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약제 복용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4초

다약제 복용 노인의 약물 오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Drug Misuse Behaviors among Polypharmacy Elderly)

  • 이종경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54-563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drug misuse behaviors among polypharmacy elderly.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urvey. Participants consisted of 116 polypharmacy elderly who were taking 5 or more medications each day. Data were collected via face to face interview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18.0 program. Data concerning predisposing factor (knowledge, benefit), enabling factor (communication with health care provider), and need factor (perceived health status, number of disease) were collected. Results: The total mean score of drug misuse behaviors among polypharmacy elderly was 3.04 out of 10 points. Communication with health care provider, perceived health status, and knowledg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rug misuse behaviors.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 total of 42% of the variance in drug misuse behaviors was accounted for communication with health care provider, perceived health status, and knowledge. Conclusion: Therefore,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communication with health care provider, and knowledge should be designed and provided for polypharmacy elderl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Prevention System for Side Effects of Polypharmacy Components Utilizing Data Queuing Algorithm

  • Choi, Jiwon;Kim, Chanjoo;Ko, Yunhee;Im, Hyeji;Moon, Yoo-Jin;McLain, Reid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217-225
    • /
    • 2021
  • 이 논문은 데이터 큐잉 알고리즘과 의약품 빅데이터를 통해 약품 성분-성분 간의 정보와 질병-성분 간의 정보를 지원함으로써 의약품 다약제 복용 시 부작용이 발생 가능한 약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또한, 의약품 성분에 더하여 복용이 금지된 의약품, 공급업체, 유통업체의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의료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의 의약품 복용에 대한 불안감을 덜어줄 수 있다. 제공되는 대표적인 정보는 두 가지 약물 사이에서 일어나는 부작용, 특정 의약품의 주성분과 효능, 동일한 제약회사에서 제조된 의약품, 만성 질환 환자가 주의해야 할 약품 성분 정보이다. 앞으로, 희귀병 약이나 신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필요하다.

낙상으로 입원한 노인의 다약제복용과 잠재적 부적절 약물 사용 (Polypharmacy and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in Elderly Patients Hospitalized after Falls)

  • 김지연;최수영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4권3호
    • /
    • pp.161-170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olypharmacy and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PIM) use in elderly patients admitted to hospitals after falls. Methods: The study surveyed 283 patients 65 or older admitted January 1-December 31, 2016. Data were collected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medications administered immediately prior to admission were examined. PIM use for patients was investigated using the Beers criteria, and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 average age of participants was 79.42± 8.16, and the study included 226 women (79.9%) and 57 men (20.1%). The average number of self-administered medications daily was 4.94± 3.68, and 55.1% took five or more medications. PIM use was found in 107 patients (37.8%).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lypharmacy according to age, and the proportion of medical aid beneficiaries and prevalence of cardiocerebrovascular, endocrine, and other chronic diseases were higher in the polypharmacy and PIM use patients than in the non-polypharmacy and non-PIM use patients.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medications taken were significantly high among polypharmacy and PIM use patient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minimize polypharmacy and PIM use, and establish a system for systematically evaluating and managing medication use to prevent falls in the elderly.

Rifampicin단독내성 폐결핵 (Mono-Rifampicin-Resistant Pulmonary Tuberculosis)

  • 심태선;이기만;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5호
    • /
    • pp.618-627
    • /
    • 1999
  • 연구배경 : Rifampicin (RFP)은 결핵단기요법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약제이다. RFP내성 결핵균은 대부분 isoniazid (INH)에도 내성이며, 따라서 RFP내성은 다제약제내성의 지표이다. 그러나 최근 서구에서는 드문 것으로 알려진 RFP단독내성결핵이, 특히 HIV감염과 연관되어 많은 빈도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서구와는 다른 환경을 가진 국내에서 RFP단독내성결핵의 빈도, 가능한 원인들, 및 임상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1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서 대한결핵협회에 의뢰하여 결핵균 감수성검사 결과가 확인된 699명(921검체)중 INH감수성, RFP내성결과를 보인 총 18명(31검체)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과거결핵의 병력, 약제복용력, 동반된 전신질환 유무, HIV검사 여부, 위장질환 여부, 감수성 결과의 변화 양상, 그리고 RFP단독내성 확인후 약제의 변경등 임상 경과를 고찰하였다. 또한 보관된 6 균주는 염기서열결정법으로 rpoB유전자의 돌연변이 양상을 확인하였다. 결 과 : 18명의 평균나이는 $43{\pm}14$세였고 남녀비는 12 : 6이었다. 18명중 16명(89%)에서 과거 결핵을 앓은 병력이 있었고, 이 중 약제복용력이 확인된 12명중 11명은 불규칙하게 약제를 복용하였다. 특기할 만한 위장질환을 진단받은 병력은 없었으며, RFP을 단독으로 복용한 병력도 없었다. 기저질환으로 당뇨병이 4예에서 있었다. HIV검사가 시행된 2명 모두 음성이었다. 11명에서 감수성검사가 2회 이상 반복 시행되었는데, 6명에서는 RFP단독내성을 유지하였고 5명에서는 다제내성으로 바뀌었다. 8명(44%)은 완치되었으며, 6명(33%)은 치료실패하였고 3명(17%)은 추적검사에서 소실되었으며, 1명은 아직 치료중이다. rpoB 유전자 염기서열결정법을 시행한 6균주중 5예에서 rpoB유전자 돌연변이가 발견되었으나 새로운 형태의 돌연변이는 없었다. 결 론 : HIV감염율이 서구에 비하여 낮은 국내에서 RFP단독내성 폐결핵의 임상상은 다제내성결핵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일부 RFP단독내성결핵은 RFP을 포함한 1차약제만으로도 완치가 가능하였고, 이는 RFP 단독내성이 다제내성결핵과는 다른 부류일 가능성도 시사하였다.

