 가뭄단계가 높아질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뭄사상의 특성 중 가뭄의 강도(Intensity)와 지속기간(Duration)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가뭄의 심도(Severity)를 활용하여 기상학적 가뭄을 평가하였다. 일단위 SPI 값(강도)을 가뭄기간동안 누적하여 일단위 가뭄심도(SPI-S)를 산정하고 이를 통해 가뭄단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다양한 SPI 대상기간에 대해 최솟값을 취하는 Blended SPI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가뭄심도(SPIB-S)를 산정하고 가뭄단계를 적용하였다. 2001년, 2008-2009년, 2012년 가뭄사례에 적용한 결과 SPI-S(or SPIB-S)는 가뭄기간동안 단계적인 가뭄단계의 상승으로 당시의 가뭄상황을 잘 나타내었다. 이는 SPI-S(or SPIB-S)가 단계적인 가뭄대비와 대응 지수로 가뭄피해 경감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가뭄상황을 지역민들에게 단계적, 일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가뭄극복을 위한 시민참여를 유도하기에 유리할 것이다.

  • PDF

Trend Analysis using Scaling Exponent for Monthly Rainfall Data (월별 스케일 지수를 이용한 경향성 분석)

  • Jung, Younghun;Shin, Ju-Young;Ahn, Hyunj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06-306
    • /
    • 2018
  • 일반적으로 경향성 분석은 연최대강우량으로부터 산정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강우자료 이외의 자료를 이용하여 경향성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기상청 산하의 강우량으로부터 연최대강우량을 추출하고 월단위인 월별 스케일 지수를 추정하였다. 비교를 위해 경향성 분석 방법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Mann-Kendall (MK) 분석을 사용하였고, 추가적으로 MK 분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the block bootstrap-based MK (BBS-MK)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최대강우량을 이용한 경향성 분석 결과는 홍수기 기간에 해당하는 7월부터 10월까지의 경향성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스케일 지수에 대한 경향성 분석 결과에서는 몇몇 지점에서 감소 또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강우 지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경향성 분석을 위해서는 연최대강우량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인자를 이용한 경향성 분석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PDF

Statistical Analysis of Protein Content in Wheat Germplasm Based on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밀 유전자원의 근적외선분광분석 예측모델에 의한 단백질 함량 변이분석)

  • Oh, Sejong;Choi, Yu Mi;Yoon, Hyemyeong;Lee, Sukyeung;Yoo, Eunae;Hyun, Do Yoon;Shin, Myoung-Jae;Lee, Myung Chul;Chae, Byungsoo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64 no.4
    • /
    • pp.353-365
    • /
    • 2019
  • A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prediction model was set to establish a rapid analysis system of wheat germplasm and provide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protein contents. The variability index value (VIV) of calibration resources was 0.80, the average protein content was 13.2%, and the content range was from 7.0% to 13.2%. After measuring the near-infrared spectra of calibration resources, the NIRS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 regression analysis between protein content and spectra data, and then optimized by excluding outliers. The standard error of calibration, R2, and the slope of the optimized model were 0.132, 0.997, and 1.000 respectively, and those of external validation results were 0.994, 0.191, and 1.013,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a developed NIRS model could be applied to the rapid analysis of protein in wheat. The distribution of NIRS protein content of 6,794 resources were analyzed using a normal distribution analysis. The VIV was 0.79, the average protein was 12.1%, and the content range of resources accounting for 42.1% and 68% of the total accessions were 10-13% and 9.5-14.6%, respectively. The composition of total resources was classified into breeding line (3,128), landrace (2,705), and variety (961). The VIV in breeding line was 0.80, the protein average was 11.8%, and the contents of 68% of total resources ranged from 9.2% to 14.5%. The VIV in landrace was 0.76, the protein average was 12.1%, and the content range of resources of 68% of total accessions was 9.8-14.4%. The VIV in variety was 0.80, the protein average was 12.8%, and the accessions representing 68% of total resources ranged from 10.2% to 15.4%. These results should be helpful to the related experts of wheat breeding.

