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문화서비스 모델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다문화가정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es and Proble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Libraries)

  • 한윤옥;조미아;김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35-160
    • /
    • 2009
  • 본 연구는 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외국도서관과 우리나라의 다문화서비스 현황을 조사하였다. 외국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현황은 다문화주의 모델, 동화주의 모델, 배제주의 모델로 구분하여 다문화 가정 대상 교육프로그램과 도서관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현황은 공공도서관의 다문화 프로그램 담당 사서, 다문화프로그램 강사, 다문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주민들과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 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다문화 대상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Multicultural Family Business Model)

  • 노규성;이주연;박성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199-207
    • /
    • 2016
  • 다문화 가정의 증가는 전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이에 정부와 자방자치단체에서도 다문화 관련 정책을 시행 및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 구성원에게 필요한 서비스라기 보다는 정책적인 사항으로 진행이 되고 있어 정작 수요자인 다문화 구성원들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하고 있는 정책에 대해 얼마나 필요성을 느끼고 하고 있으며, 필요한 서비스가 무엇인지 등에 대한 욕구를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다문화와 관련된 연구들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다문화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다문화 정책 및 사례를 전문가 인터뷰와 다문화 구성원 인터뷰를 통해 다문화 구성원에게 필요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최종적인 비즈니스 모델(교육기관 다문화구성원 간 자녀학습 관리 온라인 서비스 사업, 다문화 자녀 대상 학습 콘텐츠 제공 사업, 다문화 구성원 간 온라인 소통서비스 사업, 다문화 콘텐츠 공유/교류 서비스 지원 사업, 다문화 구성원 직업역량 개발 콘텐츠 제공 사업)과 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중언어 교육을 위한 다국어 전자책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 of Multi-language Electronic book for Bilingual Education)

  • 장영현;박대우;서윤희;최보미;이다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4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2호
    • /
    • pp.119-12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한국사회에서 미래 100년 동안 사회 경제 분야의 가장 중요한 핵심 문제로 대두되어질 다문화가정과 관련하여 IT와 융합된 전자책 시스템을 기반으로 자녀교육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7개국의 유명한 전래동화책을 수집, 분석하고 번역하여 다국어 전자책으로 제작하고 서적, CD, 웹사이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세계 각국의 다문화가정 교육모델로 제시하고 서비스한다. 구현되어진 다국어 전자책 모델 시스템은 국내 다문화가정 어린이의 이중 언어 교육을 통하여 부모와 연계된 다문화 시대의 문화적 언어적 문제를 해결하며 다문화 어린이들의 글로벌 마인드 함양 및 다문화를 기반으로 한 사회적 통합을 추진하며 세계 최고수준의 유비쿼터스 인터넷 인프라 기반 서비스를 통하여 전자책 서비스의 글로벌 표준을 제시한다. 다국어 전자책 모델 시스템은 국가지원과제 신청을 통하여 지역사회를 통한 복지 분야 행정시스템을 기반으로 무료 보급하며 2011년 독일에서 개최되는 국제도서전에 출품하여 글로벌 보급 활성화와 교육성과에 대한 발표를 추진한다.

  • PDF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of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 양수연;차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11-332
    • /
    • 2011
  • 국내 다문화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음에도 국내 공공도서관은 다문화서비스 경험이 최근 5년 내외로, 대부분의 도서관이 단편적인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계획과 방향성, 전문 인력 등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국외 다문화서비스 성공사례와 국내 현황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들이 체계적인 다문화서비스를 준비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다문화서비스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1, 2차 사전조사(평균, 표준편차)와 의견조사를 통하여 다문화서비스 요소안을 확정하고, 본 조사를 실시하여 핵심요소를 선정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요소들의 특성 분석을 위하여 T-검증과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원활한 다문화서비스의 운영을 위해서는 도서관을 둘러싼 사회 교육기관, 타 도서관들과의 관계,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협조가 필요하며, 이를 반영하여 다문화서비스 운영시스템을 도식화하였다.

사서와 다문화인 이용자의 서울시 공공도서관 다문화 서비스에 관한 인식 연구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and Multicultural Users on the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 김영미;조인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03-124
    • /
    • 2011
  • 21세기 사회는 이민율의 증가 등으로 점점 빠르게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이미 2007년에 외국인 100만 명을 넘어 다문화 국가로 진입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공도서관에서 다문화인들을 위한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에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사서와 다문화인 도서관이용자가 가지고 있는 인식이 어떤 것인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두 그룹간의 인식을 비교하고 그에 따라 적정한 모델을 구현하는 것이 효율적인 정보제공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설문지 분석결과를 보면 두 그룹 간에는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며 그러한 차이를 좁혀가는 것이 다문화인들이 공공도서 관을 이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그들의 한국사회 적응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서비스 모형을 제시하였다.