  • PDF

상급종합병원 근처의 한 지역약국 처방전 분석에 의한 노인 환자의 다약제복용과 약제비용 및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사용 관련 위험인자 (Risk Factors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and Cost by Polypharmacy among Elderly Patients of a Community Pharmacy near a Top Tier General Hospital)

  • 김아람;김홍아;이정연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9-165
    • /
    • 2015
  • Objective: Polypharmacy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adverse drug-related events and cost. It aim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polypharmacy and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PIM), the factors affecting polypharmacy and cost in elderly outpatients. Method: A pharmacy claim data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with elderly patients prescriptions at a pharmacy located near a top tier general hospital. The numbers of medications per person, prevalence of polypharmacy and PIM according to the 2012 Beers criteria and Korea PIM list, medication cost and the factors affecting polypharmacy were investigated. Results: Forty-six percentages of the elderly outpatients received polypharmacy and over 21% of them had medications listed in Beers or Korean PIM. In multiregressional analysis, we found that age, gender and insurance types were affective factors of polypharmacy. (p < 0.001, 0.047, 0.009, respectively). The cost of polypharmacy with PIM in elderly outpatients was increased with age. Various approaches of interventions would be further required.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다약제 복용(Polypharmacy)과 부적절한 약물사용 실태 (Status of Polypharmacy and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of the Elderly in Nursing Homes)

  • 김정선;강숙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37-249
    • /
    • 2013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status of polypharmacy and inappropriate medications use of the elderly of in nursing hom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0 elderly people in the nursing homes of G city and K city, In this study, the medications were classified by 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ATC) code, polypharmacy was defined as taking medications more than five, and inappropriate medications use were identified by Beers criteria. Data was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Total number of drug types in this study was the average $6.1{\pm}2.6$. The subjects with polypharmacy were 193(71.5%), and with inappropriate medications use were 138(51.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lypharmacy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seases(p<.001) and in the inappropriate medications use according to age(p=.018). Baesd on this study, polypharmacy and inappropriate medications use of elderly people were main problems that need to carefully assess for safe and correct medication usage in nursing home. Therefore, an ongoing medication monitoring system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adverse drug reactions of elderly.

지역사회 거주 여성노인의 근감소성 비만 유병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and Factors Related to Sarcopenic Obesity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 이민혜;박연환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30-37
    • /
    • 2017
  •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prevalence and identify factors related to sarcopenic obesity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Methods: This is a secondary analysis of the prospective cohort study. Our analysis included 338 elderly women (${\geq}65$ years old) in South Korea as a part of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 Health Cohort (COHC) Study (2014-2015). Sarcopenic obesity was defined as the Asian Working Group of Sarcopenia recommendations and upper two quintiles for percentage body fa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factors related to sarcopenic obesity including chronic diseases, medications, stress, fatigue, depression, exercise, level of proteins on body compositions, smoking, and alcohol use. Results: The prevalence of sarcopenic obesity was 6.2%. A lower protein on body compositions (OR 0.017, 95% CI 0.003-0.081, p< .001), a larger number of medications (OR 2.104, 95% CI 1.404-3.152, p< .001), and a higher level of fatigue (OR 1.255, 95% CI 1.023-1.541, p= .030) were related factors of sarcopenic obesity.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nutritional interventions focusing on protein intakes should be needed to prevent sarcopenic obesity among the elderly women. Polypharmacy issue for preventing adverse outcomes and level of fatigue as indicator for early identification are also considered to develop community prevention programs.