A Study and Review of Gender Inequality Index (국제지표로 살펴 본 성평등지수)

  • Seong, Moonj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6
    • /
    • pp.43-49
    • /
    • 2016
  • This paper explains concepts and methods of indexes measuring gender gaps. There are mainly 4 indexs, GDI, GEM, GII and GGI. UNDP developed GDI, GEM and GII. WEF developed GGI. Each index has its own strengths and weak poi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each index in detail. For Korea, as men and women have been developed equally in areas of education and health, the GDI score was in a high group. However, the GEM and GGI scores were low. This implies that in order to reduce gender gaps, it is necessary to expand gender equality policies empowering economic and political empowerment.

Water Supply Stability Analysis using Reliability Indices for Water Distribution Network (신뢰도 지수를 활용한 상수관망의 용수공급 안정성 분석)

  • Jeong, Gimoon;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65-65
    • /
    • 2017
  • 상수관망 시스템(Water Distribution System, WDS)은 원활한 용수 공급을 위해 구축된 사회기반시설물로써, 물 공급절차에 따라 그 구성요소를 공급원, 공급 경로, 수요지 등의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원활한 물 공급이란 수요지에서 요구하는 수량과 압력 수준을 충족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상수관망의 용수공급능력은 요구 수량 및 압력과 실제 공급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가늠할 수 있다. 과거에는 두 가지 기준을 별도로 산정하여 이를 평가하였으나, 유량과 압력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에너지 기반의 평가 방법이 제시되면서 시스템 내 에너지 분포를 정량화하여 시스템의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자들은 시스템 내 에너지 흐름 상태를 정량화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상수관망의 신뢰도지수(Reliability Index)를 제안한 바 있다. 이 때, 대부분의 신뢰도 지수 연구에서는 수요지에 공급된 에너지를 기본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최소요구 에너지(Required Energy)와 비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잉여 에너지(Surplus Energy)로 구분하고 있으며, 잉여 에너지를 상수관망의 공급 안정성을 나타내는 핵심 요소로 활용하고 있다. 확보된 잉여 에너지는 비상시 최소요구 에너지를 대체하는 개념에서 복원력으로 표현되어, 잘 알려진 Resilience Index(RI)를 비롯해 많은 복원력 지수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복원력 지수를 포함한 세 가지의 신뢰도 지수를 적용하여 상수관망의 용수공급 상황 변화에 따른 시스템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절점별 복원력 지수를 산정하고 그 분포를 공간적으로 도시하여 파악함으로써, 비상시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판단기준으로써 신뢰도 지수를 폭 넓게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Study of Dominance-Diversity on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Kangwon-do (강원도 신갈나무 군락의 우점도 다양성에 관한 연구)

  • 장규관;송호경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160-165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minance-diversity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hich characterize the boreal-temperate deciduous forest in Korea. Employing the releve method of Muller-Domboes and Ellenberg, 100 quadrats were sampled in the natural forest of Mt. Odae, Mt. Chumbong and Mt. Jungwang in Kangwon-do, wher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s in the situation of climax or subclimax. On the basis of Braun-Blanquet method, field survey, which accounts ffor the characters of the species structure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as carried out between 1991 and 1994.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as relatively in a stable condition because of the even distribution of its various indices: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as 0.4~1.2; the species richness index was 2~11; the evenness index was 0.6~0.9. The dominance-diversity curve were comparatively of lognormal distrivution with a gentle slope in all communities. The species sewuence curve for Quercus mongolica - Lindera obtusiloba community had relatively a steep slope, which meant that the evenness of the community would be low. The species sequence curve for Quercus mongolica - Carpinus cordata community had a slow slope, which meant that the evenness and the stability of the community would be high.

  • PDF

Analysis of Hydrological Drought Considering MSWSI and Precipitation (MSWSI와 강수인자를 고려한 수문학적 가뭄 분석)

  • Jeong, Min-Su;Lee, Chul-Hee;Lee, Joo-Heon;Hong, Il-Py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2
    • /
    • pp.668-678
    • /
    • 2017
  • In this study, the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with precipitation as a major factor were calculated, and various analyses of hydrological drought were conducted. The 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 (MSWSI) was applied to the hydrological drought index and Standardize Precipitation Index (SPI) was used to estimate the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The target area for the estimation is the dam area among MSWSI categories. The 4001 basin with 43 years data from 1975 to 2017 was analyzed for the drought occurrence status and time series plotted with the monthly SPI and MSWSI. For the dam watershed based on the precipitation that has the role of a water supply in the hydrological cycle, correlation analysis of precipitation, dam inflow, and stream flow was performed by the monthly and moving average (2~9 month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index by monthly and moving average (3, 6 months) was then calculated. The result of multifaced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drought index and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is believed to be useful in developing water polic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limate Indices and Inflow on Multi-Purpose Dam Watersheds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유역 다목적댐 기후지수와 댐 유입량의 상관성 분석)

