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슬기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42초

다슬기, Semisulcospira gottschei (V. Martens)의 출산유도 및 인공종묘생산

  • 방인철;박상용;이윤아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79-280
    • /
    • 2001
  • 다슬기는 복족강(Castropoda), 중복족목(Mesogastropoda), 다슬기과(Pleuroceridae), 다슬기속으로 분류되는 담수권 패류로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대인 중국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2속 9증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자웅이체이며 난생 또는 난태생을 한다. 다슬기는 전국에 걸쳐 강, 호수, 관개수로, 세천 등 수류가 빠르고 수심이 말은 계류에서 서식한다. 다슬기는 다슬기방, 다슬기엑기스 등의 식용 및 건강보조제로 이용되고 있는 유용 수산자원으로서 개발 가치가 매우 높으나 그 자원량 조차도 조사되지 않은 실정이다. (중략)

  • PDF

한국산 다슬기 과 7 종의 치설 연구 (Study on Radulae of Seven Species of the Family Pleuroceridae in Korea)

  • 고정호;이준상;권오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5-115
    • /
    • 2001
  • 국내에 서식하는 다슬기 과의 곳체다슬기 (Semisulcospira gottschei), 참다슬기 (S. coreana), 주름다슬기 (S. forticosta), 좀주름다슬기 (S. tegulata), 다슬기 (S. ibertina), 염주알다슬기 (Koreanomelania nodifila), 띠구슬다슬기 (Koreoleptoxis globus ovalis)의 치설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다슬기과 담수패류의 치설은 모두 한 열 (transverse row)에 7개 (M+2L+4M)의 이빨을 갖는 리본 모양의 유설형(taenioglossa)이다. Semisulcospira 속의 5 종 (곳체다슬기, 참다슬기, 주름다슬기, 좀주름다슬기, 다슬기)의 중치는 3 + 1 + 3 또는 2 + 1 + 2의 치첨수 배열을 이루는 대칭구조를 보이며 평균 98-112 개의 치열로 구성되어 있다. 염주알다슬기(Koreanomelania nodifila)의 중치는 2 + 1 + 2의 치첨수 배열을 이루는 대칭구조를 보이며 평균 118 개의 치열로 구성되어 있다. 띠구슬다슬기 (Koreoleptoxis globus ovalis)는 3 + 1 + 3의 치첨수 배열을 이루는 대칭구조를 보이며 평균 213 개의 치열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결과 다슬기과 7종의 치설 구조는 뚜렷한 속간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종간 구조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 PDF

곳체다슬기 (Semisulcospira gottschei)의 번식주기와 보육냉내 유생조성

  • 장해진;장영진;방인철;김영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89-290
    • /
    • 2001
  • 다슬기는 강, 호수, 연못 및 계곡 등에서 서식하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및 대만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이중 곳체다슬기 (S. gottschei)는 복족강, 중복족목, 다슬기과, 다슬기속으로 분류되며, 자웅이체로 난태생이다. 최근 다슬기의 자원량이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 실정임에 따라, 업계에서는 다슬기 양식을 검토중이나, 이에 대한 기반지식의 부족으로 양식기술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중략)

  • PDF

한국산 Semisulcospira속 ( 다슬기과 : 복족강 ) 패류 5종의 동위효소 변이 (Isozyme Variations of the Genus Semisulcospira ( Pleuroceridae : Gastropoda ) in Korea)

  • 김재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1-179
    • /
    • 1995
  • 한국산 다슬기류의 종별 유전적 변이를 알아보고 계통분류학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슬기속(Simisulcospira)에 속하는 다슬기(S. libertina),주름다슬기,(S. forticosta), 곳체다슬기(S. gottschei), 좀주름다슬기(S. tegulata)및 참다슬기(S. coreana)등 5종을 전국 각지에서 채집하여 전기영동(starch gelelectrophoresis)를 이용해 분자유전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용약하면 아래와 같다. 유전적 다형형의 빈도는 58%에서 83%로 대단히 높았고 이형접합자의 평균 빈도도 50%내외였다. Rogers' D를 근거로 한 각 종간 유연관계는 주름다슬기와 곳체다슬기가 근연관계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들 두 군과 다슬기는 유전적으로 거리를 두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패각의 형채와 비교할 때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 PDF

한국산 다슬기과 (Family Pleuroceridae) 2 종의 등위효소 변이 (Isozyme Variation in Two Species of Freshwater Pleurocerid Snails in Korea: Koreanomelania nodifila and Koreoleptoxis globus ovalis)