독거노인의 일반의약품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Use of Over-the-Counter Medications in the Elderly Living Alone)

  • 윤여송;백기청;이경규;이석범;김경민;이정재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2호
    • /
    • pp.172-178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에서의 비처방 일반의약품의 사용행태를 조사하고 그 예측 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일 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1,099명을 대상자로 시행되었다. 비처방 일반의약품의 사용행태, 인구사회학적 정보, 신체 건강상태(Cumulative illness rating scale, CIRS), 인지기능, 기분 장애 등을 자가설문지와 훈련된 간호사의 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비처방 약물 사용행태나 인구학적 변인에 대해서는 기술적 통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비처방 약물 사용과 관련된 예측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 과 전체 대상자의 35.4%가 비처방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진통제는 가장 많이 처방되는 약물로서 비처방 약물 복용군의 38.3%가 진통제를 처방받았다. 우울증(OR=1.44, 95% CI=1.10~1.87)과 누적질환평가척도(Cumulative illness rating scale, CIRS)로 측정한 신체건강 중증도(OR=1.08, 95% CI=1.03~1.12)가 비처방 약물 사용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결 론 독거노인에게서 우울장애와 신체건강 중증도는 비처방 약물 사용의 예측인자가 될 수 있으며 임상가는 노인의 비처방 약물의 사용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항결핵제 사용 중 폐병변의 일시적 악화를 보인 환자의 임상상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radoxical Response to Chemotherapy in Pulmonary Tuberculosis)

  • 김수희;정효영;이기동;신민기;정태식;진병철;김현정;유진종;이종덕;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1호
    • /
    • pp.27-35
    • /
    • 2002
  • 목 적 : 결핵 치료 중 폐병변이 일시적으로 악화를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적절한 항결핵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병변이 커지거나 새로운 병변이 생기는 것으로, 폐암과 약제 내성 결핵 또는 비결핵 마이코 박테리움증 등에 의한 치료 실패와 감별을 요한다. 결핵 치료 중 생기는 일시적 악화의 임상 양상과 경과를 관찰하고 이것의 예측 인자를 찾음으로써 다른 질환과의 감별에 도움되고 사망률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3월부터 2000년 7월까지 경상대학병원에서 폐결핵과 결핵성 흉막염으로 진단 받고 6개월 이상 항 결핵 약제를 복용한 환자 205명을 대상으로 하여, 투약 시작 후 약 1개월 간격으로 촬영한 흉부 방사선의 변화를 비교하여 일시적 악화를 판단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 205명 종 일시 적 악화틀 보인 환자는 29명(14.1%)이었다. 항 결핵 약제 투여 후 일시적 악화를 보이는 시기는 평균 32일이었고, (폐결핵:평균 35일, 흉수 결핵:평균 25일), 대부분 1개월 째에 일시적 악화를 보였다. 일시적 악화 후에 치료전의 병변보다 줄어드는 데 걸려는 기간은 평균 116일이었고 (폐결해 :114일, 흉수 절핵 :124일), 3 개월 째에 호전 (29%)되는 환자가 가장 많았다. 일시적 악화를 보인 환자 29명중 남녀 비율은 4.8 : 1 (24명:5명)로서 남자 환자가 많았다. 항 결핵제를 사용하기 전의 초기 백혈구 수는 일시적 악화를 보인 군에서 평균 8610/$mm^3$로 그렇지 않은 군의 7308.6/$mm^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22). 평균 LDH 농도는 일시적 악화군에서 850.6 IU/L으로 그렇지 않은 군의 594.6 IU/L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85). 결 론: 항결핵제 사용 중인 환자에서 일시적 악화의 빈도는 14.1%였고, 1 개월 이내외 환자가 가장 많았고, 대부분 4개월 경에 호전되는 양상이었다. 남자인 경우와 혈액의 백혈구 수치가 높은 경우가 일시적 악화를 보인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혈액의 백혈구 수치는 일시적 악화의 예측 인자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흉수 내 총 LDH 농도는 일시적 악화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는 없었으나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85).

역설적 반응에 의하여 동시에 결핵성 뇌농양 및 결핵성 복막염이 발생한 증례 1예 (A Case Report of Tuberculous Brain Abscess and Tuberculous Peritonitis Developing Due to Paradoxical Reactions)

  • 안태홍;박민범;이기조;정은호;김진우;서상렬;강석우;김은나;한윤주;조삼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6호
    • /
    • pp.457-462
    • /
    • 2009
  • 역설적 반응은 감수성 있는 항결핵제를 복용중인 결핵 환자에서 치료시작 당시의 병변이 악화되거나 새로운 병변이 생기는 현상이고 이는 치료실패와 감별을 요한다. 일반적으로 역설적 반응은 기존 항결핵 치료로 좋은 결과를 보이므로, 이러한 임상 경과를 잘 이해함으로써 불필요한 검사나 치료약제 변경 등을 하지 않고 적절히 치료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저자들은 적절한 항결핵제 치료 중에도 역설적 반응으로 결핵성 뇌농양, 결핵성 복막염이 연속적으로 병발한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