국제이주민들을 위한 작은도서관의 역할과 기능: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 다문화작은도서관 운영사례연구 (The Role and Function of Small Community Library for Foreign Immigrants: the Case Study of Multicultural Library at Wongok-dong, Danwon-gu, Ansan-si)

  • 김윤영;정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59-578
    • /
    • 2016
  • 최근 한국사회는 국제이주민들의 수가 증가하면서, 사회전반 전문분야의 문화다양성 수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한국도서관계에서도 다문화서비스 운영방안에 대한 다양한 모색들이 이루어져 왔고, 이에 많은 연구물들은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운영에 대한 모델과 발전방안을 제시해왔다. 본 연구는 도서관 이용자 약 90%가 국제이주민인 안산다문화작은도서관의 운영사례를 분석하여 국제이주민을 위한 공공작은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은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자한다. 안산다문화작은도서관은 이주민의 정착과 적응을 돕는 교육공간과 지역주민의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선주민과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이루어 가는 공간으로서, 이렇게 두 가지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구체적인 운영사례연구를 통하여 지역의 작은도서관이 이주민들과 지역사회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지 그 가치와 의의를 보여주고자 한다.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겪는 여러 어려움과 한계를 제시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사서 대상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Multicultural Service Curriculum for Librarians' Continuing Education)

  • 우윤희;구정화;조용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03-228
    • /
    • 2021
  • 다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서비스 주체인 사서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서비스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에 도출된 사서 대상 다문화 교육과정 교과목들의 토대 위에서 국립중앙도서관의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재구조화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들을 조사하였고, 다문화 전문가와 도서관 전문가, 교육학 교수 등과의 면담을 통해 자문을 진행하였다. 자문과정에서는 연구진이 도출한 사서 대상 다문화 교육과정의 운영방안과 세부 교과목별 강의내용, 강의방법, 강의시간, 연구진이 제시한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그 결과를 최종 교육과정 개발안에 반영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 감수성과 전문서비스 역량을 가진 도서관 사서 양성"이라는 교육목적 하에 교육 주기와 교육내용을 달리한 총 4개의 교육모델과 교육 단계에 맞춘 다양한 평가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교육운영자는 국내 사서들의 다문화 교육 수요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교육과정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도서관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상호문화 관점의 수용 (Accepting the Interculural Perspective for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 박성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71-392
    • /
    • 2015
  •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의 사회통합을 지원하기 위한 기관으로서 공공도서관에서 취해야 할 철학적 관점을 새로이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대 사회에서 심화된 문화의 이분법적 사고체계에 대하여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상호문화 담론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Esser가 제시한 사회통합의 과정은 개별 행위자가 주체적으로 사회 시스템에 포섭되고, 사회와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간의 화학적 변용을 설명한다. 이러한 Esser의 입장은 사회통합을 위해 이주자를 어떠한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할지에 대한 기준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현재 공공도서 관의 다문화프로그램을 Castles의 이주자 대상 정책 모델 분류를 기반으로 나누어보고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Mall의 상호문화철학을 준거로 하여 공공도서관이 사회통합에서 가지는 역할과 이주자들을 지원하는 과정을 Esser의 사회통합의 틀을 통해 제안하였다.

정서중심심리코칭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Emotion Focused Psychology Coaching)

  • 김현진;정현섭;나은혜;신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203-212
    • /
    • 2022
  • 본 연구는 정서중심심리코칭 경험의 본질이 무엇이며, 그 경험이 연구 참여자들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정서중심코칭을 5회 경험한 4인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면담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정서중심심리코칭은 Greenberg의 정서중심치료를 기반으로 ICF의 코칭 핵심역량과 함께 융합하여 정서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새로운 코칭심리 모델이다. 분석결과, 정서중심코칭 경험 이전에는 자신의 정서를 회피하거나 억압한 면이 있었고, 이로 인해 행동에서도 효과적인 대인관계나 대안을 탐색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반면 경험 이후에는 정서에 대한 인식, 정서 조율, 정서 표현, 상대에 대한 정서 이해(공감) 등이 적응적인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효율적인 대안을 마련하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T-Commerce 비즈니스 전략과 기술

  • 문남미
    • 방송과미디어
    • /
    • 제8권3호
    • /
    • pp.40-52
    • /
    • 2003
  • T-Commerce는 한 마디로 TV를 통한 e-commerce이다. 그러나 단어가 주는 간단함과는 달리 기존의 e-commerce나 m-Commerce가 가졌던 전통적 상거래 개념으로부터의 혁명성을 한 차원 더 뛰어넘는 엄청난 잠재력과 변화력을 가지고 있는 새로운 개념이자 현상이다. 즉, e-commerce가 갖고 있는 개별성, 즉시성, 상호작용성, 다매체성의 장점 위에 욕구의 충동성, 편의성 및 고감도성이 결합된 새로운 경제문화행위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우리에게 너무도 친숙한 TV방송의 디지털화를 통한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으로 방송 산업의 형태도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의 확대는 데이터 방송의 양방향 서비스인 T-Commerce에 대한 새로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과 성공적인 사업모델에 대한 실질적인 준비가 전제되어야만 가능하다. 본 고에서는 T-Commerce 비즈니스 모델과 전략에 따른 기술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