  • Kim, Jung Min;Park, Jin Hyeog;Jang, Suhyung;Kang, Hyun woong;Hwang, Man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08-408
    • /
    •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 기후의 시 공간적 변동성과 패턴의 이상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물 순환 특성의 변화는 이수, 치수, 환경 그리고 친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치수 및 이수 등 국내 수자원 관리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다목적댐 운영에서도 기후변화에 따른 유입량의 불확실성 증가로 안정적인 용수공급에 대한 어려움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유역 내의 수문학적 반응은 기상 및 지표 수문 인자의 물리적 상호메카니즘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강우, 기온, 습도, 바람 등 기상학적 인자들은 유역 내의 수문 변동성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인자이며, 이들 기상인자의 변동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기후지수(Climate Index, CI)는 지표수문인자인 유출과의 상관관계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AR5 RCP 시나리오 기반의 기상인자에 대한 기후지수(CI)를 산정하고 다목적댐 유입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대상유역의 기상 및 유입량 관측자료(1976-2005)는 기상청과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를 이용하였으며, AR5 RCP 시나리오 기반의 유입량 자료(2005-2099)는 통계적 기법(QDM)으로 상세화된 기상자료를 입력인자로 수문모형(PRMS)을 통해 산정하였다. 또한, 기후지수(CI)와 유출지수(Standardized Streamflow Index, SSI)의 상관성 분석을 위해 Pearson 적률상관 분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Student t 검정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론과 결과는 기후변화에 따른 다목적댐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Aboveground Biomass and Measures of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in Quercus mongolica-Dominated Forest, Mt. Jeombong (점봉산 신갈나무군락의 생물종 다양성, 구조 다양성과 지상부 생물량의 관계에 대한 연구)

  • Jeong, Heon Mo;Jang, Inyoung;Hong, Seungbum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0 no.6
    • /
    • pp.1022-1031
    • /
    • 2016
  • Relationships of standing biomass with biodiversity and structural diversity were examined in the Quercus mongolica-dominated forest in Mt. Jeombong, Gangwon-do. We examined the standing biomass of the Q. mongolia community ($311.1ton{\cdot}ha^{-1}$) from 2004 to 2013, and the observed major species were Q. mongoilca, Carpinus cordata, Tilia amurensis whose standing biomasses were $206.3ton{\cdot}ha^{-1}$ (66.3%), $36.9ton{\cdot}ha^{-1}$ (11.9%), and $30.6ton{\cdot}ha^{-1}$ (9.8%), respectively. Although the number of Q. mongolica individuals was very small compared with total density, the reason that Q. mongolica showed the most biomass than other species is due to greater averag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and the higher number of $DBH{\geq}50cm$ individuals. We calculated the range of Shannon index (H') and Shannon evenness (J') in the Q. mongolica community, and they were gradually increased in time, showing 2.015~2.166, 0.673~0.736, respectively. Their H' and J' showed positive linear relationships with their standing biomass. This indicates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tanding biomass in Q. mongoilca community becomes more homogeneous with time and this homogenization appears in various specie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we estimated biomass-species index (BS) and abundance-biomass-speciesdiversity (ABS) and they also showed gradual increase in time, ranging from 3.746 to 3.811 and from 4.781 to 5.028, respectively. Their indices showed positive linear relationships with the standing biomass. This can be explained from the observations of variations in standing biomass with tree diameters as the differences in the average standing biomass in the community have reduced gradually in time.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increase in the structure diversity of the Q. mongoilca community enhances the efficiency in carbon sequestration and productivity, so the community can be developed to a more sustainable ecosystem with more abundant resources. Thus, applications of uneven-aged plantations with considerations of local ecological properties can be a very efficient reforestation method to ensure stable support of biodiversity and produ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