  • 이준상;고정호;권오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7-123
    • /
    • 2001
  • 국내 5개 지역에서 채집된 염주알다슬기 (Koreanomelania nodifila)와 띠구슬다슬기(Koreoleptoxis globus ovalis)간의 유전적 분화수준을 토대로 속간 수준의 분류적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전기영동을 이용한 등위효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종내 집단간 유전적 근연치는 염주알다슬기가 S=0.848(0.805-0.905)로 나타났고 띠구슬다슬기는 이보다 낮은 S=0.755 (0.666-0.860)의 값을 보였다. 각 종의 속간 유전적 근연치는 곳체다슬기와 염주알다슬기가 S=0.194의 매우 낮은 값을 보였고 곳체다슬기와 띠구슬다슬기 사이는 S=0.301을 나타내었다. 또한 염주알다슬기와 머구슬다슬기 간에는 S=0.301의 유전적 근연치를 보여 이들 간의 유전적 분화수준이 속간 차이에 이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염주알다슬기 (Koreanomelania globus)의 번식주기

  • 장영진;장해진;방인철;김영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91-292
    • /
    • 2001
  • 염주알다슬기 (Koreanomelania globus)는 복족강, 중복족목, 다슬기과, 알다슬기속으로 분류되는 담수 고둥류의 일종으로서, 중국, 북미 등지에 분포하며, 산란홈이 있어 난생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강의 급류 지점에 서식하며, 서식지에 따라 각피는 황록, 흑갈, 적갈색을 나타낸다 (Kwon, 1990). 최근 다슬기류에 대한 양식기술 개발과 관련하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Koike et al.(1992)과 Chang et al.(2000)등 국내외에서 다슬기류의 번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중략)

  • PDF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사육밀도별 성장과 생존율

  • 정해진;문승현;장영진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81-382
    • /
    • 2001
  •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는 식용으로 기호도가 높고 유용 수산자원으로서 개발 가치가 높으나 성장이나 자원량에 관한 기초 생물학적인 조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중금속, 농약 등에 오염될 가능성이 있어 자연산 다슬기의 식용 가능성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에 이르고 있으며, 자연자원도 급격히 줄어 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슬기의 종묘생산 및 양식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 종에 대한 번식생물학적인 연구 (Chang et al., 2000)가 진행되고 있으나, 다슬기 종묘의 성장 상황에 대한 기준 자료는 찾아보기 힘들다. (중략)

  • PDF

한국산 다슬기과 담수패류 분포

  • 이준상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78-379
    • /
    • 2003
  • v. Martens(1905)은 국내 다슬기과 담수패류를 모두 1속 15종 및 3아종으로 기록하였다. 그 후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형태 및 분류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여 근래에 이르러 한국산 다슬기과 담수패류는 3속 7종 및 1아종(Choi &. Yoon, 1997), 3속 6종 및 1아종(Kwon et al, 2001)으로 정리하고 있다. 다슬기과 패류는 서식지에 따른 형태 변이가 매우 심하고, 또한 v.Martens(1905)에 의하여 발표된 18종의 동종이명 정리에 대한 국내외 학자간의 견해 차이가 정리되어 있지 않아 현재까지도 정확한 종 동정과 분류가 난해한 분류군인다. (중략)

  • PDF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와 곳체다슬기 (Semisulcospira gottschei)의 출산 유도 (Parturition Induction on Melania Snails,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 and Semisulcospira gottschei)

  • 장해진;민병화;방인철;김영주;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1호
    • /
    • pp.7-13
    • /
    • 2005
  • 난태생종인 다슬기(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와 곳체다슬기(Semisulcospira gottchei) 어미에게 여러 가지 물리 화학적 자극을 주어 출산 개시 소요 시간, 출산 유생 치패수 및 치패 출산율을 조사하였다. 곳체다슬기는 온도, 공기 노출, serotonin 및 acetylcholine 자극에 대하여 다슬기보다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나, $H_2O_2$$NH_4OH$ 자극에 대하여는 두 종 모두 반응하지 않았다. 다슬기는 acetylcholine $10^{-9}M$ 자극에서 모패당 68개체로 가장 많은 유생과 치패를 출산하였으며, 치패 출산율도 57.5%로 높았다. 곳체다슬기는 수온을 $9^{\circ}C$ 상승시켰을 때, 모패당 113개체의 유생과 치패를 출산하였고 치패 출산율은 56.3%였으며, acetylcholine $10^{-12}M$ 첨가했을 때는 각각 83개체, 61.7%였다. 결론적으로, 다슬기와 곳체다슬기의 인공 종묘 생산 시 치패의 대량 출산 유도에는 신경전달물질인 acetylcholine 자극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